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6-9999(Print)
ISSN : 2287-7851(Online)
Korean J. Environ. Biol. Vol.32 No.3 pp.176-210
DOI : https://doi.org/10.11626/KJEB.2014.32.3.176

Floristic Study of Jecheon

Jeong Eun Han3, Jina Lim4, Yun Sook Oh2, Man Kyu Lee2, Mi Sook Choi2, Gab Sung Kim2, Hyo Jin Kim2, Jin Sung An2, Eun Kyoung Choi2, Ho Gyun Lee2, Byoung-Yoon Lee1*
1Plant Resource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404-170, Korea
2Korea Teachers’ Plants Research Association, Seoul 135-539, Korea
3Department of Biological Sciences, Inha University, Incheon 402-751, Korea
4Division of Biological Science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Jeonju 561-756, Korea
Corresponding author : Byoung-Yoon Lee, Tel. 032-590-7158, Fax. 032-590-7098, E-mail.bylee80@korea.kr
July 10, 2014 August 14, 2014 August 18, 2014

Abstract

This scientific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lora of Jecheon, located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We have surveyed the vascular plants of the above region from March to October 2014 (18 times). Totally, we identified 765 taxa; 127 families, 411 genera, 678 species, 9 subspecies, 70 varieties, 6 forms, and 2 hybrids. Endangered species designated by the law called‘ Protection Law for Endangered wild fauna and flora’ were 6 taxa. The red data of vascular plants according to IUCN valuation basis comprised 29 taxa; 21 families, 26 genera, 29 species. 25 taxa were considered to be endemic to Korea. The floristic regional indicator plants found in this region were 122 taxa in total. Among them 12 taxa revealed the floristic degree V, 13 for floristic degree IV, 34 for floristic degree III, 11 for floristic degree II and 52 for floristic degree I. The naturalized plants were identified as 58 taxa. Further, we anticipate that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rvey would be useful for the scientific community to gain capacity to identify and conserve vascular plants of the region.


제천의 관속식물상

한 정은3, 임 진아4, 오 연숙2, 이 만규2, 최 미숙2, 김 갑성2, 김 효진2, 안 진성2, 최 은경2, 이 호균2, 이 병윤1*
1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2한국교사식물연구회
3인하대학교 생명과학과
4전북대학교 생명과학과

초록


    Ministry of Environment
    NIBR No. 2013-02-061

    서 론

    제천시는 충청북도 북부에 위치하는 중부내륙지역으 로 월악산, 소백산, 치악산 등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분 지형태의 지역이다. 서쪽으로 충주시, 동쪽으로 영월군과 단양군, 북쪽으로 원주시와 영월군 남면, 남쪽으로 문경 시의 경계에 위치하며(동경 127°55′25′′~128°20′10′′, 북 위 36°48′35′′~37°15′20′′), 총 면적은 883.17 km2로 동서 로 36.2 km, 남북으로 49.3km에 이른다(Jecheon-si 2014).

    제천시의 북쪽으로는 백운산(1,086 m), 구학산(983 m), 석기암 (906 m), 송학산 (819 m) 등 험준한 산지가 분포하 고 있으며, 동쪽으로는 금수산 (1,016 m), 가창산 (820 m), 동산 (896 m), 마당재산 (661 m), 서쪽은 십자봉 (984.8 m), 천등산 (807 m), 대덕산 (577 m), 남쪽으로 월악산 (1,092 m), 문수봉 (1,162 m) 등이 분포하고 있어 제천시 일대는 높은 산들로 둘러 싸여있다. 청풍면, 수산면, 금성면, 한수 면에 걸쳐 충주호가 있으며, 단양군에서 이어지는 남한 강과 제천시의 중앙을 동서로 흐르는 제천천이 지류들을 모아 충주호로 흐른다. 제천의 지질은 특성에 따라 서부 변성암대와 동부 석회암대로 나눌 수 있다. 서부 변성암 대의 기저층은 박달령 변성암으로 선캠브리아에 형성된 가장 오래된 지층이고 동부 석회암대는 조선계 대석회 암통이다 (Kang and Lee 2005). 본 지역의 기후는 여름에 는 고온 다습하고, 겨울에는 한랭 건조하다. 충청북도의 타 지역에 비해 지난 30년 동안 평균기온이 낮았고 변화 율이 작았으나, 강수량은 가장 많았다. 최근 5년 (2008~ 2012)간 연평균 기온은 9.9°C, 연평균 강수량은 1,464 mm를 기록하였다(Jecheon-si 2014).

    제천지역의 관속식물을 밝히기 위하여 그동안 부분적 으로 연구가 수행되었다. You (2005)는 제천시 백운면 덕 동리에 있는 생태숲 조성예정지를 대상으로 83과 238속 324종 44변종 3품종 등 총 371분류군을 보고하였다. Paik et al. (2005)은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를 통하여 제천지역의 부산에서 84과 226속 251종 2아종 44변종 11품종 총 308분류군을 확인하였고, 동산에서 81과 188 속 200종 2아종 48변종 10품종 총 260분류군을 밝혔다. Yang et al. (2006)은 석기암 및 그 인근지역에서 77과 197속 233종 2아종 26변종 10품종 총 271분류군, Eom et al. (2006)은 금수산 일대에서 80과 204속 255종 2아 종 29변종 6품종 총 292분류군, Jang et al. (2006)은 백운 산 일대에서 80과 226속 287종 45변종 6품종 총 338분 류군을 밝힌 바 있다. 이와 같이 제천 지역의 식물상 연 구는 일부 지역에 한정되어 있어 제천시 전체의 식물자 원을 보전∙관리하는 데 있어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제천 일대에서 채집한 석엽표본을 근거로 식물 상과 식물분포 특성을 밝혀 이 지역의 자연자원 보존 대 책을 수립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제천의 관속식물상을 조사하기 위하여 2013년 3월부 터 동년 10월까지 총 18회에 걸쳐 현지조사를 수행하였 다. 조사지역은 편의상 백운면, 봉양읍, 제천시, 송학면을 북부지역으로 금성면, 청풍면, 수산면, 덕산면, 한수면을 남부지역으로 나누었다. 북부지역은 십자봉, 주론산, 용두 산, 송학산을 중심으로 조사하였으며, 남부지역은 두무산, 매봉, 신선봉, 충주호 수변 지역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Fig. 1). 동정의 정확성을 기하기 위해 식물은 꽃, 열매, 포자 등 생식기관을 포함하고 있는 개체를 대상으로 수 집하고, 석엽표본으로 제작하여 국립생물자원관 고등식 물건조표본수장고 (KB)에 보관하였다. 멸종위기야생식물 로 지정된 분류군들은 생육사진을 촬영하여 석엽표본을 대체하였다. 식물의 동정은 Lee (1996), Lee (1999, 2003), Korea National Arboretum (2004), Korean Fern Society (2006), Lee (2006), Oh (2006), Park (2009), Kim and Kim (2011), Lee (2011) 등의 도감에 의거하여 실시하였으며, 확증된 증거표본을 바탕으로 소산식물목록을 작성하였다. 사용된 국명과 학명은 국립생물자원관에서 발간한 국가 생물종 목록(관속식물)을 따랐다(Lee et al. 2011). 조사된 관속식물 소산목록 중 양치식물은 Smith et al. (2006), 나 자식물은 Engler (Melchior 1964), 피자식물은 Cronquist (1981)의 분류체계에 따라 작성하였고, 과내의 속명과 종 명은 알파벳순으로 배열하였다. 조사된 식물은 야생생물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의 보호를 받고 있는 멸종위기 야생식물과 IUCN 적색목록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 cal Resources 2012)을 기준으로 정리하였다. 또한 한국의 고유종은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0) 에 따랐으며,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Ministry of Environment (2006)과 외래식물은 Kil et al. (2011)에 준하였다.

    결과 및 고찰

    1.관속식물상

    제천에 분포하고 있는 관속식물은 양치식물 14과 18 속 35종 1변종 1품종 1교잡종의 38분류군(4.97%), 나자 식물 3과 5속 5종의 5분류군 (0.65%), 피자식물 중 쌍자 엽식물 15과 308속 498종 7아종 56변종 4품종의 565분 류군(73.86%), 단자엽식물 15과 80속 140종 2아종 13변 종 1품종 1교잡종의 157분류군 (20.52%)으로 구성되어 총 127과 411속 678종 9아종 70변종 6품종 2교잡종의 765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Table 1, Appendix). 이는 한 반도 관속식물 4,338분류군(Lee et al. 2011)의 17.63%에 해당된다.

    2.법적보호종 및 IUCN 적색목록에 따른 관속식물

    이번 조사를 통하여 법적 보호를 받는 멸종위기야생식 물 II급인 백부자, 넓은잎제비꽃, 왕제비꽃, 미선나무, 애기 송이풀, 층층둥굴레 6분류군을 확인하였다 (Table 2, Fig. 2). 백부자 (Aconitum coreanum (H. Lév.) Rapaics)는 어래 산, 가창산에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넓은잎제비꽃 (Viola mirabilis L.)은 가창산, 갑산 저지대에 분포를 확인 하였으며, 왕제비꽃(Viola websteri Hemsl.)은 신선봉에 군 락을 이루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미선나무(Abeliophyllum distichum Nakai)는 백운산에서 관찰되었고, 애기송 이풀(Pedicularis ishidoyana Koidz. & Ohwi)은 제천 북서 부 계곡가에 자생하고 있었으며, 층층둥굴레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는 애련리의 하천 퇴적지형에 군락을 이루어 자라는 것을 확인하였다.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적색목록으로 제시한 관속 식물 중 본 조사지역에서는 21과 26속 29종의 29분류군 을 확인하였다 (Table 2). 등급에 따라 위기 (Endangered, EN)에는 넓은잎제비꽃, 왕제비꽃 2분류군, 취약 (Vulnerable, VU)에 백부자, 아마풀 (Diarthron linifolium Turcz.), 미선나무, 애기송이풀, 넓은잎말 (Potamogeton perfoliatus L.) 5분류군이 조사되었으며, 준위협(Near Threatened, NT) 에는 금털고사리(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Tagawa) Ohwi), 꼭지연잎꿩의다리 (Thalictrum ichangense Lecoy. ex Oliv.), 쑥방망이 (Senecio argunensis Turcz.), 층층 둥굴레, 청닭의난초 (Epipactis papillosa Franch. & Sav.) 5 분류군이 확인되었다. 관심대상(Least Concern, LC)은 왜 구실사리 (Selaginella helvetica (L.) Link), 돌좀고사리 (Asplenium ruta-muraria L.), 측백나무 (Platycladus orientalis (L.) Franco), 낙지다리 (Penthorum chinense Pursh), 도깨비 부채 (Rodgersia podophylla A. Gray) 등 11분류군이 조사 되었고, 미평가 (Not Evaluated, NE)에는 복사앵도나무 (Prunus choreiana Nakai ex Im), 병아리풀(Polygala tatarinowii Regel) 등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3.한반도 고유종

    제천지역에 분포하는 한반도 고유종은 진범(Aconitum pseudolaeve Nakai), 할미밀망 (Clematis trichotoma Nakai), 한라사초(Carex erythrobasis H. Lév. & Vaniot), 늦둥굴레 (Polygonatum infundiflorum Y.S. Kim, B.U. Oh & C.G. Jang) 등 총 25분류군이 조사되었다(Table 3). 늦둥굴레는 Jang et al. (1998)Jang (2002)에 의하여 경기도 안산시 풍도에서 처음 발견하여 신종으로 기재된 이후 다른 생 육지가 보고되지 않았으나 본 조사를 통하여 새로운 자 생지를 발견하였다. 각시족도리풀 (Asarum misandrum B.U. Oh & J.G. Kim)은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0)에서 한반도 고유종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Oh (2008)So & Kim (2008)의 견해에 따라 일본 규슈 지방에서 생육하는 것이 확인되었기 때문에 고유종에서 제외하였다.

    4.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본 조사에서 확인된 환경부 지정 식물구계학적 특정 식물은 총 59과 97속 113종 9변종의 122분류군으로 조 사되었다 (Appendix). V등급에는 세잎승마 (Cimicifuga heracleifolia var. bifida Nakai), 낙지다리(Penthorum chinense Pursh), 황기 (Astragalus mongholicus var. dahuricus (DC.) Podlech), 인삼 (Panax ginseng C.A. Mey.) 등 12분 류군, IV등급에는 회리바람꽃 (Anemone reflexa Stephan), 꼬리진달래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도깨비부 채(Rodgersia podophylla A. Gray) 등 13분류군을 확인하 였다. V등급인 황기와 인삼은 과거 재배하였던 개체가 인근 야산으로 퍼져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한 국에서 재배하고 있는 황기는 Astragalus membranaceus Bunge로 알려졌으나 비합법명으로 분류학적 실체를 확 인하고 검토하여 Astragalus mongholicus var. dahuricus (DC.) Podlech으로 처리되어 이 학명을 사용하였다(Choi et al. 2013). III등급은 애기석위 (Pyrrosia petiolosa (H. Christ) Ching), 당개지치(Brachybotrys paridiformis Maxim. ex Oliv.) 등 34분류군, II등급에 동자꽃 (Lychnis cognata Maxim.), 박새 (Veratrum patulum Loes.) 등 11분류군 그 리고 I등급에는 꿩의다리아재비 (Caulophyllum robustum Maxim.), 백선(Dictamnus dasycarpus Turcz.) 등 52분류군 을 확인하였다.

    5.외래식물

    제천에 분포하는 외래식물은 18과 49속 57종 1변종의 58분류군 (7.58%)이 조사되었다 (Appendix). 조사지역의 도시화지수(조사된 외래식물 총 수/외래식물 총 수(309) ×100)는 18.77%로 나타났다. 과별 분류군은 국화과 17 분류군 (29.3%), 콩과 11분류군 (19%), 화본과 5분류군 (8.6%), 마디풀과 4분류군 (6.9%) 등의 순으로 조사되었 다. 생태계교란 야생식물(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은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 률에 의거하여 생태계에 위해를 끼치는 생물로서 조사 지역에서는 애기수영(Rumex acetosella L.), 가시박(Sicyos angulatus L.),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L.), 단풍잎 돼지풀 (Ambrosia trifida L.),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 Willd.) 5분류군을 확인하였다. 외래식물은 제천 북쪽지 역의 박달재, 배론성지 등 관광지나 남쪽지역의 석회암 과 무연탄 등의 광물을 채굴하는 지역 혹은 시멘트 공장 이 위치한 지역과 같이 인간 활동이 비교적 활발한 지역 에 집중 분포하고 있었다.

    고 찰

    본 조사를 통하여 제천 지역에는 127과 411속 678종 9아종 70변종 6품종 2교잡종 총 765분류군이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기존에 You (2005), Paik et al. (2005), Yang et al. (2006)Jang et al. (2006)이 조사 한 결과와 분류군 수, 종의 구성이 다르게 나타났다. 이러 한 결과는 조사 지역, 범위, 시기 등이 상이하기 때문이다.

    제천에서 종 다양성이 풍부하고 특기할 만한 식물이 많이 분포하는 지역으로 북부지역은 덕동계곡과 영월군 과 경계에 있는 장곡리, 갑산과 가창산 일대 등을 꼽을 수 있다. 이 지역 일대에서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인 백 부자, 넓은잎제비꽃, 미선나무, 애기송이풀, 층층둥굴레 5 종이 분포하고 있었다. 특히 넓은잎제비꽃과 층층둥굴레 는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았던 새로운 자생지를 발견한 것이다. 남부지역은 신선봉 북사면, 수산면 일대 특히 석 회암 지대에 종 다양성이 풍부하고 특기할 만한 식물이 많이 분포하였다. 이 지역에는 멸종위기야생식물 II급인 백부자와 왕제비꽃 2종이 분포하는데, 왕제비꽃은 새로 운 자생지를 추가로 발견한 것으로 군락을 이루며 자생 하고 있었다. 또한 Kim et al. (1992)이 제시한 기준에 따 라 개부처손(Selaginella stauntoniana Spring), 금털고사리 (Hypodematium glandulosopilosum (Tagawa) Ohwi), 아마 풀(Diarthron linifolium Turcz.), 솔체꽃(Scabiosa tschiliensis Grüng) 등 호석회식물도 집중 분포하고 있었다. 그러 나 이 지역에는 시멘트 공장과 채굴 중인 석회암 광산이 다수 있어 이 지역에 생육하고 있는 식물을 보호하기 위 해서는 근본적인 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 다. 한편 마당재산, 동산, 용바위봉, 금수산으로 이어지는 동부지역의 능선과 사면에도 너도바람꽃(Eranthis stellata Maxim.), 도깨비부채 (Rodgersia podophylla A. Gray), 꼬 리진달래 (Rhododendron micranthum Turcz.) 등 희귀식물 이 다수 분포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 중 일부는 등산로 주변에 자생하고 있어 등산객에 의해 훼손될 수 있으므 로 자생지 보호를 위한 우회 등산로 개발, 주변 지역의 정밀조사를 통한 희귀식물 추가 자생지 확인 및 보호지 역 지정 등 적극적인 보전대책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적 요

    본 연구는 한국의 중부에 위치한 제천의 관속식물상 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사하였다. 2013년 3월부터 동 년 10월까지 총 18회의 현지조사를 수행하였다. 그 결과 127과 411속 678종 9아종 70변종 6품종 2교잡종의 765 분류군의 분포를 확인하였다. 환경부 법적보호종인 멸종 위기야생식물은 6분류군이며, IUCN 평가기준에 따른 적 색목록은 21과 26속 29종의 29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25분류군이 조사되었다.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122분류군으로 5등급 12분류군, 4등급 13분 류군, 3등급 34분류군, 2등급 11분류군, 1등급 52분류군으 로 나타났다. 외래식물은 58분류군(7.58%)이 조사되었다.

    Figure

    KJEB-32-176_F1.gif

    Map of investigated regions in Jecheon: I. North region in Jecheon. 1: Sipjabong. 2: Juron-san (Mt.). 3: Yongdu-san (Mt.). 4: Songhak-san (Mt.). II. South region in Jecheon. 5: Dumu-san (Mt.). 6: Maebong. 7: Sinseongbong.

    KJEB-32-176_F2.gif

    Endangered plants investigated in Jecheon: A. Aconitum koreanum R. Raymund; B. Viola mirabilis L.; C. Pedicularis ishidoyana Koidz. et Ohwi; D. Polygonatum stenophyllum Maxim.

    Table

    The number of vascular plants distributed in Jecheon

    The list of endangered and red data vascular plants in Jecheon

    I. endangered plants. II. red data plants. EN: Endangered. VU: Vulnerable. NT: Near Threatened. LC: Least Concern. NE: Not Evaluated.

    The list of endemic plants in Jecheon

    Floristic study of Jecheon

    Reference

    1. Choi IS , Kim SY , Choi BH (2013) Taxonomic position and genetic differentiation of Korean Astragalus mongholicus Bunge , Korean J. Pl. Taxon, Vol.43; pp.12-21
    2. Cronquist A (1981) An integrated system of classification of flowering plants, Columbia University Press,
    3. Eom JA , Yang JC , Jang CS , Jang CG , Lee CH , Kim KS , Oh BU (2006) The flora of Geumsusan in Woraksan National Park , Bull. Nat. Sci, Vol.20; pp.87-98(in Korean)
    4. Jang CG (2002)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Polygonatum(Ruscaceae) , Korean J. Pl. Taxon, Vol.32; pp.417-447(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5. Jang CG , Oh BU , Kim YS (1998) A new species of Polygonatum (Liliaceae) from Koera: P. infundiflorum , Korean J. Pl. Taxon, Vol.28; pp.209-215
    6. Jang CS , Eom JA , Yang JC , Jang CG , Lee CH , Kim KS , Oh BU (2006) The flora of Baegunsan (Jecheon-si) , Bull. Nat. Sci, Vol.20; pp.99-114
    7. Jecheonsi Z (2014) Jecheon statistical yearbook, (in Korean)
    8. Kang YB , Lee DU (2005) Geomorphological landscape of Jecheon∙Danyang,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pp.1-9(in Korean)
    9. Kil JH , Hwang SM , Lee DH , Kim DE , Kim YH , Lee CW , Kim HM , Kim MJ , Kim JM , Oh GJ (2011) Alien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in Korean)
    10. Kim JH , Kwak YS , Mun HT (1992) Classification of Calcicoles and Calcifuges on the Basis of the Ratio of Soluble to Insoluble Ca2+ and Mg2+ in the Leaves , Korean J. Ecol, Vol.15; pp.311-328
    11. Kim JS , Kim TY (2011)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in Korean)
    12. Korean Fern Society (2006) Ferns and Fern Allies of Korea, Geobook, (in Korean)
    13. Korea National Arboretum (2004) Illustrated Grasses of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in Korean)
    14. Lee BY , Nam GH , Lee JY , Park CH , Lim CE , Kim MH , Lee SJ , Roh TK , Lim JA , Han JE , Kim JH (2011)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Vascular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 Korean)
    15. Lee NS (2011) Illustrated Flora of Korean Orchids, Ewha Womans University Press, (in Korean)
    16. Lee TB (1999) Illustrated Flora of Korea, Hayangmunsa, (in Korean)
    17. Lee TB (2003) Coloured Flora of Korea, Hayangmunsa, Vol.I, II; (in Korean)
    18.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ed of Korean Plants, Academy Press, (in Korean)
    19. Lee YN (2006) New Flora of Korea, Kyohaksa, (in Korean)
    20. Melchior H (1964) An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21. Ministry of Environment (2006) The Guide to the Third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Research, pp.127-153(in Korean)
    22.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0) Endemic species of Korea, GeoBook, pp.318-415(in Korean)
    23.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2) Red Data Book of Endangered Vascular Plant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 Korean)
    24.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2012) Ecosystem Disturbance Wild animals and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pp.54-168(in Korean)
    25. Oh HU (2008) A taxonomic review of Korean Asarum (Aristolochiaceae) , Korean J. Pl. Taxon, Vol.38; pp.251-270(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26. Oh YC (2006) Korean Caricoideae of Cyperaceae, Sungshin Women's University Press, (in Korean)
    27. Paik WK , Shin CM , Han SG (2005) Flora of Jecheon∙Danyang, National Natural environment survey. Ministry of Environment, pp.47-76(in Korean)
    28.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29. Smith AR , Pryer KM , Schuettpelz E , Korall P , Schneider H , Wolf PG (2006) A Classification for extant ferns , Taxon, Vol.55; pp.705-731
    30. So S , Kim M (2008) A Taxonomic Study of Asarum (Aristolochiaceae) , Korean J. Pl. Taxon, Vol.38; pp.121-149(in Korean with English abstract)
    31. Yang JC , Eom JE , Jang CS , Jang CG , Lee CH , Kim KS , Oh BU (2006) Flora and present vegetation status of Seokgiam and its adjacent regions , Bull. Nat. Sci, Vol.20; pp.73-86(in Korean)
    32. You JH (2005) The Vascular plants in construct-reserved site of ecological forest, Jecheon-si, Chungcheongbuk-do. Kor , J. Environ. Ecol, Vol.19; pp.31-45(in Korean)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Environ. Bi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11626/KJEB.
    Year of Launching 1983
    Publishe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

    Contact info

    Any inquiries concerning Journal (all manuscripts, reviews, and notes) should be addressed to the managing editor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Yongeun Kim,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E-mail: kyezzz@korea.ac.kr /
    Tel: +82-2-3290-3496 / +82-10-9516-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