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6-9999(Print)
ISSN : 2287-7851(Online)
Korean J. Environ. Biol. Vol.36 No.4 pp.488-497
DOI : https://doi.org/10.11626/KJEB.2018.36.4.488

Comparison of Insect Fauna in Transgenic and Common Rice Paddy Fields

Taechul Park1, Hojeong Choe1, Hyoujin Jeong1, Hojung Jang1, Jukon Kim2, Jung-Joon Park1,3*
1Department of Plant Medicin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Republic of Korea
2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Agricultural Techn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Pyeongchang 25354, Republic of Korea
3Institute of Agriculture and Life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Jinju 52828,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Jung-Joon Park, Tel. 055-772-1928, Fax. 055-772-1929, E-mail. jungpark@gnu.ac.kr
18/10/2018 05/11/2018 12/11/2018

Abstract


Quantitative classification of insect fauna in transgenic rice in 2 LMO (Liv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isolated paddy field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Gyeongbuk National University) and rice in 4 paddy fields (Duryang 1, Duryang 2, Hwagye 1, Hwagye 2), were evaluated for consecutive 5 years (2013 to 2017) in Sacheon, Gyeongnam province, and for 2 consecutive years (2015 to 2016) in Gunwi Gyeongbuk province. Sampling insect fauna were evaluated by black light trapping, sticky trapping, visual surveying, and sweeping methods in each target paddy field, respectively. A total of 37,941 individuals, of 464 species from 15 orders, were collected in Sacheon for 5 years. A total of 10,030 individuals, of 366 species from 13 orders, were collected in Gunwi for 2 years. Based on results of comparison between transgenic and non-transgenic paddy fields for 5 consecutive years, the similarity index between LMO paddy field and common paddy field is not different. Thus, this difference is not due to the environment, not the LMO.



형질전환 벼와 일반 벼간 곤충상 비교

박 태철1, 최 호정1, 정 효진1, 장 호중1, 김 주 곤2, 박 정준1,3*
1경상대학교 식물의학과
2서울대학교 국제농업기술대학원
3경상대학교 농업생명과학연구원

초록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PJ013699

    서 론

    현대생명공학기술을 이용한 형질전환 작물 (Liv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LMO)는 여러 기능을 기반으로 인류가 직면한 어려운 문제들 (식량문제, 환경문제, 에너지문 제, 자원문제, 의료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는 수단으로 주목 되고 있다. 이러한 LMO의 잠재적인 가치에도 불구하고 연 구 및 개발 초기부터 유전자의 인위적인 조작에 따른 안전 성의 불신 등 사회적 의심이 지속적으로 제기되어 왔다 (Noh 2014). LMO의 개발과 이용 확대에 있어 대상 생태계에 미 치는 영향과 위해성 평가는 필수적이다 (Frewer et al. 2004).

    생물다양성은 생물의 종류가 얼마나 다양한지 의미한다 (CBD 1992; Morrell 1999). 생물다양성을 이루는 생물 종은 생태계의 기본 단위일 뿐만 아니라 인간과 생태계의 생명 을 유지하는 필수적인 자원이다. 생물다양성은 특정생태계 에서 종의 수나 형태 및 분포 등의 종 상호간 관계를 의미하 는 종 다양성 (species diversity)과 유전정보의 다양성을 의 미하는 유전자 다양성 (gene diversity), 서식지 내에서 서로 경쟁 혹은 공생하고 먹이사슬을 이루는 생태적 기능을 의미 하는 생태계 다양성 (ecosystem diversity)으로 나뉜다 (Kwon et al. 2006). 지구상의 생물은 약 40억 년의 역사를 통해 다 양한 환경에 적응하고 진화한 결과 미지의 생물체를 포함하 여 약 1,000만 내지 3,000만 종으로 추정되는 다양한 생물이 존재하게 되었다 (Gaston and Spicer 2004; ESK 2013). 생태 계 먹이사슬의 아래에서 생태계의 특성을 대변하는 위치를 차지하는 곤충 종 구성변화는 장기적인 생태계 변화를 파악 함에 있어 중요한 인자이다 (Rosenberg et al. 1986; Gullan and Cranston 2005). 따라서 대상 생태계 곤충 종 비교는 생 태계 환경위해성 평가의 시작이며, 더 진전하여 비표적 곤충 종과 관련된 연구가 필요하다 (Poppy 2000, 2004; Dale et al. 2002; Romeis et al. 2008).

    다양한 종으로 이루어진 곤충 집단의 특징 및 특성은 구 성 종의 정량적 군집분석으로 가능하다. 군집분석이란 비슷 한 특성을 가진 집단을 확인하기 위해 시도하는 통계적 분 석기법이다. 조사 지점별로 정량적인 채집자료를 사용한다. 그리고 각 채집위치별 생태계의 특징 및 특성을 살필 수 있 다 (Bae et al. 2004; Jung et al. 2008; Lee et al. 2009; Ahn 2013).

    국내에서 형질전환 벼와 비변형 벼의 곤충상 조사와 관련 한 연구에서 Bae et al. (2012)은 Protox 저해 제초제 내성 형 질전환 벼와 일반 벼의 곤충상을 육안으로 확인한 결과 차 이가 없다고 하였다. 일반적인 곤충상 조사는 육안조사와 더 불어 트랩 (유아등 트랩, 끈끈이 트랩, 페로몬 트랩)과 포충망 으로 이루어지고 (Borror et al. 1989; Kim et al. 2012), 각 조 사방법에 따른 장단점의 파악은 지역별 형질전환 벼와 일반 벼의 곤충상 차이를 위한 표준 조사 방법을 제시함에 있어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5년 동안 형질전환 벼와 비변형 벼 재배지의 곤 충상을 채집 및 조사한 뒤 분류 및 동정 과정을 거쳐 자료를 획득하고 형질전환 벼와 비변형 벼 사이 곤충상 군집분석 결과를 통해 서로 비교하는 것이다.

    재료 및 방 법

    1. 조사지역과 조사시기

    조사지역은 경상남도 사천시 용현면 선진리에 위치한 경상 대학교 LMO 격리포장내 형질전환 벼 재배지 (35°02ʹ39.94ʺN 128°03ʹ29.45ʺE)와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두량리에 위치한 비변형 재배 벼 재배지 (두량1, 35°06ʹ32.53ʺN 128°07ʹ09.62ʺ E; 두량2, 35°06ʹ27.67ʺN 128°07ʹ17.16ʺE)에서 수행하였고, 경상북도 군위군 화계리 경북대학교 LMO 격리포장내 형질 전환 벼 재배지 (36°06ʹ46.06ʺN 128°38ʹ25.61ʺE)와 주변 비 변형 벼 재배지 (화계1, 36°06ʹ55.45ʺN 128°38ʹ18.00ʺE; 화계 2, 36°06ʹ56.20ʺN 128°38ʹ07.37ʺE)에서 수행하였다. 사천시 의 조사시기는 2013년부터 2017년까지 매년 7월 말에서 10 월 초까지 2주에 한번씩 조사하였고, 군위군의 조사시기는 2015년부터 2016년까지 매년 7월 말에서 10월 초까지 2주 에 한번씩 조사하였다.

    2. 조사방법

    곤충상 조사는 벼를 직접 가해하며 빈번하게 발생하는 주요 해충을 포함한 모든 곤충을 채집하여 조사하였다. 곤 충상 조사는 직접관찰방법과 유인관찰방법으로 나뉜다. 직 접관찰방법은 포충망을 이용한 포충망조사 방법, Breeding case (직경 9.3 cm, 뚜껑에 망이 있어 공기가 통하는 원형 케 이스)를 이용한 육안조사 방법을 실시하였고, 유인관찰방법 은 유아등 트랩을 이용한 방법, 끈끈이 트랩을 이용한 방법 을 실시하여 총 4가지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포충망조사는 직경 50 cm의 포충망을 이용하여 각 실험 포장 내 지정된 3 개의 구역을 각 왕복 25회씩 휘둘러 채집하였고, 육안조사는 Breeding case를 가지고 실험 포장 내에서 일정시간동안 채 집하였다. 유아등 트랩 (낮에 태양광으로 충전하여 밤에 해충 유인램프로 유인하여 팬을 이용하여 저속 고풍량 흡입으로 채집, 에코솔라텍)은 각 실험 포장 당 1기씩 설치하였고, 채 집 후 수거 시기가 늦어지면 나방류의 인편이 떨어져 종 분 류가 불가하여 설치 후 1일 간격으로 수거하였다. 끈끈이 트 랩 (15×25 cm, 단면, 그린아그로텍)은 단면 끈끈이 트랩을 서로 마주보게 하여 각 실험 포장 당 2개 설치하였다.

    곤충의 종 분류는 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KNA 2012) 을 이용하였고, 도감으로는 한국의 잠자리 (Jung 2012), 한국 의 밤 곤충도감 (Baek 2012), 딱정벌레 도감 (Son 2009), 노린 재 도감 (Ahn 2010) 등을 참고하였다.

    3. 조사된 곤충상 군집분석

    각 실험포장 당 채집된 곤충에 대하여 우점도 지수 (dominance index; DI), 다양도 지수 (diversity index; Hʹ), 풍부도 지수 (richness index; RI) 및 균등도 지수 (evenness index; EI) 를 계산하였다.

    우점도 지수는 (DI)는 비교 대상들 간의 우점 정도를 나타 내는 지표로, 지수는 0~1의 숫자로 표현된다. 1에 가깝게 클 수록 군집내 모든 개체수 중 몇 종의 개체수가 높다는 의미 이며, 1인 경우 군집내 종수나 개체수가 한 종으로 구성된 다는 의미이다. 다음 식 1의 우점도 지수 (DI, McNaughton’s dominance index) (McNaughton 1967)를 산출하였다.(1)

    DI = n 1 + n 2 N
    (1)

    여기서 n1은 가장 많은 개체가 채집된 종 (우점종)의 개체 수, n2는 두 번째로 많은 개체가 채집된 종 (아우점종)의 개체 수이고, N은 채집된 총 개체수이다 (McNaughton 1967).

    다양도 지수 (Hʹ)는 한 군집 내에서 종과 개체수의 관계를 나타낸 것으로 종풍부도와 균등도를 동시에 나타내는 척도 이며, 지수가 높을수록 군집내의 다양도가 높다. Margalef (1958)의 Shannon-Wiener function (Hʹ)을 Lloyd and Ghelardi (1964)가 변형한 식 2를 이용하였다 (Pielou 1969).(2)

    H = i = 1 s [ n i N ln n i N ]
    (2)

    여기서 ni는 채집된 개체들 중 i종의 개체수이고 N은 채집 된 총 개체수이다 (Pielou 1969).

    풍부도 지수 (RI)는 총 개체수와 총 종수를 사용하여 군집 의 상태를 표현하는 지수로서 값이 높을수록 종 구성이 균형 을 이루고 환경상태가 양호하다는 것을 의미한다. Margalef (1958)의 지수인 식 3을 이용하였다.(3)

    RI = S 1 ln ( N )
    (3)

    여기서 S는 채집된 전체 종수이고 N은 채집된 총 개체수 이다 (Margalef 1958).

    균등도 지수 (EI)는 군집 내 종 구성의 균일한 정도를 나타 내는 지수로 각 지수의 최대치에 대한 실제치의 비로 표현 한다. 군집 내 모든 종의 개체수가 동일할 때 최대치, 즉 1이 된다. Pielou (1975)의 식 4를 이용하였다.(4)

    EI = H ln S
    (4)

    여기서 Hʹ은 식 2에 계산된 다양도 지수이며 S는 채집된 전체 종수이다 (Pielou 1975).

    유사도 지수 (Sørensen’s QS; SI)는 조사 지역 간의 동질성 정도를 수치화 한 값으로 출현 종을 근거로 두 지역 간의 유 사성을 나타낸다. 0~1의 숫자로 표시되며 %로 나타낼 때는 1 이 100%를 의미하고 1에 가까울수록 두 지역 간의 유사도가 높음을 의미한다. Sørensen (1948)이 제시한 식 5를 이용하였다.(5)

    SI = 2 S i j S i + S j
    (5)

    여기서 Siji지점과 j지점에서 공통으로 채집된 종 수이고 Sii지점에서 채집된 총 종 수, Sjj지점에서 채집된 총 종 수이다 (Sørensen 1948).

    결과 및 고 찰

    1. 곤충 종 발생 양상

    경상남도 사천시에서 2013~2017년 5년 동안 총 15목 123 과 464종 37,941개체가 채집되었다. 그 중 2016년에 214종 으로 가장 다양하게 채집되었고, LMO에서 99종으로 다양 하게 채집되었다. LMO 포장이 다른 두 포장에 비해 크기가 작지만 비슷하게 종수가 채집된 것으로 보아 LMO 포장이 다른 포장에 비해 종이 풍부하다고 볼 수 있다 (Table 1). 5년 동안 딱정벌레목, 파리목, 노린재목 순으로 우점하였다. 그 중 딱정벌레목이 전체 개체 중 66.46%를 차지하였다. 직접 관찰방법에서는 노린재목, 잠자리목, 파리목 순으로 우점하 였고, 그 중 노린재목이 전체 개체 중 40.8%를 차지하였고, 잠자리목이 22.3%를 차지하여 두 목이 62% 이상 차지하였 다. 유인관찰방법에서는 딱정벌레목, 파리목, 날도래목 순으 로 우점하였고, 그 중 딱정벌레목이 전체 개체 중 72.55%를 차지하였다. Moon (2015)의 LM벼 포장에서 포충망 조사 및 Suction trap 결과를 보면 노린재목의 멸구과, 매미충과, 노린 재과, 나비목의 명나방과, 메뚜기목의 메뚜기과, 딱정벌레목 의 바구미과가 발생하였으며, 이는 직접관찰방법의 우점목 과 유사함을 보인다. 하지만 Moon (2015)의 LM벼 포장과의 차이은 전라북도 익산시의 농촌진흥청 국립식량과학원 벼맥 류부 격리포장과 경상남도 사천시의 경상대학교 격리포장과 의 지역적 차이로 사료된다 (Table 2). 지난 5년간 딱정벌레 목, 파리목, 노린재목, 날도래목이 주요 우점목으로 채집되었 다. 각 연도별로 우점목을 비교한 결과 2013, 2014, 2017년 에는 딱정벌레목이 우점하였고, 2015, 2016년에는 파리목이 우점하였다. 딱정벌레목은 지난 5년 동안 상위 우점목에 항 상 포함되었다 (Table 3).

    경상북도 군위군에서 2015~2016년 2년 동안 총 13목 111 과 366종 10,030개체가 채집되었다. 그 중 2015년에 228종 으로 가장 다양하게 채집되었다 (Table 4). 2년 동안 딱정벌 레목, 파리목, 날도래목 순으로 우점하였다. 그 중 딱정벌레 목이 전체 개체 중 29.91%를 차지하였고, 파리목이 25.23% 를 차지하여 두 목이 전체 개체의 50% 이상 차지하였다. 직 접관찰방법에서는 메뚜기목, 노린재목, 잠자리목 순으로 우 점 하였다. 그 중 메뚜기목이 전체 개체 중 41.77%를 차지하 였고, 노린재목이 24.42%를 차지하여 두 목이 전체 개체의 65% 이상 차지하였다. 유인관찰방법에서는 딱정벌레목, 파 리목, 날도래목 순으로 우점하였다. 그 중 딱정벌레목이 전 체 개체 중 34.93%를 차지하였고, 파리목이 28.51%를 차지 하여 두 목이 전체 개체의 60% 이상 차지하였다. Kim et al. (2010)의 결과 경상북도 군위군 경북대학교 격리포장에서 엔진식 흡충기를 이용하여 노린재목의 멸구류, 매미충류, 진 딧물류, 노린재류, 나비목의 나방류, 딱정벌레목의 바구미류, 총채벌레목의 총채벌레류를 채집하였다. 조사방법의 차이가 있지만, 노린재목이 우점하는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다 (Table 5). 지난 2년간 딱정벌레목, 날도래목, 파리목, 노린재목, 하 루살이목, 나비목이 주요 우점목으로 채집되었다. 각 연도별 로 우점목을 비교한 결과 2015년에는 딱정벌레목이 우점하 였고, 2016년에는 파리목이 우점하였다. 하지만 2015, 2016 년 둘다 상위 우점종이 딱정벌레목, 날도래목, 파리목이여서 큰 차이는 없다 (Table 6).

    2013~2017년까지 총 5년 동안 조사된 모든 곤충은 각 년 도별로 비교하여, 부록에 따로 정리하였다 (Appendix 1, 2).

    2. 곤충상 군집분석

    표본추출방법에 따른 군집분석 결과는 경상남도 사천시와 경상북도 군위군을 나누어 정리하였다. 경상남도 사천시의 5 년간의 군집분석 결과로 우점도 지수를 비교해본 결과 2013 년에 LMO, 두량1, 두량2에서 각각 0.90, 0.98, 0.95로 다른 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2013년에 단일종이 많 이 채집된 것으로 사료된다. 다양도 지수를 비교해본 결과 2015년에 LMO, 두량1, 두량2에서 각각 3.74, 4.12, 3.93으로 다른 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2015년이 다른 해 에 비해 다양하게 종이 채집된 것으로 사료된다. 균등도 지 수를 비교해본 결과 2015년에 LMO, 두량1, 두량2에서 각각 0.74, 0.78, 0.74로 다른 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2015년이 다른 해에 비해 종들의 개체수가 비슷한 것으로 사료된다. 풍부도 지수를 비교해본 결과 2015년에 LMO, 두 량1, 두량2에서 각각 20.86, 27.91, 28.72로 다른 해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2015년이 다른 해에 비해 종 구성 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able 7). 유사도 지 수를 비교해본 결과 2014년에 LMO와 두량1, LMO와 두량 2, 두량1과 두량2의 지수가 각각 0.60, 0.55, 0.59로 다른 해 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각각의 두 지역 간의 유사 도가 높다는 것으로 채집된 종 중 동일 종이 많은 것으로 사 료된다 (Table 8).

    경상북도 군위군의 2년간의 군집분석 결과로 우점도 지 수를 비교해본 결과 2016년에 LMO, 화계1, 화계2에서 각각 0.28, 0.48, 0.43으로 2015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 는 2016년의 지수가 사천시의 우점도 지수보다 낮지만, 군 위군의 다른 해의 우점도 지수보다 높아 단일종이 더 채집 된 것으로 사료된다. 다양도 지수를 비교해본 결과 2015년에 LMO, 화계1, 화계2에서 각각 4.18, 3.71, 4.02로 2016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2016년에 비해 포장에서 다 양한 종들이 채집된 것으로 사료된다. 균등도 지수를 비교해 본 결과 2015년에 LMO, 화계1, 화계2에서 각각 0.82, 0.72, 0.76으로 2016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2016년 에 비해 종들의 개체수가 비슷한 것으로 사료된다. 풍부도 지 수를 비교해본 결과 2015년에 LMO, 화계1, 화계2에서 각 각 24.35, 23.45, 27.41로 2016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는 2016년에 비해 종 구성이 균형을 이루고 있는 것으 로 사료된다 (Table 9). 유사도 지수를 비교해본 결과 2015년 에 LMO와 화계1, LMO와 화계2, 화계1과 화계2의 지수가 각각 0.40, 0.42, 0.48로 2016년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이 결 과는 각각 두 지역 사이의 유사도 정도를 나타내는 것으로 2016년보다는 높지만 0.5를 넘지 못하는 것으로 보아 채집 된 종 중 동일종이 많다고는 할 수 없다 (Table 10).

    사천시, 군위군과 Son et al. (2016)에서 구미시, 김제시, 부여군, 진주시의 논를 비교하면, 사천시와 군위군의 우점 도 지수는 각각 0.21~0.98, 0.21~0.48 다양도 지수는 각 각 0.30~4.12, 2.86~4.18 균등도 지수는 각각 0.08~0.78, 0.61~0.81 풍부도 지수는 각각 3.13~28.72, 13~27.41이며, Son et al. (2016)에서 우점도 지수 0.16~0.29, 다양도 지수 4.52~5.22, 균등도 지수 0.89~0.93, 풍부도 지수 6.64~9.76 으로 보였다. 우점도 지수와 풍부도 지수는 사천시와 군위군 이 비교적 높은 수준을 보였고, 다양도 지수와 균등도 지수 는 사천시와 군위군이 비교적 낮은 수준을 보였다. 이것으로 보아 사천시와 군위군는 다른 지역에 비해 몇몇 종의 우점 이 높은 것으로 사료된다.

    Bae et al. (2012)는 격리포장 안에서 Protox 저해 제초제 내 성 LM 벼를 재배 후 일반 벼와 비교하여 발생하는 곤충상을 비교한 결과 LM 벼와 일반 벼 사이의 곤충상 차이가 각 지 역에의한 환경 차이로 인한 것으로 연구결과가 나타났고, 이 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와 유사한 결과를 보인다. 이건 아직 외부로 환경방출이 일어나지 않은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과는 경남 사천시의 5년, 경북 군위군의 2년 동안 직접관찰방법과 유인관찰방법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전 체 채집된 개체수 중 유인관찰방법으로 채집된 개체수가 직 접관찰방법보다 압도적으로 높게 채집되었다. 하지만 직접 관찰방법에 비해 종 다양성이 떨어지는 결과를 보이며, 실험 포장에서 직접관찰방법을 이용하여 잡는 것은, 포장 내에 있 는 종을 대상으로 실시 가능한 것이고, 또한 유인관찰방법의 경우, 유인력에 의한 타종의 혼입가능성 및 몇몇 나방 인편 손실에 의한 종 분류 불가로 인하여 상대적으로 그 결과를 획득하기 힘들었다. 직접관찰방법과 유인관찰방법에서 채집 되는 곤충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두가지 방법을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것이 유리하다. 다년간 LMO포장과 일반포장을 비 교해본 결과 매년 상위 주요 목은 우점 순서를 제외하면 거 의 같은 목이 나타나는 것을 보아 아직까지는 LMO포장과 일반포장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지 않았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LMO포장과 일반포장 사이의 유사도 지수와 일반포 장 사이의 유사도 지수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LMO로 인한 차이가 아닌 환경에 의한 차이로 사료된다. 본 연구결 과는 형질전환 작물의 안전성을 확실히 평가할 수 없었지만, 이 결과를 기초로 하여 향후 지속적으로 형질전환 작물의 안전성 연구에 필히 도움이 될 것으로 사료된다.

    적 요

    형질전환 벼와 일반 벼의 환경위해성 평가 기초자료를 위 해 경상남도 사천시에서 2013~2017년, 경상북도 군위군에 서 2015~2016년 7월 말부터 10월 초까지 벼에 발생하는 곤 충상을 조사하고 군집특성을 분석하여 비교하였다. 사천시 에서 형질전환 벼는 경상대학교 LMO (Living genetically Modified Organism) 격리포장 내에서 재배되었고, 일반 벼는 경상남도 사천시 사천읍 두량리에서 재배되었다. 군위군에 서 형질전환 벼는 경북대학교 LMO 격리포장 내에서 재배 되었고, 일반 벼는 경상북도 군위군 효령면 화계리에서 재배 되었다. 채집방법으로 육안 조사, 포충망 조사, 유아등 트랩, 끈끈이 트랩을 이용하였다. 5년 동안 사천시에서 총 15목 123과 464종 37,941개체가 채집되었고, 2년 동안 군위군에 서 총 13목 111과 366종 10,030개체가 채집되었다. 다년간 LMO포장과 일반포장을 비교해본 결과 매년 상위 주요 목 은 우점 순서를 제외하면 거의 같은 목이 나타나는 것을 보 아 아직까지는 LMO포장과 일반포장의 차이가 뚜렷하게 나 타나지 않았다고 사료된다. 그리고 LMO포장과 일반포장 사 이의 유사도 지수와 일반포장 사이의 유사도 지수가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보아 LMO로 인한 차이가 아닌 환경에 의한 차 이로 사료된다.

    사 사

    본 연구는 LMO환경위해성 평가기관 운영비 (과제번호: PJ013699) 지원에 의해 이루어졌습니다.

    Figure

    Table

    Number of orders, families, species and individuals surveyed at each Sacheon sampling site in each sampling dat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f each insect order surveyed at each sampling method in Sacheon

    Order ranking at each Sacheon sampling site in sampling date

    Number of orders, families, species and individuals surveyed at each Gunwi sampling site in each sampling date

    Number of species and individuals of each insect order surveyed at each sampling method in Gunwi

    Order ranking at each Gunwi sampling site in sampling date

    Community analyses on the insect fauna surveyed at each Sacheon sampling site in sampling date

    Comparison of the similarity indices to insect fauna surveyed at each Sacheon sampling site in each sampling date

    Community analyses on the insect fauna surveyed at each Gunwi sampling site in sampling date

    Comparison of the similarity indices to insect fauna surveyed at each Gunwi sampling site in each sampling date

    Reference

    1. AhnSJ . 2013. Study on insect fauna and diversity of Junam wetland. Doctoral thesis,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2. AhnSJ, WG Kim and SS Kim. 2010. Natural Ecology of Korea 1: A pictorial book of Stink bug Pil Tong, Seoul (inKorean).
    3. BaeSM , MR Yu, HG Yun, TY Shin, JB Choi, WW Lee, HJ Kim, HT Kim and SD Woo. 2012. Assessment of insects in transgenic rice (CPPO06) resistant to the herbicide . J. Agr. Sci. Chungbuk Nat’l Univ.28:137-142.
    4. BaeYJ , SI Jo, DH Hoang, HG Lee and KB Na. 2004. Biodiversity and community composition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from Upo wetlands in Korea . Kor. J. Environ. Eco.18:75-91.
    5. BaekMG . 2012. Lists of Korean Organisms 2: Apictorial book of Nocturnal Insects. Jayeongwa Sangtae, Seoul(in Korean).
    6. BorrorDJ , CA Triplehorn and NF Johnson. 1989. An introduction to the study of insects, 6th ed., Saunders College Publishing, Florida.
    7. CBD. 1992. Co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Montreal, Canada.
    8. DalePJ , B Clarke and EM Fontes. 2002. Potential for the environmental impact of transgenic crops . Nat. Biotechnol.20:567-574.
    9. ESK. 2013. Master plan for managing Biodiversity center of Korea. Ecological Society of Korea, Ministry of Environment, Seoul.
    10. FrewerL , J Lassen, B Kettlitz, J Scholderer, V Beekman and KG Berdal. 2004. Societal aspects of genetically modified foods . Food Chem. Toxicol.42:1181-1193.
    11. GastonKJ and JI Spicer. 2004. Biodiversity: An Introduction, 2nd ed. Blackwell Publishing Ltd. Oxford, UK.
    12. GullanPK and PS Cranston. 2005. The insect - An outline of entomology. Blackwell Publishing Ltd.Oxford, UK.
    13. JungGS . 2012. Lists of Korean Organisms 1: Korean Dragon Flies. Jayeongwa Sangtae, Seoul(in Korean).
    14. JungSB , HS Jun, GS Yang, JS Go, JG Oh and WT Kim. 2008.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aquatic insets at wetlands in Mt . Halla. Kor. J. Env. Eco.22:40-41.
    15. KimKH , DS Kim, CG Park, SW Cho, YN Yoon and KY Lee. 2012. Principles and application in insect pest management. Hyang Moon Sa, Seoul(in Korean).
    16. KimKM , TH Ryu and SJ Suh. 2010. Studies on insect diversity related to genetically engineered vitamin A rice under large scale production . Korean J. Breed. Sci.42:157-162.
    17. KNA. 2012. Insects illustrated book. Korea National Arboretum, Korea (http://www.nature.go.kr).
    18. KwonYH , TH No, HW Lee and HR Jeong. 2006. Biodiversity in environmental assessment of the introduction of this item. Korean Environment Institute, Korea.
    19. LeeDH , JW Hwang, SH Sung, CS Yoon and SW Cheong. 2009. A characteristic on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of the Shinbulsan wetland . J. Environ. Sci.18:561-567.
    20. LloydM and RJ Ghelardi. 1964. A table for calculating the “equitability” component of species diversity . J. Anim. Ecol.33:217-225.
    21. MargalefDR .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 Gen. Syst.3:36-71.
    22. McNaughtonSJ .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 Nature216:168-169.
    23. MoonJH . 2015. Effects of transgenic rice plant on insect fauna and biosafety evaluation on biological indicators. Chon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24. MorellV and F Lanting. 1999. The variety of life . National Geographic195:6-31.
    25. NohYH . 2014. Methods to improve efficiency of safety management system and policy of living modified organism focusing on LMO for trials and research. Doctoral thesis, Hannam University.
    26. PielouCE . 1969.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specific diversity, its use and misuse . Amer. Nat.100:463-465.
    27. PielouCE . 1975. Ecology diversity. . Wiley Publ., NY.
    28. PoppyGM . 2000. GM crops: environmental risks and non-target effects . Trends Plant Sci.5:4-6.
    29. PoppyGM . 2004. Geneflow from GM plants - towards a more quantitative risk assessment . Trends Biotechnol.22:436-438.
    30. RomeisJ , D Bartsch, F Bigler, MP Candolfi, MMC Gielkens, SE Hartley, R Layton, H Quemada, A Raybould, RI Rose, J Schiemann, MK Sears, AM Shelton, J Sweet, Z Vaituzis and JD Wolt. 2008. Assessment of risk of insect-resistant transgenic crops to nontarget arthropods . Nat. Biotechnol.26:203-208.
    31. RosenbergDM , HV Danks and DM Lehmkuhl. 1986. Importance of insects in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 Environ. Manage.10:773-783.
    32. SonJK , MJ Kong, DH Kang, BH Kang, SW Yun and SI Lee. 2016. The comparative studies on the terrestrial insect diversity in protected horticulture complex and paddy wetland . J. Wet. Res.18:386-393.
    33. SonSB . 2009. Road map of ecological research 10: A pocket pictorial book of beetles. Hwang So Geol Eum, Seoul(in Korean).
    34. SørensenT. 1948. A method of establishing groups of equal amplitude in plant sociology based on similarity of species content. Kongelige Danske Videnskabernes Selskab Publ., Denmark.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Environ. Bi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11626/KJEB.
    Year of Launching 1983
    Publishe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

    Contact info

    Any inquiries concerning Journal (all manuscripts, reviews, and notes) should be addressed to the managing editor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Yongeun Kim,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E-mail: kyezzz@korea.ac.kr /
    Tel: +82-2-3290-3496 / +82-10-9516-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