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6-9999(Print)
ISSN : 2287-7851(Online)
Korean J. Environ. Biol. Vol.40 No.4 pp.615-630
DOI : https://doi.org/10.11626/KJEB.2022.40.4.615

Floristic study of Mt. Seongdeok (Ganghwa-gun) in Korea

Jung-Hyun Kim*
, Sung-Ae Park1
Korean Plant Diversity Institute, Gimpo 10111, Republic of Korea
1Water Environment Engineering Research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 Research, Incheon 22689, Republic of Korea
* Corresponding author Jung-Hyun Kim Tel. 031-987-0653 E-mail. kimjh4065@hanmail.net
30/11/2022 26/12/2022 28/12/2022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flora of Mt. Seongdeok (Ganghwa-gun) in Korea. From the results of nine field surveys from March 2020 to July 2022, a total of 445 total taxa, representing 397 species, nine subspecies, 35 varieties, two forms and two hybrids were identified, which were placed in 273 genera and 93 families. The plant formation of Mt. Seongdeok is a deciduous broad-leaved and conifer mixed forest, which is common in the middle part of the Korean Peninsula. Most of the mountain is covered by a young secondary forest, which is mainly composed of Quercus ssp. and Pinus ssp. Among them, five taxa were endemic to Korea, one taxon were endangered plant and two taxa were red list plants. The floristic target plants amounted to 27 taxa, specifically one taxon of grade V, four taxa of grade III, seven taxa of grade II, and 15 taxa of grade I. And 43 taxa were northern lineage plants. A total of 46 species of alien plants were identified, with a Naturalized Index of 10.3%, an Urbanization Index of 11.7%, and six plants that disturbed the ecosystem. Our results provide basic data on vascular plants flora, and plant diversity and distributional changes.



성덕산 (강화군)의 관속식물상

김 중현*
, 박 성애1
한반도식물다양성연구소
1국립환경과학원 물환경공학연구과

초록


    서 론

    강화군은 인천광역시의 도서로 총 면적은 411.421 km2 에 달한다 (GHG 2022). 강화도는 서해 중부에 위치하는 섬 으로 태안반도와 옹진반도 사이의 경기만에 속한다 (Lee et al. 2022). 한강과 예성강 하구를 경계로 북쪽은 황해도 개풍군과 연백군이 인접하며, 남쪽은 염하를 끼고 김포반 도와 마주한다 (Beom 2003). 지형은 섬의 중앙부에서 남 북방향으로 경사도가 낮고 험준하지 않은 구릉성 산지들 이 분포한다 (Kim et al. 2022). 지질은 주로 선캄브리아기 의 화강암질 편마암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남서쪽에는 중 생대 쥐라기에 관입된 대보화강암이 주를 이룬다 (Kim and Park 2018). 기후는 대체로 온난하지만 바다에 둘러싸여 있 어 해풍이 심하고 겨울철 기온이 낮은 중부서안형에 속한 다 (Lee et al. 2005). 최근 5년 (2016∼2020)간 평균기온은 11.8°C, 평균강수량은 1,099 mm였다 (GHG 2022).

    강화도는 갯벌, 해안, 간척지, 농경지, 저수지, 하천, 산 지 등 다양한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어 생물다양성이 풍 부하다 (Kim et al. 2022). 또한 민통선이라는 특수한 지 리적 특성으로 비교적 낮은 인구밀도와 개발 억제의 반 사적 효과로 인해 비무장지대와 함께 자연생태계가 우 수한 곳으로 알려져 있다 (KNA 2021a). 특히 식물다양 성 측면에서 매화마름 (Ranunculus kadzusensis)의 멸종 위기식물뿐 아니라 산부싯깃고사리 (Cheilanthes kuhnii), 금강가물고사리 (Woodsia microsora), 고란초 (Selliguea hastata), 옥녀꽃대 (Chloranthus fortunei), 각시족도리풀 (Asarum misandrum), 송이바꽃 (Aconitum carmichaelii), 승마 (Cimicifuga heracleifolia), 큰제비고깔 (Delphinium maackianum), 왜미나리아재비 (Ranunculus franchetii), 물 여뀌 (Persicaria amphibia), 고로보이짚신나물 (Agrimonia gorovoii), 나도국수나무 (Neillia uekii), 강화황기 (Astragalus sikokianus), 삼색싸리 (Lespedeza buergeri subsp. tricolor), 들 완두 (Vicia bungei), 산닥나무 (Wikstroemia trichotom), 가는 털백미꽃 (Cynanchum chinense), 들통발 (Utricularia pilosa), 곤달비 (Ligularia stenocephala), 두루미천남성 (Arisaema heterophyllum), 경성사초 (Carex pallida), 대구사초 (Carex paxii), 갯바늘골 (Eleocharis parvula), 붉노랑상사화 (Lycoris flavescens), 솔붓꽃 (Iris ruthenica), 천마 (Gastrodia elata) 등 의 희귀식물이 분포한다 (Kim et al. 2022). 이 가운데 옥녀 꽃대, 각시족도리풀, 삼색싸리, 곤달비, 산닥나무는 한반도 내 북한계선에 속하며, 매화마름, 송이바꽃, 승마, 가는털백 미꽃, 갯바늘골, 붉노랑상사화는 서해안 일부지역과 강화 도에서만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식물이다 (Kim et al. 2022). 이와 같이 강화도는 일부 남방계 식물이 북상하는 최북단 지역으로 북방계 식물과 함께 공존하고 다수의 희귀식물 이 격리 분포하는 등의 식물지리학적 특성이 잘 반영된 우 리나라의 핵심 지역 가운데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Kim et al. 2022).

    본 연구지인 성덕산 (215 m)은 인천광역시 강화군의 최 북단인 양사면에 위치하며, 북한 개풍군 및 연백군과 1.8 km 해안거리를 두고 있는 접적지역으로 강화지맥이 시작되 는 곳이다 (GHG 2022). 지리적으로 북위 37°47′∼37°49′, 동경 126°24′∼126°26′ 사이에 자리한다. 이 일대는 북한과 인접한 최북단 지역으로 해병대 2사단이 주둔하고 있으며, 검문소에서 신분증 제시와 함께 출입증을 발급받아 출입이 가능하다. 이러한 지역적 특색 때문에 농토는 비옥하고 자 연경관이 수려하며, 천연기념물인 저어새 (Platalea minor), 노랑부리백로 (Egretta eulophotes) 등의 철새가 찾는 깨끗한 자연환경이 보존된 청정지역으로 그간 일반인의 출입이 엄격히 통제되고 제한적으로 이루어져 자연생태계의 건강 성과 연속성이 유지될 수 있었다. 그러나 지역 주민의 중첩 된 규제 완화와 정주여건 개선을 지속적으로 요구하여 최 근 검문소 통폐합 운영이라는 목적 달성과 함께 출입통제 와 규제가 완화되었다. 또한 안보교육을 목적으로 강화평 화전망대를 찾는 관광객 증가와 더불어 오랜 기간 군부대 가 주둔하여 생태계 훼손과 변화가 우려된다.

    본 지역과 인접한 봉천산의 관속식물상에 대해서는 Woo et al. (2007), Kim et al. (2016a), Park (2016)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었지만, 성덕산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전무한 실정이 다. 따라서 본 연구는 확증표본에 기초한 종조성의 특징과 주요 식물의 현황을 파악하여 식물자원의 분포와 보존 및 관리방안에 대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재료 및 방법

    관속식물 조사는 2020년 3월부터 2022년 7월까지 총 9 회에 걸쳐 현지 조사를 수행하였으며 (Table 1), 조사경로 는 Fig. 1과 같다. 성덕산에 생육하는 모든 관속식물을 채집 하고 건조표본으로 제작하여 국립생물자원관 표본수장고 (KB)에 보관하였다. 조사는 등산로를 중심으로 산지, 능선, 계곡, 사면, 평지, 저수지 등의 생태학적 생육지를 포함하 였으며, 일부는 등산로를 벗어나 무작위로 채집하였다. 식 물의 동정은 Lee (1980), Lee (1996), Park (2009), Cho et al. (2016), Lee and Lee (2018), Kim and Kim (2018), Kim et al. (2018) 등의 도감을 참고하였다. 관속식물의 목록은 확증 표본을 바탕으로 작성하고 속 이하의 계급은 알파벳순으 로 정리하였다 (Appendix 1). 목록 간소화를 위해 중복 채 집품은 대표번호 하나만을 부여하고, 식재된 분류군은 국 명 뒤에 식재를 표기하였다. 식물의 학명, 국명, 배열은 국 가생물종목록 (NIBR 2019)을 따랐으며, 주요 식물의 선별 은 한반도 고유종 (Chung et al. 2017), 멸종위기식물 (ME 2017), 지역적색목록 (NIBR 2021),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NIE 2018), 북방계 식물 (Amarsanaa et al. 2020), 외래식물 (KNA 2021b), 생태계교란식물 (NIE 2021)을 참조하여 제 시하였다.

    결 과

    1. 관속식물 현황

    성덕산 일대의 관속식물은 93과 273속 397종 9아종 35 변종 2품종 2교잡종의 총 445분류군으로 확인되었으며, 이 에 대한 확증표본은 568점을 확보하였다. 양치식물은 10 과 13속 18종 1변종의 19분류군, 나자식물은 2과 3속 6종 의 6분류군, 피자식물 가운데 쌍자엽식물은 71과 196속 271종 9아종 24변종 2품종 2교잡종의 308분류군, 단자엽 식물은 10과 61속 102종 10변종의 112분류군으로 구성되 었다 (Table 2, Appendix 1). 이는 한반도 관속식물 4,552분 류군 (NIBR 2019)의 9.8%, 인천광역시 관속식물 1,065분류 군 (NIE 2017)의 41.8%에 해당하였다. 식물목록을 바탕으 로 종 다양성이 높은 상위 10개 과는 벼과 (58분류군), 국화 과 (52분류군), 사초과 (31분류군), 장미과 (24분류군), 콩과 (24분류군), 마디풀과 (20분류군), 꿀풀과 (17분류군), 석죽 과 (14분류군), 십자화과 (13분류군), 제비꽃과 (10분류군) 로 전체 관속식물의 59.1%에 해당하였다.

    성덕산은 산지습지, 계곡, 초지, 저수지, 암벽, 농경지 등 다양한 생육환경을 지녀 해발고도에 비해 많은 식물이 분 포하고 있다. 특히 북성리, 교산리의 매화마름 (Fig. 2A) 군 락지를 비롯하여 철산리, 덕하리의 산지습지는 달뿌리풀 (Phragmites japonica) 군락지, 삿갓사초 (Carex dispalata, Fig. 2E) 군락지, 넓은잎미꾸리낚시 (Persicaria muricata), 바보 여뀌 (Persicaria pubescens), 산쉽싸리 (Lycopus charkeviczii), 왕비늘사초 (Carex maximowiczii), 좀네모골 (Eleocharis wichurae), 좀올챙이골 (Schoenoplectiella hotarui), 진퍼리새 (Molinia japonica), 좀물뚝새 (Sacciolepis indica) 등 친수식물 이 같이 어우러져 식생 경관을 이루고 많은 식물자원이 분 포하고 있어 보존가치가 높은 중요한 지역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농경지가 인접하고 묘지 조성이 이루어지는 등 교 란이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어 다각적인 관리가 필요해 보인다.

    인접 지역인 봉천산의 연구와 비교해 보면, Kim et al. (2016)은 64과 127속 167분류군, Park (2016)은 95과 230 속 334분류군을 보고하여 성덕산보다 적었는데, 이는 해발 고도, 면적, 생육환경이 서로 달라 나타난 결과로 판단된다. 한편 Woo et al. (2007)은 봉천산이 포함된 5개 산지에서 67 과 164속 215분류군을 보고한 바 있으나, 산지 구분 없이 식물목록을 작성하여 비교에서 제외하였다.

    2. 멸종위기식물 및 지역적색목록

    멸종위기 II급에 해당하는 식물로 매화마름이 확인되었 다 (Table 3). 또한 지역적색자료집 (NIBR 2021)에서 준위 협 (near threatened, NT) 범주에 속하는 식물로 매화마름, 멱쇠채 (Scorzonera austriaca, Fig. 2D) 2분류군이 확인되었 다. 지역적색목록 평가는 IUCN의 세계적색목록 기준에 따 라 예비범주를 획득하고 지역 개체군의 상대적인 절멸위 험을 평가한 후, 상향 또는 하향 조정하여 최종범주를 도출 한다 (Kim et al. 2021). 이러한 평가 기준으로 멸종위기에 속하는 대다수의 분류군과 분포역이 좁은 고유종은 적색 목록에서도 취약 이상의 범주에 포함된다.

    매화마름은 일년생 또는 이년생의 저온성 수생식물로 논이나 그 주변 수로에 무리지어 자란다. 우리나라에서는 서해안 바닷가 인근에서만 제한적으로 자생하고 국외로는 일본에도 분포한다 (NIBR 2021). 매화마름은 논 습지의 청 정함을 대표하는 지표식물로 경작되는 논에서만 살 수 있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Jo 2009). 강화도에서 초지리의 매 화마름군락지가 람사르습지에 등록된 후, 강화도습지연대 의 모니터링을 통해 지속적으로 자생지가 확인되고 있다. 북성리, 교산리 군락지는 내셔널트러스트, 지자체 및 농민 들의 노력으로 결실이 끝난 후, 써레질이 이루어지므로 대 규모 군락이 유지되고 있었다. 멱쇠채는 다년생의 식물로 해안 산지나 양지바른 풀밭에 자란다. 우리나라에서는 중 부 이북에 걸쳐 넓은 범위에서 자생하고 국외로는 몽골, 중 국, 러시아 등지에도 분포한다 (NIBR 2021). 성덕산 양지바 른 풀밭에서 드물게 산발적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3. 한반도 고유종

    한반도 고유종은 서울제비꽃 (Viola seoulensis), 키버들 (Salix koriyanagi), 삼색싸리 (Fig. 2C) 등 총 5분류군이 확인 되었다 (Table 4). 서울제비꽃, 키버들, 백운산원추리 (Hemerocallis hakuunensis)는 한반도 중부 지역에서 비교적 넓 게 분포하며, 또한 강화도 지역에서도 많이 관찰되는 분류 군이다 (Kim et al. 2022). 서울제비꽃은 저지대의 숲 가장 자리와 풀밭에서 많은 개체가 확인되었으며, 키버들은 저 지대의 습지한 곳에서 산발적으로 분포하고 있었다. 백운 산원추리는 산지의 사면과 능선에서 연속적으로 출현하 였다. 이들은 개체군의 크기나 분포 범위를 고려할 때, 현 재의 세력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된다. 삼색싸리는 전라 남도 남서쪽 지역에서만 드물게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 져 있다 ( Jin et al. 2019). 본 조사를 통해 중부 지역에서 처 음으로 보고되는 분류군이다. 양사면 덕하리의 산지 숲 속과 가장자리에서 20여 개체가 확인되었으며, 이 일대 가 삼색싸리 분포역의 최북단 지역으로 추정된다. 이러 한 자생지 발견은 계통 및 식물지리학적 연구와 유전자 원의 보전적인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한편 은사시나무 (Populus×tomentiglandulosa)는 북성지 주변에 식재되어 식 물분포학적 중요성은 적은 것으로 판단된다.

    4.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환경평가를 위한 식물군으로 종 보존 우선순위를 결정하고 어느 특정한 지역과 공간 내 자연환경의 우수성을 파악하고자 이용하는 데 목적을 두 고 있다 (NIE 2018). 본 지역의 특정식물은 총 27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 이 가운데 일부 지역에만 제한적으로 분포 하여 식물지리학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평가받는 IV등급 이상은 1분류군으로 조사되었다. V등급은 매화마름 1분류 군, IV등급은 관찰되지 않았다. 그 외에 III등급은 물박달나 무 (Betula dahurica), 좁쌀풀 (Lysimachia davurica) 등 4분류 군, II등급은 꿩고비 (Osmunda cinnamomea), 꼬리조팝나무 (Spiraea salicifolia, Fig. 2B), 왕미꾸리광이 (Glyceria leptolepis, Fig. 2F) 등 7분류군, I등급은 야산고비 (Onoclea sensibilis), 대 극 (Euphorbia pekinensis), 왜박주가리 (Tylophora floribunda) 등 15분류군이다 (Table 5).

    각시족도리풀, 물박달나무는 산지의 숲속에서 산발적으 로 생육하고 좁쌀풀, 꼬리조팝나무, 대극, 왕미꾸리광이는 북성리 도로 옆 습지 가장자리에서 드물게 분포하고 있었 다. 산지의 숲속에 생육하는 개체는 안정적인 세력을 유지 할 것으로 보이나, 도로 가장자리에 생육하는 개체는 여름 철 집중호우에 따른 토사유출과 주기적인 제초 작업으로 인한 교란이 발생하고 있어 적절한 대책이 요구된다.

    5. 북방계 식물

    기후변화에 취약한 북방계 식물은 관중 (Dryopteris crassirhizoma), 야광나무 (Malus baccata), 큰구슬붕이 (Gentiana zollingeri), 애기골무꽃 (Scutellaria dependens), 나도송이풀 (Phtheirospermum japonicum), 올괴불나무 (Lonicera praeflorens), 애괭이사초 (Carex laevissima), 붓꽃 (Iris sanguinea) 등 총 43분류군으로 확인되었다 (Table 6). 이는 한반도 북 방계 식물로 지정된 616분류군의 7.0%에 해당되었다. 성 덕산에 분포하는 북방계 식물에는 물박달나무, 꼬리조팝 나무, 애기골무꽃, 멱쇠채, 왕미꾸리광이 등 분포역이 좁은 식물도 있지만, 소나무 (Pinus densiflora), 물오리나무 (Alnus hirsuta), 고추나물 (Hypericum erectum), 제비꽃 (Viola mandshurica), 진달래 (Rhododendron mucronulatum), 노루발 (Pyrola japonica), 산딸기 (Rubus crataegifolius), 왕머루 (Vitis amurensis), 뺑쑥 (Artemisia lancea), 흰민들레 (Taraxacum coreanum), 산괭이사초 (Carex leiorhyncha) 등 분포역이 넓은 식물도 다수 확인되었다.

    6. 외래식물 및 생태계교란식물

    본 조사에서 밝혀진 외래식물은 취명아주 (Chenopodium glaucum), 부령소리쟁이 (Rumex patientia), 재쑥 (Descurainia sophia), 토끼풀 (Trifolium repens), 애기땅빈대 (Euphorbia maculata), 들괭이밥 (Oxalis dillenii), 털빕새귀리 (Bromus tectorum) 등 총 4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Table 7). 한반도 에 분포하는 외래식물을 기준으로 귀화율 (NI: Naturalized Index, 외래식물의 분류군 수/관속식물의 총 분류군 수 ×100)은 10.3%, 도시화지수 (UI: Urbanization Index, 외래 식물의 분류군 수/한반도 외래식물의 총 분류군 수×100) 는 11.7%로 산출되었다.

    성덕산의 외래식물은 해병대 주둔지, 임도 가장자리, 묘 지 주변, 농경지, 북성지 등 저지대의 인위적 교란지에 주로 분포하는 특성을 보였다. 일부 일년생의 외래식물은 산림 내 가장자리까지 침입이 나타나고 있었다. 이러한 이유는 환경 적응력이 뛰어난 외래식물은 토착종과의 식생 경쟁 에서 우위를 점하고 있기 때문이다 (Kim et al. 2020). 현재 강화평화전망대를 비롯하여 남북 1.8 평화센터 개관, 서해 랑길 (DMZ 평화의길)이 조성되어 이 지역을 찾는 관광객 이 증가하는 추세로 외래식물의 유입은 점차 가속화될 것 으로 판단되어 지속적인 관찰이 요구된다.

    생태계교란식물은 비외래식물인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을 포함하여 애기수영 (Rumex acetosella), 도깨비 가지 (Solanum carolinense), 단풍잎돼지풀 (Ambrosia trifida) 등 총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Table 8). 환삼덩굴, 돼지풀 (Ambrosia artemisiifolia), 단풍잎돼지풀, 미국쑥부쟁이 (Aster pilosus)는 산지 가장자리와 북성지 주변에 군락을 이루고 애기수영은 양지바른 묘지에서 소규모 군락을 형성하고 있었다. 도깨비가지는 능선이 시작되는 초입부에서 10여 개체가 모여 자라고 있었다. 이들은 생물다양성 보전 및 이용에 관한 법률 에 의해 위해성 평가 결과, 생태계에 미 치는 위해가 높은 만큼 추적관찰과 감시체계를 가동하고 중장기적인 계획을 세워 관리해야 할 것이다.

    고 찰

    최근의 생물상적 연구는 표본에 기초한 목록 작성을 원 칙으로 하고 있다 (Yang et al. 2020;Jang et al. 2021;Kim et al. 2021;Kang et al. 2022;Kim et al. 2022). 이러한 원칙은 학계, 정부 연구기관에서도 적용하고 있어 증거표본 또는 확증표본의 중요성은 더욱 강조되고 있다. 그에 따라 생물 표본 또는 확증표본을 채집하고 동정된 종을 바탕으로 목 록 작성과 재검토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생물상 및 생물다양성 조사는 그 지역의 동식물 현황과 변화를 파악하여 지자체에서 수립하는 자연환경보전계획 및 대책을 마련하는 데 매우 유용하며, 생태계적 위치와 특 성을 파악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한다 (Kang et al. 2022). 이 러한 조사로 신종 및 미기록종 발굴과 신분포지 확인을 기 대할 수 있으며, 멸종위기종, 지역적색목록, 고유종, 깃대종, 기후변화 지표종, 생태계교란종 등 각 생물다양성의 지표 선정과 목록 개정에 주요 자료로 활용된다. 식물상적 측면 에서도 앞서 기술한 바와 같이 방법론과 활용 등에서도 모 두 적용된다. 본 연구도 확증표본에 기초한 식물목록 작성 과 더불어 주요 식물의 분포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북성리, 교산리의 매화마름 군락지를 비롯하여 삼색싸리의 새로운 자생지 발견은 식물지리학적 관점에서 매우 의미 있는 결 과라 할 수 있다.

    식물표본에 근거한 관속식물상 연구는 국토의 보전과 개발계획 수립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뿐만 아니라 우리나 라 식물자원의 변화와 더불어 주권 및 실체를 주장하기 위 한 자료로 활용되므로 지속적으로 수행되어 자료를 축적 해야 한다 (Bae et al. 2021;Kang et al. 2022;Kim et al. 2022). 식물의 분포는 현재의 환경, 식물의 진화, 기후, 지형, 토양 등의 요소가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그 지역의 역사적 경과 에 의해서도 결정되므로 지역의 관속식물 및 식생의 분포 를 밝히기 위해서 공간적, 시간적 시야를 넓혀 거시적인 연 구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Im 1992;Kim et al. 2016b).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확증표본, 생육환경, 분포, 생태, 이미 지 등의 정보는 식물의 분포, 계통, 보전 등 학문적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이며, 전국적으로 실시되고 있는 전국자 연환경조사, 멸종위기식물 조사, 외래식물 분포 조사 등 생 태모니터링 사업과 생태복원 사업의 기반이 될 것으로 판 단된다.

    적 요

    본 연구는 성덕산의 관속식물을 밝히고 주요 식물을 조 사하였다. 2020년 3월부터 2022년 7월까지 총 9회에 걸쳐 조사한 결과, 관속식물은 93과 273속 397종 9아종 35변종 2품종 2교잡종의 총 44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성덕산은 온 대 중부지역에 속하고 침엽수와 낙엽활엽수 혼합림으로 산지의 대부분은 소나무류 - 참나무류가 우점하며, 2차림으 로 구성된다. 멸종위기식물은 1분류군, 지역적색목록은 2 분류군이었다. 한반도 고유종은 5분류군, 식물구계학적 특 정식물은 총 27분류군으로 V등급에 1분류군, III등급에 4 분류군, II등급에 7분류군, I등급에 15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북방계 식물은 43분류군, 외래식물은 46분류군이며, 귀화 율 10.3%, 도시화지수 11.7%로 나타났다. 생태계교란식물 은 6분류군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관속식물의 분포 자 료로써 식물다양성 및 분포변화의 정보로 활용될 것으로 판단된다.

    사 사

    본 논문은 정부 (환경부)의 재원으로 국립생물자원관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NIBR202002106, NIBR2022 03102).

    Figure

    KJEB-40-4-615_F1.gif

    Map of investigated areas in Mt. Seongdeok.

    KJEB-40-4-615_F2.gif

    Remarkable taxa in Mt. Seongdeok. A. Ranunculus kadzusensis, B. Spiraea salicifolia, C. Lespedeza buergeri subsp. tricolor, D. Scorzonera austriaca, E. Carex dispalata, F. Glyceria leptolepis.

    Table

    Investigated dates and routes in Mt. Seongdeok

    List of vascular plants in Mt. Seongdeok

    Number of vascular plants in Mt. Seongdeok

    List of endangered plant (grade II) and red list plants in Mt. Seongdeok

    List of Korean endemic plants in Mt. Seongdeok

    List of floristic target plants in Mt. Seongdeok

    List of northern lineage plants in Mt. Seongdeok

    List of invasive alien plants in Mt. Seongdeok

    List of ecosystem disturbance plants in Mt. Seongdeok

    Reference

    1. Amarsanaa G , SY Jung, WB Cho, EK Han, SK So and JH Lee.2020. Definition and species list of northern lineage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Herb. Med. Inf. 8:183-204.
    2. Bae YJ , KJ Cho, GS Min, BJ Kim, JO Hyun, JH Lee, HB Lee, JH Yoon, JM Hwang and JH Yum.2021. Review of the Korean indigenous species investigation project (2006-2020) by the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under the Ministry of Environment, Republic of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9:119-135.
    3. Beom SG. 2003. Irrigation facilities and system of Ganghwado. J. Incheon Stud. 2:303-344.
    4. Cho YH , JH Kim and SH Park.2016. Grasses and Sedges in South Korea. Geobook. Seoul.
    5. Chung GY , KS Chang, JM Chung, HJ Choi, WK Paik and JO Hyun.2017. A checklist of endemic plant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7:264-288.
    6. GHG.2022. Ganghwa Basic Statistics. Ganghwa-gun. Incheon, Korea.
    7. Im HT. 1992. Plant geographical study for the plant of Cheju. Korean J. Pl. Taxon. 22:219-234.
    8. Jang YJ , JS Park, JS Lee, JY Lee and BH Choi.2021. Re-examination of the vascular plants on Hongdo Island, Korea. Korean J. Pl. Taxon. 51:205-249.
    9. Jin DP , JW Park and BH Choi.2019. Taxonomic study on infraspecific taxa Lespedeza maximowiczii and hybrids with related species. Korean J. Pl. Taxon. 49:300-318.
    10. Jo IS. 2009. Ecological traits of endangered plant species, Ranunculus kadzusensis. M.S. Thesis. Seoul National University. Seoul.
    11. Kang HL , YJ Park, SM An, YB Lee, HR Lee and KS Cheon.2022. The flora of vascular plants in Jinjosan Mt. (Uljin-gun, Gyeongsangbuk- do). Korean J. Environ. Biol. 40:11-24.
    12. Kim JH and SA Park.2018. Floristic study of Manisan (Ganghwagun) in Korea. J. Korean Env. Res. Tech. 21:27-53.
    13. Kim JH , EH Jung, KU Lee, CH Nam, SA Park, CH Park, GH Nam, BY Lee and MH Suh.2016b. Vascular plant diversity and vegetation of Yokjido island in Tongyeong-si, Korea. Korean J. Pl. Taxon. 46:83-116.
    14. Kim JH , GH Nam, SB Lee, SK Shin and JS Kim.2021. A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limestone area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51:250-293.
    15. Kim JH , HJ Park, KU Lee and JS Kim.2020. Floristic study of Mt. Unbongsan in the basalt areas,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8:371-387.
    16. Kim JH , SA Park and CW Hyun.2022. A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on the Deok mountain (Ganghwa-gun) in Korea. J. Korean Env. Res. Tech. 25:67-89.
    17. Kim JS , JH Kim and JH Kim.2018. Herbaceous Plants of Korean Peninsula I. Plants Living in Seasides, Rivers, Wetlands and Cities. Dolbegae. Paju, Korea.
    18. Kim SJ , HT Shin, TI Heo, JW Yoon, YH Kwon and JB An.2016a. The flora of three mountains in Ganghwa island, Korea. Korean J. Plant Res. 29:604-619.
    19. Kim TY and JS Kim.2018. Woody Plants of Korean Peninsula. Dolbegae. Paju, Korea.
    20. KNA.2021a. Distribution Maps of Vascular Plants in the Korean DMZ (Indigenous Plants of DMZ and Adjacent Areas).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21. KNA.2021b. Checklist of Vascular Plants in Korea (Alien Plants).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Korea.
    22. Lee CS and KH Lee.2018. Pteridophytes of Korea: Lycophytes & Ferns (2nd edition). Geobook. Seoul.
    23. Lee JW , HG Yun, DH Kim, JH Song, SJ Kim and HY Gil.2022. A study on the flora and its naturalized plants Mt. Teomo· Hyeolgu (Incheon, Ganghwa-gun) in the western part of DMZ, Korea. Korean J. Environ. Ecol. 36:1-29.
    24. Lee SH , IH Heo, KM Lee and WT Kwon.2005. Classification of local climatic regions in Korea. J. Korean Meteor. Soc. 41:983-995.
    25. Lee TB. 1980. Illustrated Flora of Korea. Hyangmunsa. Seoul.
    26. Lee WT. 1996. Coloured Standard Illustrations of Korean Plants. Academy Publishing Co., Seoul.
    27. ME.2017. Wildlife Protection and Management Act. Ministry of Environment. Sejong, Korea. https://www.me.go.kr. Accessed on 30 December 2017.
    28. NIBR.2019. National Species List of Korea I: Plants, Fungi, Algae, Prokaryote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29. NIBR.2021. Red Data Book of Republic of Korea. Vol. 5. Vascular Plants.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Korea.
    30. NIE.2017. Data Book of National Ecosystem Survey.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31. NIE.2018. Floristic Target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32. NIE.2021. Information for the Field Management of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eon, Korea.
    33. Park SH. 2009. New Illustrations and Photographs of Naturalized Plants of Korea. Ilchokak. Seoul.
    34. Park SO. 2016. The vascular plants in Bongcheonsan (Mt.), Ganghwado isalnd. M.S. Thesis. Korea National Open University. Seoul.
    35. Woo KB , CS Chang, KS Chang, JK Eo and EH Lee.2007. Flora of Kwanghwa area of Incheon metropolitan city. Bull. Seoul Nat’l Univ. Arboretum 26:47-85.
    36. Yang SG , BM Nam, JE Jang, MJ Choi, GY Choi, KS Chung and HJ Choi.2020. A checklist of Gasan Mt.: An online platform for virtual specimens. Korean J. Pl. Taxon. 50:453-474.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Environ. Bi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11626/KJEB.
    Year of Launching 1983
    Publishe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

    Contact info

    Any inquiries concerning Journal (all manuscripts, reviews, and notes) should be addressed to the managing editor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Yongeun Kim,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E-mail: kyezzz@korea.ac.kr /
    Tel: +82-2-3290-3496 / +82-10-9516-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