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식물플랑크톤은 해양 생태계 먹이망과 생지화학적 순 환과정에서 중심적 역할을 하기 때문에 생태계 모델에 서 이들의 분포와 생물량 변동에 대한 모의는 핵심적인 연구주제가 되어왔다 (Bissinger et al. 2008). 최근 들어 국내에서도 연안 환경 및 생태계 관리 측면에서 생태계 모델의 필요성이 대두되면서 식물플랑크톤 증식 및 부영 양화를 모의하는 생태계 모델이 시도되어 왔다(Kim and Kim 2002; Kim et al. 2002; Song et al. 2007; Lee et al. 2008). 일반적으로 생태계 모형에 포함된 생물학적 매개 변수는 이∙화학적 매개변수보다 환경인자들에 더 민감 하고 복합적으로 영향을 받기 때문에 해역마다 상당히 다를 수 있다(Jørgensen 2011). 하지만 상당수의 국내 모 델이 식물플랑크톤 생장 관련 매개변수에 대한 실측자 료 부족으로 실제 현장특성과 상이한 외국 자료에 의존 하는 실정이다 (Song et al. 2011). 따라서 대상해역에서 우점하는 식물플랑크톤의 생리∙생태적 메커니즘에 대 한 상세한 지식확보는 성공적인 모델의 전제로써 매우 중요한 문제가 된다.
규조류 Skeletonema costatum sensu lato (Greville) Cleve 는 우리나라를 비롯한 전 세계적인 보편종으로(Choi and Shim 1986; Lee et al. 1997; Yeo et al. 1997; Yoon 1999; Yoon and Kim 2003; Park et al. 2009; Cho 2010b; Baek et al. 2011; Jahan 2013), 연안 환경에서 식물플랑크톤 대증 식에 기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Karentz and Smayda 1984; Cloern et al. 1985). 하지만 이 종은 최근 형태학적, 분자계통학적 재평가 연구를 통해 좁게 정의된 Skeletonema costatum sensu stricto (Greville) Cleve emend. Zingone et Sarno를 비롯해 최소 8종으로 구성되었다고 보고 되었다(Zingone et al. 2005; Sarno et al. 2005, 2007). 이 중 Skeletonema marinoi와 S. dohrnii는 높은 출현빈도로 온 대해역에서 분포하며 온대 저위도 지역에서는 겨울철에, 온대 고위도 지역에서는 봄 또는 초여름에 분포한다 (Kooistra et al. 2008). 또한 이 종들은 우리나라에서도 경 기만을 비롯한 서남해안 전역에서 사계절에 걸쳐 우점하 는 것으로 보고되었다(Jung et al. 2009) 이와 같이 이 종 들이 우리나라를 비롯한 온대해역에서 차지하는 생태적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생리∙생태학적 정보는 매우 부족 한 실정이다(Saggiomo et al. 2006; Suksomjit et al. 2009).
식물플랑크톤의 생장조절 인자들 가운데 광과 온도는 가장 중요한 인자이며(Yoder 1979), 식물플랑크톤의 생장 은 대사활동과 포화 광 사이의 상호작용에 영향을 받기 때문에 두 인자를 따로 분리해서 볼 수 없다 (Mortain- Bertrand et al. 1988). 또한 상대적으로 영양염이 풍부한 연안 환경에서 두 인자는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분포 를 조절하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생태계 모델에서 중, 고위도 식물플랑크톤의 일차생산과 천이를 모의하는데 있어서 광과 온도는 중요한 물리적 환경요 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만에서 우점하는 S. marinoi-dohrnii complex를 분리, 배양하여 넓은 범위의 온도와 광 조건에서 반응하는 생장률을 제시하고, 그 생장특성으로 부터 종의 분포특성을 이해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광, 온 도를 조합한 63가지 조건에서 생장률 실험을 수행하였 고, 그 결과를 잘 알려진 세 가지 생장 모형식에 적용하 여 최적합 방정식을 구하였다. 본 연구는 S. marinoi-dohrnii complex가 우점하는 경기만을 비롯한 서남해안 해 역에 대한 생태계 모델을 구축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
재료 및 방법
1.대상 식물플랑크톤 종의 분리, 동정 및 사전 배양
인천 관선부두 (N 37°26′59′′, E 126°35′43′′)에서 2013 년 3월(수온 7.2°C, 염분 28.7 psu)에 키타하라 네트(망목 ø45 μm)를 이용하여 채집한 시료에서 종을 분리하였다. 종 동정을 위하여 배양시료 중 일부를 루골 용액으로 고 정하였고, 산 처리를 통해 유기물을 제거한 후 시료를 건 조시키고 메탈 코팅하여 주사전자현미경(S-2460N, Hitachi Inc., Japan)으로 검경하였다 (Simonsen 1974; Sarno et al. 2005; Jung et al. 2009). 이 종주는 전자현미경을 통해 형태학적으로 Skeletonema marinoi로 분류되었으나, S. marinoi와 S. dohrnii의 정확한 동정을 위해서는 형태분 류학적 분류뿐만 아니라 분자계통학적 정보가 필요하기 때문에 (Kooistra et al. 2008) 본 연구에서는 S. marinoidohrnii complex로 기재하였다(Kaeriyama et al. 2011; Fig. 1). 사전 배양을 위해 분리된 종주는 현장 해수를 이용하 여 만든 f/2 배지에 접종한 후 수온 15°C, 광도 150 μmol photons m-2s-1, 명암주기 14 : 10 h (L : D) 조건 하에서 미 세공기 주입과 일일 1~2회 교반하면서 회분배양 (batch culture)하였고, 실험 전까지 지수성장(exponential growth) 단계를 유지하였다. 광원은 LED 투광등(Power LED 30W, cool white 6800K, Ruby-Lighting Co., Korea)을 이용하였 는데, 광합성 램프로 LED 사용은 높은 신뢰도, 재현성, 휴 대성 때문에 광합성 관련 전자전달, 탄소 대사활동, 미량 가스배출 등의 연구에 유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Ten- nessen et al. 1994).
2.생장률 실험
실험세트는 6개의 수조 각각에 광도구배가 9가지로 구성된 삼각플라스크(250 mL) 한 조씩 들어가도록 구성 하였다(Fig. 2). 수조의 온도는 각각 2, 5, 10, 20, 30, 35°C 를 유지하도록 항온순환기를 이용하였고, 2°C로 설정된 항온순환기에는 결빙을 방지하도록 부동액을 첨가하였 다. 9개의 삼각플라스크 각각에는 차광율이 다른 차광필 름 (LLumar® film)으로 감싸서 플라스크 안으로 투과되 는 광량이 각각 5, 10, 20, 30, 50, 70, 100, 200, 500 μmol m-2s-1 (각 설정 광도의 ±10%의 오차허용)가 되도록 하 였고 광량 측정은 광도계 (Biospherical Instruments Inc. QSL-2100)를 이용하였다. 광원은 항온수조 바닥을 통해 삼각플라스크 밑면을 비추도록 하였고 인접한 플라스크 로부터 나오는 빛에 영향을 받지 않도록 삼각플라스크 사이마다 검은색 칸막이를 두었다. 실험에서 배양밀도는 자가그늘지움 (self-shading)이 되지 않도록 종주 배양액 을 희석하여 플라스크에 동일한 양을 분주하였다. 분주된 종주가 광에 의한 사전적응을 피하고 동조배양 (Synchronization) 이 되도록 실험 전 24시간 동안 암 상태에 보관하였다. 이 때 종주가 수조온도에 순응할 수 있도록 수조의 설정온도를 서서히 단계적으로 맞추었다. 생장률 실험은 3~4일에 걸쳐 이루어졌으며 매일 오전 중에 각 각의 삼각플라스크로부터 시료를 채취하여 루골 용액으 로 최종농도 0.5%로 고정하였다. 시료는 Sedgwick-Rafter chamber에 1mL을 넣고 광학현미경(Olympus, BX50) 하 에서 계수하였다. 이 때 통계적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세 포수를 적어도 200개 이상 3회씩 반복하여 계수하여 평 균값을 사용하였다. 실험결과 확인 후 생장 상한온도를 찾기 위해 32°C 구간에 대한 실험을 추가 수행하였다.
3.생장률과 생장모형
특수생장률 (specific growth rate, d-1; 이하 생장률)은 하루 간격 (t=1 day)으로 계수된 세포수를 이용하여 식 (1)에 따라 계산하였다.
여기서 N0은 실험 초기에 존재하는 세포수이고 Nt은 일 정 배양시간 후의 세포수이다. 광도와 생장률 관계에 대 한 생리적 매개변수를 계산하기 위하여, 실험값을 세 가 지 모형(Steele 1965; Platt and Jassby 1976; Peeters and Eilers 1978)으로 곡선근사 (curve fitting)하여, 가장 적합 한 모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Steele (1965) 모형은 식 (2)와 같다.
여기서 μ는 광도 I에서 측정된 생장률이고, μ maxT와 IoptT 는 온도 T에서의 최대생장률과 최적광도이다. Platt and Jassby (1976)의 쌍곡선 탄젠트 함수는 식(3)과 같다.
여기서 μ는 광도 I에서 측정된 생장률이고, μ maxT는 온도 T에서의 최대생장률, α는 초기기울기 (또는 생장효율), Ic 는 x축 절편(또는 보상광도), Tanh는 쌍곡선 탄젠트 함 수이다. Peeters and Eilers (1978)의 광저해 모형은 식 (4) 와 같다.
여기서 μ, μ maxT , β는 각각 광도 I에서 측정된 생장률, 온 도 T에서의 최대생장률, 감쇠계수(attenuation coefficient) 이며 IoptT는 온도 T에서의 최적광도이다. 온도에 따른 최 대생장률 (μ max) 및 최적광도 (Iopt) 반응식을 구하기 위하 여 위 모형으로부터 구한 온도 (T)별 μ maxT과 IoptT값을 Logan et al. (1976)의 함수를 변형한 식 (5), (6)에 곡선근 사하였다(Cloern 1978).
수온계수 Q10은 지수성장하는 수온구간의 생장률을 식 (7)에 최소자승법으로 근사하여 구하였다.
여기서 μ1, μ2는 각각 절대온도 T1, T2에서의 생장률이다.
결 과
온도구간별로 광도에 따른 Skeletonema marinoi-dohrnii complex의 생장률 실험결과, 35°C를 제외한 모든 온도구 간(2~32°C)에서 생장하였으며, μ는 0.20~2.09 d-1의 범 위를 보였다(Table 1). 이 실험값을 세 가지 생장 모형식 을 이용한 결과는 Fig. 3과 같다. 모든 온도구간에서 이 종의 생장반응은 광도의 증가와 함께 μ가 급격히 증가 하였으나, μ가 최대에 도달한 광도 그 이상에서는 μ가 감 소하는 광저해(photoinhibition)현상을 보였다. 특히 저온 구간 (2, 5, 10, 20°C)에서는 대체로 온도가 높아질수록 μ 의 최대값과 IoptT도 함께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냈으나, 고온 구간 (30, 32°C)에서는 μ의 최대값과 IoptT가 감소하 는 경향과 동시에 현저한 광저해를 보였다. Steele (1965) 의 경험식 또는 Platt and Jassby (1976)의 쌍곡선 탄젠트 함수는 넓은 광도 범위에서 S. marinoi-dohrnii complex의 생장반응을 충분히 설명하지 못하였다. 구체적으로 Platt and Jassby (1976)의 모형은 높은 광도에서 광저해 현상 이 재현되지 않았다. 또한 Steele (1965)의 모형은 IoptT 부 근에서 μ를 과대 추정한 반면, IoptT보다 높은 광도에서는 과소 추정함으로써 결과적으로 광저해 현상을 지나치게 강조하였다. 하지만 Peeters and Eilers (1978)의 모형식은 실험값과 가장 잘 일치하였는데, 낮은 광도부터 IoptT까지 생장률의 지수적 증가를 잘 예측하였고 높은 광도에서도 광저해 효과를 잘 보여주었다. 결과적으로 이 모형의 타 당성은 이 종에 대한 실험값과 예측값 간의 높은 상관성 으로 확인되었다(r=0.96, n=54; Fig. 4). Peeters and Eilers 생장률 모형으로부터 구한 각 온도구간별 매개변수는 Table 2와 같다. μ maxT은 0.39~2.05 d-1의 범위로, 2°C와 20°C에서 각각 최소값과 최대값을 보였으며 이때 IoptT는 각각 78과 158 μmol m-2s-1이었다. 또한 감쇠계수 (β)는 고온으로 갈수록 작아져 광저해 효과가 커지는 것을 반 영하였다.
온도에 따른 S. marinoi-dohrnii complex의 최대생장률 (μ max)과 최적광도 (Iopt) 반응곡선과 그 함수식은 Figs. 5, 6 그리고 식(8), (9)와 같다. 이 결과로부터 이 종의 최대 μ max는 2.48 d-1이었고, 이 때 최적수온과 최적광도는 각 각 26.1°C, 최적광도 (Iopt)는 197 μmol m-2s-1로 계산되었 다 (Table 3). 온도에 대한 이 종의 생장반응은 최적온도 (26.1°C)를 중심으로 이보다 온도가 낮아질수록 μ max는 완만하게 감소한 반면에, 최적온도를 넘는 수온조건에서 는 급격하게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또한 반응곡선의 추세로 볼 때 이 종은 2°C 이하에서도 성장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약 130 여종의 식물플랑크톤 생장률에 기초하여 이론적 최대 생장율에 대한 온도 함수를 구한 Eppley (1972) 곡선과 비교하면, S. marinoi-dohrnii complex 의 생장반응은 저온에서부터 20°C까지 Eppley 곡선과 거 의 유사하였으나 그 이상의 온도부터는 증가 경향이 다 소 완만해지면서 Eppley 곡선과의 차이가 뚜렷하게 벌어 졌다. 이러한 반응곡선으로부터 얻어진 Q10은 1.78 (2~26 °C)으로 Eppley 곡선의 1.88보다 다소 낮았다.
고 찰
1.Skeletonema marinoi-dohrnii complex의 생장 매개변수
일반적으로 생태계 모델에 필요한 식물플랑크톤과 관 련한 매개변수는 모델의 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기 본적으로 식물플랑크톤 최대 μ max와 이 때의 Topt, Iopt이 다. 이러한 매개변수를 얻기 위해서는 넓은 범위의 온도 와 광도가 조합된 실험조건에서 수행되어야 한다.
실험결과로부터 도출된 S. marinoi-dohrnii complex의 생장반응식은 최대 μ max, Topt, Iopt에 대하여 각각 2.48 d-1, 26.1°C, 197 μmol m-2s-1을 나타내었다. 이들 매개변수를 기존 연구결과와 비교해 보면 최대 μ max는 상당한 차이 를 보였다. 구체적으로 Table 4를 보면, 기존 연구결과에 서 S. costatum s.l.의 최대 μ max는 1.5~3.47 d-1의 범위로 연구마다 큰 차이를 보였고, 같은 종인 S. marinoi-dohrnii complex의 경우에도 1.6 d-1 (Kaeriyama et al. 2011)으로 본 결과에 비해 크게 낮았다. S. costatum s.l.에서 보이는 큰 변동은 상당부분 Skeletonema 속의 종간 혹은 종내 차이에서 비롯될 수 있다. 예를 들어 Gallagher (1982)와 Kaeriyama et al. (2011)는 Skeletonema 속의 종들 간에 상 당한 생장률 차이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cf. Table 4). 한 편 본 연구와 Kaeriyama et al. (2011)에서 같은 종간 생 장률 차이는 생장률 측정법 (세포수 계수법과 클로로필 농도)이 다른데서 비롯된 세포수 생장률과 생체량 생장 률간의 차이로 해석되었다 (Pruder and Bolton 1980; Langdon 1987, 1988). 이러한 차이는 주로 규조류에서 나 타나는데, 그 이유는 규조류의 독특한 세포분열과정에 의해 모세포에서 나온 딸세포들의 크기가 여러 세대에 걸쳐 작아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생체량 생장률은 세포 수 생장률에 비해 낮고, 이러한 경향은 온도가 증가할수 록 세포분열 속도는 빨라지기 때문에 그 차이는 고온에 서 더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러한 현상은 Langdon (1988) 의 Table VII에서 5~25°C에서 측정된 개체수 생장률과 탄소생체량 생장률의 결과를 온도의 함수로 보면 각각 의 생장률은 선형관계를 보이지만 두 생장률의 기울기 가 달라 고온으로 갈수록 두 생장률의 차이가 커짐을 알 수 있다. 이 자료로 구한 개체수 대 탄소생체량 생장 률 비(평균 1.38)를 이용하여 본 결과의 세포수 생장률 2.48 d-1을 생체량 생장률로 환산한 결과는 1.80 d-1으로 Kaeriyama et al. (2011)의 1.6 d-1보다 다소 높았다.
2.S. marinoi-dohrnii complex의 생장특성과 분포
식물플랑크톤 종마다 각기 다른 생장온도 범위, 최적 온도, Q10을 갖는 것은 생태계에서 종간 경쟁, 다양한 생 태지위 (niche)를 구성하는데 중요하다 (Goldman and Carpenter 1974). 본 결과에서 제시한 S. marinoi-dohrnii complex의 최대생장률 반응곡선이 갖는 특징은 넓은 생 장온도 범위 (2~32°C)와 Eppley (1972)의 곡선에 근접하 는 우월한 생장률이다 (Fig. 5). 또한 반응곡선은 온도가 증가하면서 생장률도 증가하지만 최적온도를 넘어서면 생장률이 급격히 감소함으로써, 결국 최적온도 (26.1°C)가 생장 상한온도 (32°C) 부근에서 나타나는 전형적인 패턴 을 따랐다 (Suzuki and Takahashi 1995). 이러한 패턴은 이 종이 자연환경에 서식하는데 있어서 26.1°C 이상보다는 그 이하의 온도에서 더 잘 적응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Eppley 1972). 그러므로 이러한 특징은 실제 S. marinoi- dohrnii complex가 온대해역에서 겨울부터 여름까지 우점 종으로 빈번하게 출현하는 특성을 잘 설명한다 (Kooistra et al. 2008).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Skeletonema 속의 대부분 종들 은 최적온도가 25°C 이상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S. cos- tatum s.l.은 우리나라 연안에서는 1.4~30°C의 범위에 걸 쳐 우점종으로 출현하며, 경기만에서도 여름뿐만 아니라 저온기 (12~4월)에도 대증식을 일으킨다 (Lee et al. 1997; Yi et al. 2005; Table 5). 이와 같은 식물플랑크톤의 최적 온도와 실제 서식온도 간의 불일치 문제는 이미 여러 연 구에서 제기된 바 있다 (Smayda 1969; Eppley 1972; Dur- bin 1974; Suzuki and Takahashi 1995). Skeletonema가 나 타내는 불일치의 원인으로 온도조건이 영양염류의 가용 성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해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Kae- riyama et al. (2011)에 따르면 최적온도가 포함된 15~30°C 범위에서는 Skeletonema 7종이 대부분 개체군을 유지 할 수 있지만 10°C에서는 S. marinoi-dohrnii complex와 S. japonicum 만이 개체군을 유지할 수 있다고 하였다. 따 라서 15~30°C 범위는 많은 종들이 공존하기 때문에 영 양염 경쟁에서 불리하다. 반면에 10°C에서 서식할 수 있 는 종에게는 이와 반대의 조건이 되는데, 만약 10°C에서 도 비교적 높은 생장률을 갖는다면 대증식을 일으킬 가 능성이 있다. 본 결과에서 S. marinoi-dohrnii complex는 5°C까지도 최대 0.82 d-1로 비교적 높은 생장률을 유지 하였다. 더구나 이 종의 Q10 (2~26°C: 1.78)은 5~15°C 에서 2.03로 15~25°C의 1.53보다 높기 때문에 자연에서 여름보다는 늦겨울부터 봄 사이의 온도 증가가 경쟁종에 비해 생장에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경기만 같은 연안에서는 일반적으로 여름철에 영양염 공급이 제한될 수 있으며, 여기에 동물플랑크톤에 의한 포식압도 높다. 하지만 봄에는 영양염 조건이 좋고 동물플랑크톤에 의 한 포식이 낮기 때문에 S. marinoi-dohrnii complex가대 증식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다.
Rynearson and Armbrust (2000)은 규조류가 지리적으로 광범위한 분포를 갖는 이유를 넓은 유전적, 생리적 다양 성 때문이라는 가설을 제시하였다. Skeletonema 종들 중 Skeletonema marinoi와 S. dohrnii는 이러한 특성이 가장 뚜렷하여 클론마다 생리적 반응이 다르다 (Ellegaard et al. 2008; Kooistra et al. 2008; Jung et al. 2009; Saravanan and Godhe 2010). 따라서 해양생태계를 모의하는데 있어 서 일차생산과 관련한 입력변수를 외국 자료에 의존할 때에는 상당한 주의가 필요한데, 본 결과는 입력변수의 자료로써 뿐만 아니라 기존 매개변수 값의 입력범위를 결정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하지만 본 결과 역시 경기만 의 특정 시기에 분리된 종의 결과이기 때문에 이 종에 대한 생태학적 결론은 시공간적으로 다양한 클론이 연구 된 후로 유보되어야 한다. 또한 하구를 포함하는 연안 해 역을 대상으로 생태계를 모의할 경우 대상해역의 염분 변화가 크기 때문에 염분 스트레스에 의한 S. marinoi- dohrnii complex의 생장률 변동이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우리나라 연안에서 중요한 식 물플랑크톤인 Skeletonema marinoi-dohrnii complex의생 장률 실험을 통해 생태계 모델의 일차생산 매개변수인 최대생장률, 최적광도, 최적온도와 함께 넓은 범위의 온 도와 광조건에 대한 생장특성 정보를 제시하였다. 또한 이러한 생장특성은 이 종이 늦겨울부터 봄철에 대증식 을 일으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본 결과는 경 기만 등 해양 생태계 모델을 고도화하는데 필요한 매개 변수의 기초자료로써 뿐만 아니라 기존 매개변수 값의 입력범위를 가늠하는데 참고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적 요
경기만에서 분리된 Skeletonema marinoi-dohrnii com- plex의 생장률을 구하기 위하여 영양염이 제한되지 않는 조 건 하에서 무균 회분배양으로 넓은 범위의 광조건(5~500 mmol m-2s-1)과 수온 (2~35°C)에 걸쳐 실험하였다. 실험 결과로부터 온도와 광이 각각 26.1°C, 197 mmol m-2 s-1 인 최적조건에서 이 종의 최대 mmax는 2.48 d-1을 보였 다. 또한 실제 해역에서 Skeletonema 종들의 온도에 따른 자원경쟁을 고려할 때 5~15°C에서 S. marinoi-dohrnii complex의 상대적으로 높은 생장률 (0.79~1.61 d-1)은 늦겨울에서 봄철에 대증식을 일으킬 수 있음을 시사한 다. 이 결과는 해양생태계 모델의 정확성과 실재성을 개 선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