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6-9999(Print)
ISSN : 2287-7851(Online)
Korean J. Environ. Biol. Vol.33 No.1 pp.27-33
DOI : https://doi.org/10.11626/KJEB.2015.33.1.027

Fish Assemblages Collected by Bottom Trammel Gill Net around Gampo in the East Sea of Korea

Pil Jun Kang, Chong Kwan Kim, Sun Wan Hwang*
Biological Oceanography & Marine Biology Division, KIOST, Ansan P.O. Box 29, Seoul 425-600, Korea
Corresponding author: Sun Wan Hwang, Tel. 031-400-7737, Fax. 031-408-5830 swhwang@kiost.ac
November 20, 2014 January 22, 2015 January 22, 2015

Abstract

Fish assemblage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mpo in the East Sea of Korea were analyzed using the samples of fishes collected with bottom trammel gill nets June, September, and December 2005 and, March 2006. During the study period, a total of 32 fish species, 695 individuals, and 180,012.0 g representing 21 families were collected. The fish assemblages predominantly consisted of Ditrema temminckii, which accounted for 52.4% of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40.4% in the biomass. The next major specimens were Hexagrammos otakii, Sebastes schlegelii, Stephanolepis cirrhifer, Sebastes taczanowskii, Halichoeres poecilopterus. These six fishes accounted 77.6% of total number of individuals and 77.5% of total biomass. The number of fish species,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ere fluctuated with month. The number of species was highest in June 2005 and lowest in March 2006. The number of individuals and biomass was highest in September 2005 and lowest in June 2005.


동해 감포 주변해역에서 저층삼중자망에 어획된 어류 군집

강 필준, 김 종관, 황 선완*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생물연구본부

초록


    Korea Institute of Ocean Science & Technology
    PE9921B
    PE9921D

    서 론

    연안의 천해는 생물생산력이 높아 먹이가 풍부하고 다양한 형태의 서식 공간이 있으며, 수심이 얕아 포식자 로부터 도피가 용이하기 때문에 어류를 포함한 유용 수 산생물들이 산란장이나 성육장으로 이용하여 수산자원 이 풍부하다(Day et al. 1981). 그러나 계절에 따라 환경변 화(수온 및 염분 등)가 크기 때문에 종 조성 변화가 크 고, 소수 종에 의한 점유율이 높다(Ayvazian and Hyndes 1995; Hwang 2006; Hwang et al. 2011).

    우리나라 동해안은 남해안이나 서해안에 비해 해안선 이 단조로우며 조차(<1m)와 대륙붕(평균 18 km)은 작 지만, 수심 (평균 1,840 m)이 깊고, 오츠크해로부터 기원 한 북한한류와 쿠로시오해류로부터 분기된 대마난류의 지류인 동한난류가 교차하고, 때때로 냉수대가 출현하여 수괴의 변화는 복잡하다. 이처럼 해황이 특이한 동해안 에는 연안정착성 어류를 비롯해 냉수성 어류, 회유성 어 류 등 다양한 서식유형의 어종이 출현한다(Hwang et al. 1997; Lee 1999; Han et al. 2002a, b; Ryu et al. 2005). 근래 까지 보고된 우리나라 동해의 어류 출현종수는 439종으 로, 서해 (310종)나 남해(301종)의 1.4배 이상이다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Korea 2003). 이처럼 동해의 어 류 종 다양성이 남해나 서해에 비해 높아 어류 연구의 가치가 높은 해역임에도 불구하고, 동해 연안어류의 종 조성이나 양적 변동에 관한 유용한 연구자료는 남해나 서해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

    우리나라 동해 연안어류의 종 조성이나 양적 변동에 관한 연구는 자망과 정치망에 어획된 강원도 죽도 연안 어류 종조성의 계절 변동 (Ryu et al. 2005), 삼중자망에 채집된 포항 석병 연안 어류의 종 조성 및 양적 변동 (Han et al. 2002a), 삼중자망에 채집된 동해 흥해 연안어 류의 종 조성(Hwang et al. 1997), 영일만 저어류 종조성 의 계절 변동(Lee 1999), 울산연안 정치망에 어획된 어 류의 종 조성 및 양적 변동(Han et al. 2002b) 등 여러 연 구가 이루어졌다. 그러나 아직 동해 연안어류의 종 조성 이나 양적 변동을 구체적으로 이해하기에는 미흡하다.

    본 연구는 동해안에 위치한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 주 변해역(Fig. 1)에서 저층삼중자망(bottom trammel gill net) 에 어획된 어류의 종 조성과 계절변동을 분석하였다.

    재료 및 방법

    1.어류 채집 및 처리

    어류 자료는 2005년 6월, 9월, 12월 및 2006년 3월에 경상북도 경주시 감포 주변해역 3개 정점에서 저층삼중 자망 (bottom trammel gill net)을 이용하여 수집하였다 (Fig. 1). 어류 채집에 이용된 저층삼중자망(1틀: 280m× 1.5 m)은 당겨진 그물코 길이는 바깥그물이 60.6 cm, 안 그물이 6.6 cm였다(Fig. 2). 매 조사 시기 각 조사 정점에 서 한 틀을 오후 5~6시경에 투망하고, 다음 날 오후 5~ 6시경에 양망하여 그물에 걸린 어류를 수집하여 종을 동 정하고 종별 개체수와 생체량을 파악하였다. 종 동정은 Chyung (1977)Masuda et al. (1984) 그리고 Kim et al. (2005)을 이용하였으며, 분류 체계와 학명은 Kim et al. (2005)을 따랐다.

    2.자료 분석

    수집된 어류 자료는 조사 시기별로 3정점의 자료를 합 하여 종별 개체수와 생체량을 저층삼중자망 3틀당 하루 채집량(indi./3set/d, g/3set/d)으로 나타내었다(Table 1). 채 집 시기별 종 조성 자료에서 종별 개체수와 생체량을 대 상으로 Shannon-Wiener의 종다양성지수(H′, Shannon and Weaver (1949) in Ludwig and Reynolds (1988))를 계산하 였다. 종별 조사 시기에 따른 출현 유무 자료를 이용하여 Jaccard의 유사도 지수 (J, Jaccard (1908) in Ludwig and Reynolds (1988))를 계산하여 수상도를 작성하였다. 통계 분석은 PRIMER (Plymouth Routines in Multivariate Ecological Research, v5.0, PRIMER-E Ltd., UK)를 이용하였다.

    결 과

    1.종조성 및 계절변동

    조사기간 동안 6목 21과 32종의 어류 695마리, 180,012.0 g이 채집되었다 (Table 1). 채집된 어류는 암초 와 해조류가 많은 수역, 또는 저질이 모래나 펄로 구성된 수역의 바닥에서 주로 서식하는 저어류(demersal fish)가 대부분이었다. 숭어 (Mugil cephalus), 날치 (Cypselurus agoo), 방어 (Seriola quinqueradiata), 잿방어 (Seriola dumerili), 고등어(Scomber japonicus) 등과 같은 부어류(pelagic fish)도 채집되었으나 채집 개체수는 1~3마리로 소 량이었다.

    채집된 32종의 어류 가운데, 개체수에서 점유율은 망 상어(Ditrema temminckii)가 52.4%로 우점종이었고, 쥐노 래미 (Hexagrammos otakii, 8.1%),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i, 6.2%),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 3.9%) 순이었 다. 생체량에서는 D. temminckii (40.4%), H. otakii (20.5%), S. schlegelii (7.9%), 탁자볼락(Sebastes taczanowskii, 5.1%), 벵에돔 (Girella punctata, 3.9%), 쏨뱅이 (Sebastiscus marmoratus, 2.8%) 순이었다.

    2005년 6월에 채집된 어류는 21종, 110마리, 29,832.0 g 이었으며, D. temminckii (24마리), S. schlegelii (19마리), S. cirrhifer (12마리), 성대 (Chelidonichthys spinosus, 11마리) 등 4종이 채집 개체수의 60.0%를 차지하였다 (Fig. 3, Table 1). 9월에는 19종, 303마리, 67,023 g으로 6월에 비 하여 종수는 2종 적었지만 개체수와 생체량은 각각 2배 이상으로 많았다. 이처럼 종수의 감소에도 불구하고 개 체수와 생체량이 대폭 증가한 것은 D. temminckii (203마 리, 39,400.0 g)가 대량 채집된 결과였다. 12월에는 14종, 162마리, 46,103 g으로 종수는 9월(19종)에 이어 계속 감 소하였으며, 개체수와 생체량은 큰 폭으로 감소하였지만 6월보다는 많았다. 채집된 어종 가운데, D temminckii (74 마리), H. otakii (21마리), S. taczanowskii (14마리), S. marmoratus (12마리) 등 4종이 채집 개체수의 74.7%를 차지 하였다. 2006년 3월에는 11종, 120마리, 37,054.0 g으로, 조사 기간 중 종수가 가장 적었다. D. temminckii (63마리) 및 H. otakii (23마리)가 채집 개체수의 71.7%를 차지하 였다.

    2.생물다양도 및 유사도지수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종다양성지수(H′)는 1.56~2.48 범위에서 변동하였다(Fig. 3, Table 1). 조사 시기 중 채집 개체수는 가장 적었으면서도 종수가 가장 많았던 2005 년 6월(H′=2.48)이 가장 높았고, D. temminckii 1종에 의 한 점유율이 67.0%로 높았던 2005년 9월 (H′=1.56)이 가장 낮았다. 생체량을 기준으로 한 종다양성지수(H′)는 1.55~2.41 범위에서 변동하였으며, 조사 시기에 따른 변 동 경향은 개체수를 기준으로 한 경우와 유사하였다.

    조사기간 동안 채집된 어종 중 출현 횟수 2회 이상인 종만을 대상으로 Jaccard의 유사도 지수(J)를 계산한 결 과, 유사도 지수 0.9 수준에서 3개의 구룹으로 구분할 수 있었다 (Fig. 4). 그룹 A에는 D. temminckii, G. punctata, Hexagrammos agrammus, H. otakii, 넙치 (Paralichthysis olivaceus), S. schlegelii, S. marmoratus 등 7종이 포함되었 는데, 모두 전 조사 시기에 계속 출현하였다. 그룹 B에는 S. taczanowskii, 보리멸(Sillago sihama), S. cirrhifer 등 3종 이 포함되었다. 이 종들은 모두 2006년 3월을 제외한 전 조사 시기에 출현하였다. 그룹 C에는 용치놀래기(Halichoeres poecilopterus), 놀래기 (Halichoeres tenuispinis), 참 돔 (Pagrus major) 등 3종이 포함되었으며, 이 그룹에 속 한 종들은 2005년 6월과 9월에만 출현하였다.

    고 찰

    감포 연안에서 2005년 6월에서 2006년 3월 사이에 저 층삼중자망에 어획된 어류는 32종이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D. temmincki, H. otakii, S. schlegelii, S. cirrhifer, S. taczanowskii, S. marmoratus, 흰꼬리볼락(S. longispinis), G. punctata, H. agrammus, P. olivaceus, C. spinosus, H. po- ecilopterus, H. tenuispins, S. oblongus 등이 높은 출현율을 보였다. 이 어종들 대부분은 해조류가 무성한 암반이나 어초 부근에서 정착생활을 하거나 생활사의 대부분을 바 닥 근처에서 보내는 저어류들이다. 이처럼 저층삼중자망 에 저어류가 주로 어획되는 특성은 삼천포 신수도 연안 (Kim and Kang 1991), 동해 흥해 연안(Hwang et al. 1997), 거제도 연안(Cha 1999), 포항 석병 연안(Han et al. 2002a), 가덕도 연안(An and Hur 2003) 등 우리나라 연안에서 이 루어진 여러 연구 결과와 유사하였다.

    본 연구의 저층삼중자망에 채집된 어류를 종간 출현 시기 유사성에 따라 주거종(resident species)과 연안회유 성종(coastal migrant species)로 구분할 수 있었다. 주거종 으로는 Fig. 4의 그룹 A에 속한 D. temmincki, G. punctata, H. agrammus, H. otakii, P. olivaceus, S. schlegelii, S. marmoratus 등 7종으로, 전 조사 시기에 계속 채집되었 다. 연안회유성종으로는 Fig. 4의 그룹 B에 속한 S. taczanowskii, S. sihama, S. cirrhifer 3종과 그룹 C에 속한 H. poecilopterus, H. tenuispins, P. major 3종으로, 이 6종의 어류들은 주로 난수기에 출현하였다. 이의 결과로서 감 포 연안에서 냉수기에는 일부 주거종만이 서식하지만 난수기에는 연안회유성 어류들이 가입하여 생물량은 냉 수기에 비하여 난수기에 높은 것을 알 수 있다(Fig. 3).

    감포 연안의 어류군집 특성을 파악하고자 우리나라 동해안과 남해안에서 삼중자망을 이용하여 수행한 자료 와 본 연구 결과를 비교하였다(Table 2). 본 조사 해역이 위치한 동해안에서는 Han et al. (2002a)이 포항 석병 연 안에서 1998년 1월부터 12월 사이에 월별로 1개 정점에 서 길이 150 m, 높이 2 m, 망목 6.6 cm인 삼중자망으로 채집한 어류는 총 58종, 607마리, 93,427.0 g이었음을 보 고하였고, Hwang et al. (1997)이 1989년 5월에서 1990년 10월 사이에 격월로 5개 정점에서 길이 150 m, 높이 2m, 망목 6.6 cm인 삼중자망으로 채집한 어류는 총 28종, 588 마리, 101,735.9 g이었음을 보고하였다. 남해안에서는 An and Hur (2003)는 가덕도 연안에서 1998년 1월부터 12월 사이에 월별로 길이 2,000 m, 높이 2 m, 망목 5.0 cm인 삼 중자망으로 총 40종, 2,192마리, 254,628.0 g의 어류 채집 하였다. Cha (1999)는 거제 연안에서 1996년 2월부터 10 월 사이에 격월로 15개 정점에서 길이 80 m, 높이 1.5 m, 망목 3.5 cm인 삼중자망으로 총 43종, 493마리, 89,367.1 g의 어류를 채집하였다. Kim and Kang (1991)은 진주만 과 사천만 입구에 위치한 삼천포 신수도 연안에서 1984 년 2월부터 1985년 1월 사이에 월별로 1개 정점에서 길 이 200 m, 높이 1.2 m, 망목 2.8 cm인 삼중자망으로 총 32 종, 1047마리, 80, 785.4 g의 어류를 채집하였다.

    이상의 자료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자료마다 자료 수집 방법 (즉, 어구 규모, 조사정점 수, 조사 횟수 등)이 달라서 자료 또는 해역간 생태적 지수 (종수, 개체수, 생 체량 등)를 정량적으로 비교하기는 어렵지만, 우점종 조 성의 상대 비교는 가능할 것이다. 본 조사 해역인 감포 연안의 우점 어류 가운데, D. temmincki는 인접한 동해안 의 포항 석병 연안(Han et al. 2002a)과 남해안의 가덕도 연안 (Cha 1999) 및 거제 연안(An and Hur 2003)에서 우 점하였으며, H. otakii는 모든 해역에서 우점하였다(Table 2). S. schlegelii은 가덕도 연안 (An and Hur 2003)에서만 우점하였고, S. cirrhifer는 삼천포 신수도 연안 (Kim and Kang 1991)을 제외한 모든 해역에서 우점하였으며, S.

    taczanowskii은 본 조사 해역 외 다른 해역에서는 주요 5종안에 포함되지 않았다. 한편, 남해안의 가덕도 연안에 서는 바닥이 주로 모래나 뻘로 구성된 수역에서 저서생 활을 하는 문치가자미 (Pleuronectes yokohamae)와 용서 대 (Cynoglossus abbreviatus)가 높은 점유율을 차지하였 고(An and Hur 2003), 사천만과 진주만 입구에 위치한 삼 천포 신수도 연안에서는 H. otakii, H. agrammus, Sebastes inermis와 같이 주로 암반 주변에서 정착생활을 하는 어 종이 우점 출현하였다(Kim and Kang 1991).

    이상의 자료를 종합하면, 채집기기가 삼중자망으로 같 은 종류임에도 남해안의 가덕도와 삼천포 신수도 연안 에서는 주로 연성저질에 분포하는 가자미목 어류의 비 중이 높았고, 본 조사 해역인 감포 연안과 동해 흥해 연 안, 포항 석병 연안 그리고 남해안의 거제도 연안에서는 주로 암반 주변에서 정착생활을 하는 어류의 비중이 높 았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해저의 저질 구성에 따라 어류 종 조성에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적 요

    2005년 6월, 9월, 12월 및 2006년 3월에 동해안의 감포 연안에서 저층삼중자망에 어획된 어류 종 조성을 분석하 였다. 조사기간 동안 총 21과 32종, 695마리, 180,012.0 g 의 어류가 채집되었다. 채집된 어류 가운데, 가장 많이 채 집된 종은 망상어 (Ditrema temminckii)로서 채집 개체수 의 52.4%, 생체량의 40.4%를 차지하였다. 그 다음 주요 종으로는 쥐노래미 (Hexagrammos otakii), 조피볼락 (Sebastes schlegelii), 쥐치 (Stephanolepis cirrhifer), 탁자볼락 (Sebastes taczanowskii), 용치놀래기 (Halichoeres poecilopterus) 등이었다. 이들 6종은 전체 개체수의 77.6%, 전체 생체량의 77.5%를 차지하였다. 종수, 개체수 및 생체량은 계절에 따라 변동하였다. 종수는 2005년 6월에 가장 많 았고 2006년 3월에 가장 적었다. 개체수와 생체량은 2005 년 9월에 가장 많았고, 2005년 6월에 가장 낮았다.

    Figure

    KJEB-33-27_F1.gif

    A map showing the sampling sites (circles with oblique line) in coastal waters off Gampo, Korea.

    KJEB-33-27_F2.gif

    Schematic diagram of bottom trammel gill net used for sample collection in this study.

    KJEB-33-27_F3.gif

    Variations in number of species, number of individuals, biomass and species diversity index (H′) of the catches caught by bottom trammel gill net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mpo from June 2005 to March 2006.

    KJEB-33-27_F4.gif

    Cluster analysis of the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bottom trammel gill net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mpo from June 2005 to March 2006, based on Jaccard’s index of similarity (Left). Circles represent the relative abundance in fish numbers (Right). See full genus name reference in Table 1.

    Table

    Seasonal variations in abundance of fishes collected by bottom trammel gill nets in the coastal waters off Gampo from June 2005 to March 2006. N and W represent the number of individuals (indi./3set/d) and biomass (g/3set/d)

    The comparison of catch data for fish collected with bottom trammel gill net in various coastal waters off Korea

    Reference

    1. An YR , Hur SH (2003) Species composition and seasonal variation of fish assemblage in the coastal water off Gadeokdo, Korea. 4. Fishes collected by bottom gill nets , J. Korean Fish. Soc, Vol.36 ; pp.686-694
    2. Ayvazian SG , Hyndes GA (1995) Surf-zone fish assemblages in south-western Australia: Do adjacent near shore habitats and the warm Leeuwin Current influence the characteristics of the fish fauna? , Mar. Biol, Vol.122 ; pp.527-536
    3. Cha BY (1999) Species composition of fish in coastal water off Geoje Island , Korean J. Ichthyol, Vol.11 ; pp.184-190
    4. Chyung MK (1977) The Fishes of Korea, Ilji-sa, ; pp.-727
    5. Day JW , Hall CAS , Kemp WM , Yáñez-Arancibia A (1989) An Estuarine Ecology, Wiley Interscience, ; pp.-558
    6. Han KH , Son JC , Hwang DS , Choi SH (2002a) Species composition and quantitative fluctuation of fishes collected by trammel net in coastal waters of Seokbyeong , Pohang. Korean J. Ichthyol, Vol.14 ; pp.109-120
    7. Han KH , Kim JH , Baek SR (2002b) Seasonal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set net in coastal waters of Ulsan , Korea. Korean J. Ichthyol, Vol.14 ; pp.61-69
    8. Hwang SD , Park YJ , Choi SH , Lee TW (1997) Species composition of fish collected by trammel gill net off Heunghae , Korea. J. Korean Fish. Soc, Vol.30 ; pp.105-113
    9. Hwang SW (2006) Occurrence patterns and habitat use of fishes in the Geum River and the Mangyeong River estuaries. Ph. D. Thesis, University of Chungnam, ; pp.145
    10. Hwang SW , Lee TW , Hwang HB , Hwang SD (2011) Temporal occurrence patterns and habitat use of fish in the Mangyeong Estuary on the western coast of Korea in 2003, beforedike enclosure , Ocean Sci. J, Vol.46 ; pp.307-314
    11. Kim CK , Kang YJ (1991) Fish assemblage collected by gill net in the coastal shallow water off Shinsudo, Samchonpo , Bull. Korean Fish. Soc, Vol.24 ; pp.99-110
    12. Kim IS , Choi Y , Lee CL , Lee YJ , Kim BJ , Kim JH (2005) llustrated book of Korean fishes, Kyo-hak Publishing Co, ; pp.-615
    13. Lee TW (1999) Seasonal variation in species composition of demersal fish in Yongil Bay, east coast of Korea , J. Korean Fish. Soc, Vol.32 ; pp.512-519
    14. Ludwig JA , Reynolds JF (1988) Statistical Ecology, Wiley Interscience, ; pp.-337
    15. Masuda H , Amaoka K , Araga C , Ueno T , Yoshino T (1984) Text and Plates:, Tokai Univ. Press, ; pp.-437370 plates
    16. Ryu JH , Kim PK , Kim JK , Kim HJ (2005) Seasonal variation of species composition of fishes collected by gill net and set net in the middle East Sea of Korea , Korean J. Ichthyol, Vol.17 ; pp.279-286
    17.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Korea (2003) Symposium on the status and conservation of fish in coastal waters of Korea in 2003, The Ichthyological Society of Korea, ; pp.160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Environ. Bi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11626/KJEB.
    Year of Launching 1983
    Publishe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

    Contact info

    Any inquiries concerning Journal (all manuscripts, reviews, and notes) should be addressed to the managing editor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Yongeun Kim,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E-mail: kyezzz@korea.ac.kr /
    Tel: +82-2-3290-3496 / +82-10-9516-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