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6-9999(Print)
ISSN : 2287-7851(Online)
Korean J. Environ. Biol. Vol.33 No.1 pp.75-82
DOI : https://doi.org/10.11626/KJEB.2015.33.1.075

Efficiency Analysis of the Ice Harbor Type Fishway Installed at the Gongju Weir on the Geum River using Traps

Jin-Woong Lee, Ju-Duk Yoon1, Jeong-Hui Kim2, Sang-Hyeon Park, Seung-Ho Baek, Jo-Hee Yoon3, Min-Ho Jang*
Department of Biology Education,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314-701, Korea
1Biological Resource Center, Kongju National University, Gongju 314-701, Korea
2Bureau of Basic Ecological Research,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Seochongun 325-813, Korea
3Geum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Okcheon 373-804, Korea
Corresponding author: Min-Ho Jang, Tel. 041-850-8285, Fax. 041-850-8842 jangmino@kongju.ac.kr
October 24, 2014 March 9, 2015 March 15, 2015

Abstract

To overcome the stream fragmentation and blockage of migration of fishes by dams and weirs, fishways are commonly installed. However, limited studies were conducted for effectiveness and suitability of fishways installed in Korean streams.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fish usages (by time periods, locations and months) of the Ice Harbor type fishway installed in the Gongju weir using traps. The monitoring were monthly conducted from June to October, 2012. The number of individuals which used fishway in September and October decreased than in June to August. Although no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identified, many numbers of species and individuals were occurred at the trap installed at the left end of fishway than others. Fishes of more diverse size classes occurred at this trap as well. The number of collected individuals and water level of weir were positively correlated though they showed low correlation coefficient. Conversely, occurrence rate of fishes smaller than 70 mm of total length decreased with increasing water level of weir. fishway usage time of fish were different depends on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each species. Various sizes of fishes can use fishway for their upstream migration. These results are useful for establishing management and evaluation plans of Ice Harbor type fishway in S. Korea.


Trap을 이용한 공주보 아이스하버식 어도의 효과분석

이 진웅, 윤 주덕1, 김 정희2, 박 상현, 백 승호, 윤 조희3, 장 민호*
공주대학교 생물교육과,
1공주대학교 생물자원연구센터
2국립생태원 기초생태연구본부
3국립환경과학원 금강물환경연구소

초록


    서 론

    세계적으로 산업혁명 이후 각 나라들은 수자원 확보, 관개 및 홍수조절 등 인간의 필요에 따라 댐 및 보와 같은 각종 인공구조물들을 지속적으로 건설하였다. 그러 나 흐르는 하천을 막는 인공구조물들은 어류의 이동 제 한 (Larinier 2001; Joy and Death 2001), 서식처 변화 (Poff et al. 1997; Poff and Hart 2002), 생물다양성 감소 (Liermann et al. 2012)와 같은 다양한 문제를 야기하였다. 이 에 대해서 인간은 수생생물이 이동할 수 있는 어도(fishway) 를 건설하여 이러한 문제들은 최소화시키고 하천의 연결성을 확보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외국의 경우 과거부터 어도를 다수 설치하였을 뿐만 아니라 어도 효율성 평가(Stuart and Mallen-Cooper 1999; Stuart and Berghuis 2002; White et al. 2011) 및 개선방안 (Bunt 2001; Rodríguez et al. 2006; Santos et al. 2014)과 같 은 연구를 통해 어도의 효율을 높이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에 반해 국내의 경우 어도에 대한 관심이 외국에 비 해 늦게 시작되었다. 2010년 한국농어촌공사에서 시행된 어도 전수조사에 의하면 국내 하천에 건설된 인공구조 물에 대한 어도의 설치 비율이 약 15%로 확인되었으며 이중 66%가 파손, 퇴적 등의 문제로 이동통로로서의 기 능을 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MOF, 2013). 국내의 어도 관련 연구는 수리·물리학적 연구 (Ahn et al. 2012; Seong et al. 2013), 어도 이용 어류 연구 (Yang et al. 2001; Yoon et al. 2011; Kang et al. 2012; Han et al. 2012; Choi et al. 2013; Park and An 2014) 등 상당히 제한 적으로 시행되었으며, 대부분 2000년 이후에 다수 이루 어졌다. 특히 어도의 효율성과 관련된 연구는 그 사례가 많지 않다. 농림축산식품부에서는 2010년 농림축산식품 부령으로 내수면어업법이 개정되면서 하천의 흐름을 차 단하는 인공구조물 설치 시 어도 설치를 의무화하였으 며 이에 따라 어도와 관련된 연구는 계속 증가될 전망 이다.

    Katopodis (1992)는 어도의 형태를 계단식 (Pool and weir), 버티컬 슬롯식 (Vertical slot), 데닐식 (Danil)으로 분류하였다. 이중에서 계단식 어도는 가장 고전적인 전 면월류형 풀 (Pool)타입의 어도이며, 이후 본 어도의 단 점을 개선하여 개발된 어도가 아이스하버식 어도 (Ice Harbor type fishway)이다. 아이스하버식 어도는 월류부 와 비월류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월류부는 어도 내 유량 이 균일하여 어류가 상류로 소상하는 공간이며 비월류 부는 어류가 휴식할 수 있는 공간이다. 이는 또한 월류 부에 잠공 (Orifices)을 추가하여 저서성 어종의 이동을 도와주는 구조로 발전하였다. 국내 어도 설치현황에서 아이스하버식 어도는 2010년까지 총 8%의 설치비율을 나타냈으나, 2010년 이후 현재까지 설치율이 25%로 증 가하여 최근에 많이 건설되는 어도 중 하나이다(국가어 도정보시스템, www.fishway.go.kr). 아이스하버식 어도는 미국에서 개발된 어도로 주로 회유성 어류인 연어과를 대상으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국내 서식어류를 대상으로 했을 때 효율성이 좋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어도의 건 설로 인해 단순한 의미로 하천연결성이 증가될 수 있으 나 해당 어도를 이용할 어류를 대상으로 효율성이 검증 되지 않는다면 큰 의미가 없을 수 있다. 아이스하버식 어도의 경우, 최근 국내 하천에 적용된 어도를 대상으로 수리학적 특성분석과 현장적용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졌 다 (Kim et al. 2004; Jun et al. 2006; Ahn et al. 2012; Han et al. 2012; Park and An 2014). 하지만 증가하는 설치율 에 비해 국내 아이스하버식 어도의 효과 및 효율성 평 가와 관련된 연구는 상당히 적다. 따라서 본 연구는 공 주보에 설치되어 있는 아이스하버식 어도을 대상으로 trap을 이용하여 시기별, 시간대별, 어도 위치별 어류 이 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재료 및 방법

    1.조사지 개황

    충청남도 공주시 웅진동에 위치한 공주보는 4대강 사 업의 일환으로 2009년 착공되어 2012년 금강본류에 준 공된 인공보이며 공주보 상류에는 세종보, 하류에는 백 제보가 위치해있다. 공주보는 높이 7 m, 길이 280m로 좌 안에는 복합형어도, 우안에는 아이스하버식 어도가 건설 되었다. 공주보 우안에 건설된 아이스하버식 어도는 우 리나라 하천 특성을 고려하여 기존 아이스하버식 어도 의 높이를 변화시킨 조립식 월류형 블록과 비월류형 블 록으로 구성되어있으며 블록간의 결합을 통해 풀 (pool) 이 형성되는 구조이다 (Fig. 1). 아이스하버식 어도 옆에 는 소형 소수력발전소가 설치되어 있다.

    2.어도 모니터링

    공주보 아이스하버식 어도를 통해 소상하는 모든 어 류를 채집하기 위해 trap (넓이 1m×높이 1m×폭 0.7 m; 망목 4 mm)을 제작하여 어도 출구(폭 6m)에 설치하 였다. 어도 우안부터 좌안까지 (어도 우안, 1번~어도 좌 안, 6번) 총 6개의 trap을 설치하여 어도 위치별 어도 이 용 차이를 분석하였다. trap을 설치할 때 어도 출구를 전 면 차단하여 설치 이전부터 어도에 존재했던 개체가 아 닌 온전히 어도를 이용하여 상류로 소상한 개체가 채집 되도록 trap을 설치하였다. 2012년 6월부터 10월까지 각 각 월 1회 24시간 모니터링을 실시하였다. 또한 모니터 링 진행 시 시간대별 어류의 어도 이용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총 4개의 시간대 A time (04~08시, 4시간, 해가 뜨 는 시간대), B time (08~16시, 8시간, 낮 시간대), C time (16~20시, 4시간, 해가 지는 시간대), D time (20~04시, 8시간, 밤 시간대)로 구분하여 모니터링 하였다. 채집된 어류들은 Kim and Park (2002)을 이용하여 현장에서 동 정하였고 전장 (total length, mm), 무게 (total weight, g)를 측정한 후 보 상류에 방류하였다.

    3.자료분석

    Trap별 소상어류의 종수 및 개체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비모수검정인 Kruskal-Wallis test를 이용하여 분석 하였으며 시간별 분석에서는 Kruskal-Wallis test를 이용 하였다. 공주보 아이스하버식 어도는 조절식 수문이 존 재하지 않아 어도 내 유량이 전적으로 상류수위에 의존 하고 있다. 상류수위가 높아지면 유속 및 유량이 증가한 다. 따라서 상류수위와 trap에 채집된 어류의 상관관계를 선형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모든 분석은 SPSS 18.0 (SPSS Inc., IL, USA)를 이용하여 시행 하였다.

    결 과

    1.시기별 모니터링

    5회의 모니터링에서 총 4과 21종 1,114개체의 어류가 trap에 포획되었다 (Table 1). 누치 (Hemibarbus labeo)가 35.6%의 상대풍부도로 우점종으로 출현하였으며, 참몰 개 (Squalidus chankaensis tsuchigae)가 28.5%로 아우점 하였다. 이외 끄리 (Opsariichthys uncirostris amurensis, 15.1%)와 피라미 (Zacco platypus, 7.1%), 모래무지 (Pseudogobio esocinu, 5.9%)가 전체의 5% 이상의 출현율을 보였다. 조사기간 동안 모든 시기에 채집된 종은 없었으 나 3회 이상 trap에 채집되어 상류로의 소상이 확인된 종은 누치, 끄리, 피라미, 모래무지, 강준치 (Erythroculter erythropterus) 총 5종이었다. 6월 1차 조사에서는 총 2과 7종 419개체가 출현하였으며 참몰개와 끄리가 각각 우 점 및 아우점 하였다. 저서성 어종은 모래무지와 대농갱 이 (Leiocassis ussuriensis) 총 2종이 출현하였다. 7월 2차 조사에서는 총 3과 14종 159개체가 출현하였으며 끄리 와 강준치가 각각 우점 및 아우점 하였다. 저서성 어종 은 모래무지와 동자개 (Pseudobagrus fulvidraco) 총 2종 이 출현하였으며, 생태계교란종인 블루길 (Lepomis macrochirus) 1종이 출현하였다. 8월 3차 조사에서는 총 4과 12종 280개체가 출현하였으며 누치와 모래무지가 각각 우점 및 아우점 하였다. 저서성 어종은 모래무지, 돌마자 (Microphysogobio yaluensis), 경모치 (Microphysogobio jeoni), 눈동자개 (Pseudobagrus koreanus), 밀어 (Rhinogo- bius brunneus) 등 총 5종이 출현하였으며 생태계교란종 인 블루길 1종이 출현하였다. 9월 4차 조사에서는 누치 30개체만 출현하였다. 10월 5차 조사에서는 총 1과 3종 226개체가 출현하였으며 누치가 대부분을 차지했다. 저 서정 어종은 모래무지 1종만 출현하였다. 전반적으로 6~8월보다 9~10월에 어도를 이용하는 종 및 개체가 감소하였다. 조사시기의 상류수위와 어도 이용 개체수간 의 선형회귀분석 결과, 상류수위와 채집된 소상 어류 개 체수는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R2=0.601, P< 0.05, Fig. 2). 그리고 일평균 상류수위가 증가할수록 전 장 70 mm 이하 소형개체들의 출현율이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상류수위 8.68 m : 출현율 13.2%, 상류수위 8.76 m : 출현율 1.8%, 상류수위 8.89 : 출현율 0%, 상류수위 9.0 m : 출현율 0.7%).

    2.시간대별 모니터링

    시간대별 어도를 이용하는 어류의 종수는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었으나 (Kruskal-Wallis test, P>0.05), 개체수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Kruskal-Wallis test, P⁄0.05). A time, D time 보다 B time, C time에서 더 많은 개체가 소상하였다 (Table 2). 출현 어종별 어도 이 용 시간을 보면, 참몰개와 강준치는 모든 시간대에 어도 를 이용하였으나 C time에 가장 많은 개체가 어도를 이 용하였다. 누치와 모래무지도 모든 시간대에 어도를 이 용하였으나 B time에 가장 많은 개체가 어도를 이용하 였다. 끄리와 피라미의 경우 B time에 많은 개체가 어도 를 이용하였으나 D time은 이용하지 않았다. 야행성 어 종으로 알려져 있는 눈동자개, 대농갱이, 동자개의 경우 밤 시간대인 D time만 어도를 이용하였다.

    3.어도위치별 모니터링

    6개 trap 위치별, 채집된 종 및 개체수의 통계적 차이 는 확인되지 않았다 (Kruskal-Wallis test, P>0.05). 하지 만 전반적으로 어도 좌안에 설치된 6번 trap에서 14종 319개체가 채집되어 1~5번 trap보다 많은 종 및 개체 가 출현하였다 (Fig. 3). Trap에 우점적으로 채집된 종들 의 개체크기 (전장)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Kruskal-Wallis test, P⁄0.05, Fig. 4). 전체적으로 trap에 채집된 어류의 전장범위는 40~503 mm로 나타났으며, 그 중 평균전장이 가장 큰 종은 244mm(전장범위 : 48 ~373 mm, SD±66.1 mm)인 누치와 평균전장 214.1 mm (전장범위 : 158~503 mm, SD±79 mm)인 강준치로 나 타났다. 많은 수가 채집된 참몰개의 경우 평균 전장이 88.7 mm (전장범위 : 66~122 mm, SD±8.8)로 확인되었 다. 채집된 어류 중 전장이 가장 작은 어류는 밀어, 줄몰 개로 각각 40 mm를 나타냈으며, 돌마자도 55 mm로 크 기가 작지만 어도를 이용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고 찰

    어류의 이동은 포식압, 계절, 어류의 연령, 먹이 유용성 또는 동일종 내 경쟁, 산란 및 생식, 수온, 유량 등에 영 향을 받는다 (Helfman 1993; Pettersson et al. 2001; Reebs 2002; Järvalt et al. 2005; Prchalová et al. 2006; Mitchell and Cunjak 2007; Prchalová et al. 2010). 특히 수온의 감 소는 어류에 있어 생리적, 물리적 제약을 제공하여 어류 활성 및 이동이 줄어든다(Brodersen et al. 2011; Weber et al. 2013). 환경부 물환경정보시스템 (www.water.nier.go. kr)에 의하면 월별 공주보의 평균수온이 6~8월 23~ 27°C, 9~10월 19~23°C로 나타났다. 따라서 수온이 상 승하는 6월부터 8월까지 다수의 종 및 개체가 아이스하 버식 어도를 통해 상류로 소상했으며, 반면 수온이 하강 하는 9월부터 10월에는 이용 종 및 개체가 감소한 것으 로 판단된다. 수온 이외에 유속 및 유량 등 어도의 수환 경 역시 어류의 어도 이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어도 내 흐르는 유량이 부족하면 어류가 소상하기 위한 기본 적인 매개자 역할을 제한하며, 유량이 지나치게 많을 경 우 어류가 유속을 견딜 수 없으므로 어도로 소상하는 어 류가 감소한다 (Barry and Kynard 1986; Bunt 2010; Silva et al. 2011; Bretón et al. 2013). 상류수위에 따라 어도 내 유량이 결정되는 공주보 아이스하버식 어도의 경우 상 류수위가 공주보 관리수위 8.75m보다 높을 때 많은 어 류가 어도를 통해 상류로 소상한 경향을 보였다. 하지만 상류수위가 높아질수록 어도 내 유입유량이 증가되어 크기가 작은 개체 (전장 70 mm 이하)의 소상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공주보 아이스 하버식 어도의 경우 관리수위 (8.75 m)를 유지할 때 작 은 개체부터 큰 개체까지 다양한 크기의 어류가 상류로 소상할 확률이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결과적으로 시기 에 따른 수위조절을 통해 어도의 목적에 맞는 (예: 산란 기 수위를 높여서 큰 개체들의 이동을 증가시킴) 어류 이동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어류의 일주기 활성은 일반적으로 해가 뜨는 시간대 와 지는 시간대에 높고, 야간에는 낮은 패턴을 보인다 (Olin and Malinen 2003; Vaˇsek et al. 2009; Prchalová et al. 2010). 공주보 하류에 서식하는 어류의 경우 A time, D time보다 B time, C time에 많은 개체가 소상하여 높은 활성을 보였다. 하지만 야행성 어종으로 알려진 동자개, 눈동자개, 대농갱이의 경우 야간에만 채집되었고 피라 미, 끄리 등 주행성으로 알려진 어류는 대부분 주간에 우점적으로 채집되었다. 따라서 시간대별 어도 내 어류 의 이동은 종별 습성과 밀접한 관련을 갖는 것으로 사 료된다.

    외국의 경우 대다수 경제성 어종이자 회유성 어종인 뱀장어, 연어, 송어 등과 같은 어류들의 이동을 주 목적 으로 어도를 건설하였다 (Lucas and Baras 2001). 우리나 라의 경우 유럽이나 미국에 비해서 회유성 어종인 송어 나 연어의 비율이 낮지만 하천생태계의 연결성을 회복 하고 고유종 보호와 종 다양성 보존을 위해 많은 어도 가 건설 중이다. 이러한 어도 건설 시 어류의 생태적인 측면 (활동시기, 유영능력 등)은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Clay 1995). 공주보 아이스하 버식 어도의 경우 특정종을 목표로 어도를 건설하지 않 았기 때문에 다양한 종이 어도를 이용할 수 있어야 한 다. 본 연구는 모니터링 기간이 길지 않았기 때문에 공 주보 아이스하버식 어도의 이용 효과에 대한 포괄적인 평가결과를 도출하기에는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크기 가 작은 개체부터 큰 개체까지 상류로 소상이 가능하여 다양한 크기의 어류가 공주보 아이스하버식 어도를 이 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공주보 상류수위에 따라 어 도 이용률이 변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종 별 생태특성에 따른 시간대별 어도 이용에 대한 결과가 다양하게 도출되었다. 향후 전수조사를 바탕으로 어도 효과를 평가하는 trap방법을 보완하기 위해서, 어종별 어 도 통과시도 및 시간을 파악하여 어도 효율을 분석하는 PIT (passive integrated transponders) telemetry 방법을 병 행하여 해당 어도의 효과 및 효율분석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공주보 아이스하버식 어도 및 다양 한 어도들의 운영에 기초 자료로 이용될 수 있으며, 특 히 국내에서 새롭게 건설된 아이스하버식 어도의 평가 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댐과 보의 건설로 인한 하천의 단절 및 어류의 이동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다수의 어도를 건설하고 있다. 하 지만 이에 대한 어도 효율성 평가나 적합성에 대한 연 구는 상당히 제한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본 연 구는 2012년 6월부터 10월까지 매달 1회씩 trap을 이용 하여 공주보에 설치된 아이스하버식 어도에서 시기별, 시간대별, 어도 위치별 어도 이용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 구 결과, 6~8월보다 9~10월에 어도를 이용하는 종 및 개체가 감소하였다. 그리고 어도 좌안 측면이 통계적으 로 유의하지 않지만 많은 종 및 개체가 출현하였고, 또 한 다른 위치보다 다양한 크기의 개체들이 출현하였다. 상류수위와 채집된 소상 어류 개체수는 양의 상관성을 나타내고 있었다. 그러나 일평균 상류수위가 증가할수록 전장 70 mm 이하 소형개체들의 출현율이 감소하는 경향 이 나타났다. 어도 내 시간대별 이동은 종별 생태적인 특성에 따라 차이를 보였다. 전체적으로 크기가 작은 개 체부터 큰 개체까지 다양한 크기의 어류가 어도를 이용 했다. 이러한 결과는 국내에 건설된 아이스하버식 어도 관리 및 평가에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Figure

    KJEB-33-75_F1.gif

    Map of the study site and structure of fishway installed at the Gongju weir.

    KJEB-33-75_F2.gif

    Relationship between collected number of individuals and upstream water levels.

    KJEB-33-75_F3.gif

    Number of individuals and species collected by each traps (1 trap, right side of the fishway; 6 trap, left side of the fishway).

    KJEB-33-75_F4.gif

    Length distribution of captured fishes (total and four dominant species) by traps in the Ice Harbor type fishway.

    Table

    Monthly fish fauna of the Ice Harbor type fishway at the Gongju weir

    ※, Endemic species
    ▲, Exotic species.

    Fish occurrences of the Ice Ice Harbor type fishway by time periods

    ※, Endemic species
    ▲, Exotic species.

    Reference

    1. Ahn SS , Lee SI , Lee ZS (2012) Analysis of hydraulic characteristics in ice-harbor fishway , KENSS, Vol.21 ; pp.1395-1406
    2. Barry T , Kynard B (1986) Attraction of adult American shad to fish lifts at Holyoke dam, Connecticut river , N. Am. J. Fish. Manag, Vol.6 ; pp.233-241
    3. Bretón F , Bak ABM , Link O , Zhu DZ , Rajaratnam N (2013) Flow in nature-like fishway and its relation to fish behaviour , Can. J. Civ. Eng, Vol.40 ; pp.567-573
    4. Brodersen J , Nicolle A , Nilsson PA , Skov C , Brönmark C , Hansson LA (2011) Interplay between temperature, fish partial migration and trophic dynamics , Oikos, Vol.120 ; pp.1838-1846
    5. Bunt CM (2001) Fishway entrance modifications enhance fish attraction , Fish. Manag. Ecol, Vol.8 ; pp.5-105
    6. Choi JW , Park CS , Lim BJ , Park JH , An KG (2013) Fish passage evaluations in the fishway constructed on Seungchon weir , KENSS, Vol.22 ; pp.215-223
    7. Clay CH (1995) Design of Fishways and Other Fish Facilities, Lewis Publishers,
    8. Han JH , Ko DG , Lim BJ , Park JH , An KG (2012) Summer patterns and diel variations of fish movements using fish trap sampling technique in the Juksan weir , EIA, Vol.21 ; pp.879-891
    9. (1993) Behaviour of Teleost Fishes, Chapman and Hall, ; pp.49-513
    10. Järvalt A , Krause T , Palm A (2005) Diel migration and spatial distribution of fish in a small stratified lake , Hydrobiologia, Vol.547 ; pp.197-203
    11. Joy MK , Death RG (2001) Control of freshwater fish and crayfish community structure in Taranaki, New Zealand: dams, diadromy or habitat structure? , Freshw. Biol, Vol.46 ; pp.417-429
    12. Jun YS (2006) Establishment present of fish-road in Kangwondo and Study to apply fish-road is ice harbor I-type, Kangwon N. Univ,
    13. Kang EJ , Yang H , Lee HH , Kim KS , Kim CH (2012) Characteristics of fish fauna collected from near estuaries bank and fish-way on the bank of Naktong river , Korean J. Ichthyol, Vol.24 ; pp.201-219
    14. Katopodis C (1992) Introduction to fishway design, Freshwater Institute, Central and Arctic Region, Department of Fisheries and Oceans, ; pp.-67
    15. Kim IS , Park JY (2002) Freshwater Fish of Korea, Kyohak Publishing,
    16. Kim JO , Park SH , Cho JW , Hwang JS , Jo GH , Joh SJ (2004) Hydraulic model experiment for field application of iceharbor-type precast fishway , KSAE, Vol.46 ; pp.3-14
    17. Larinier M (2001) Environmental issues, dams and fish migration , FAO Fisheries Technical Paper, ; pp.45-90
    18. Liermann CR , Nilsson C , Robertson J , Ng RY (2012) Implications of dam obstruction for global freshwater fish diversity , BioScience, Vol.62 ; pp.539-548
    19. Lucas MC , Baras E (2001) Migration of Freshwater Fishes, Blackwell Science, ; pp.-352
    20.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3) Study on comprehensive management system of national fishway, MOF,
    21. Mitchell SC , Cunjak RA (2007) Stream flow, salmon and beaver dams: roles in the structuring of stream fish communities within an anadromous salmon dominated stream , J. Anim. Ecol, Vol.76 ; pp.1062-1074
    22. Olin M , Malinen T (2003) Comparison of gillnet and trawl in diurnal fish community sampling , Hydrobiologia, Vol.506 ; pp.443-449
    23. Park CS , An KG (2014) Fish passage assessments in the fishway of Juksan weir constructed in the downstream area of Youngsan-river watershed , KENSS, Vol.23 ; pp.1513-1522
    24. Pettersson LB , Andersson K , Nilsson K (2001) The diel activity of crucian carp, Carassius carassius, in relation to chemical cues from predators , Environ. Biol. Fish, Vol.61 ; pp.341-345
    25. Poff NL , Allan JD , Bain MB , Karr JR , Prestegaard KL , Richter BD , Sparks RE , Stromberg JC (1997) The natural flow regime , Bio Science, Vol.47 ; pp.769-784
    26. Poff NL , Hart DD (2002) How dams vary and why it matters for the emerging science of dam removal , Bio Science, Vol.52 ; pp.659-668
    27. Prchalová M , Slavík O , Barto?s L (2006) Patterns of cyprinid migration through a fishway in relation to light, water temperature and fish circling behaviour , Int. J. River Basin Manage, Vol.4 ; pp.213-218
    28. Prchalová M , Mrkvi?cka T , Kube?cka J , Peterka J , ?Cech M , Mu?ska M , Va?sek M (2010) Fish activity as determined by gillnet catch: a comparison of two reservoirs of different turbidity , Fish. Res, Vol.102 ; pp.291-296
    29. Reebs SG (2002) Plasticity of diel and circadian activity rhythms in fishes , Rev. Fish Biol. Fisher, Vol.12 ; pp.349-371
    30. Rodríguez TT , Agudo JP , Mosquera LP , González EP (2006) Evaluating vertical-slot fishway designs in terms of fish swimming capabilities , Ecol. Eng, Vol.27 ; pp.37-48
    31. Santos JM , Branco P , Katopodis C , Ferreira T , Pinheiro A (2014) Retrofitting pool-and-weir fishways to improve passage performance of benthic fishes: Effect of boulder density and fishway discharge , Ecol. Eng, Vol.73 ; pp.335-344
    32. Seong JU , Park JH , Kim JO , Park JC (2013) Original article : Classification and assessment of fishway in the tributary of Nakdong river , KJEE, Vol.46 ; pp.185-191
    33. Silva AT , Santos JM , Ferreira MT , Pinheiro AN , Katopodis C (2011) Effects of water velocity and turbulence on the behaviour of Iberian barbel (Luciobarbus bocagei, Steindachner 1864) in an experimental pool-type fishway , River Res. Applic, Vol.27 ; pp.360-373
    34. Stuart IG , Berghuis AP (2002) Upstream passage of fish through a vertical-slot fishway in an Australian subtropical river , Fish. Manag. Ecol, Vol.9 ; pp.111-122
    35. Stuart IG , Mallen-Cooper M (1999) An assessment of the effectiveness of a vertical-slot fishway for non-salmonid fish at a tidal barrier on a large tropical/subtropical river , River Res. Applic, Vol.15 ; pp.575-590
    36. Va?sek M , Kube?cka J , ?Cech M , Draa?stík V , Mata?ena J , Mrkvi?cka T , Prchalová M (2009) Diel variation in gillnet catches and vertical distribution of pelagic fishes in a stratified European reservoir , Fish. Res, Vol.96 ; pp.64-69
    37. Weber C , Nilsson C , Lind L , Alfredsen KT , Polvi LE (2013) Winter disturbances and riverine fish in temperate and cold regions , BioScience, Vol.63 ; pp.199-210
    38. White LJ , Harris JH , Keller RJ (2011) Movement of three non-salmonid fish species through a low-gradient verticalslot fishway , River Res. Appl, Vol.27 ; pp.499-510
    39. Yang HJ , Kim KH , Kim JD (2001) The fish fauna and migration of the fishes in the fish way of the Nakdong river mouth dam , KJEE, Vol.34 ; pp.251-258
    40. Yoon JD , Kim JH , Joo GJ , Seo JW , Pak H , Jang MH (2011) Freshwater fish utilization of fishway installed in the Jangheung dam , KJEE, Vol.44 ; pp.264-271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Environ. Bi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11626/KJEB.
    Year of Launching 1983
    Publishe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

    Contact info

    Any inquiries concerning Journal (all manuscripts, reviews, and notes) should be addressed to the managing editor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Yongeun Kim,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E-mail: kyezzz@korea.ac.kr /
    Tel: +82-2-3290-3496 / +82-10-9516-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