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메리카동애등에 (Hermetia illucens L.)는 파리목 (Diptera) 동애등에과 (Stratiomyidae)의 곤충으로 완전변태를 한 다 (Fig. 1). 북아메리카가 원산지인 외래종으로, 1950년을 전 후해서 세계적으로 확산되어 세계적인 분포를 보이고 있다 (Sheppard et al. 2002). 우리나라에서는 아메리카동애등에가 1990년에 최초로 보고되었고, 현재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분 포하는 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Kim 1997;Kim et al. 2008). 아 메리카동애등에는 축사, 퇴비사, 음식물쓰레기장 등에서 발 견되며, 유충은 수분함량이 60~90%에서 최적인 생활을 하 며, 음식물 쓰레기의 염분 농도인 3.45%에서 정상적인 생활 사를 이어간다 (Kim et al. 2008;Myers et al. 2008;Alvarez 2012) (Fig. 1). 이러한 아메리카동애등에의 생활사 특성을 이 용한 음식물 쓰레기의 친환경적 처리에 관한 연구가 외국뿐 아니라 한국에서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Tingle et al. 1975;Sheppard et al. 1998;Sheppard et al. 2000;Choi et al. 2009;Kim et al. 2011;Barragan-Fonseca et al. 2017). 그뿐만 아니 라 아메리카동애등에는 유충시기에만 먹이활동을 하며 집파 리 등 위생해충과 달리 병균을 매개하지 않고, 유해 박테리 아도 억제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Sheppard et al. 2002;Erickson et al. 2004;Liu et al. 2008; Hewitt 2011; Kim et al. 2014;Lalander et al. 2015). 이 곤충이 유기물쓰레기를 분해 하면서 생성되는 분변토도 퇴비로서의 가치를 평가하고 있 다 (Choi et al. 2009;Lee et al. 2013;Lalander et al. 2015). 또한 최근에는 인분처리를 통한 위생환경 개선에 대한 가능 성도 탐색중이다 (Banks et al. 2014).
현재 농촌진흥청의 주도하에 아메리카동애등에를 대량사 육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생활사에 대한 연구는 있으나 (Myers et al. 2008;Kim et al. 2008;Tomberlin et al. 2009;Holmes 2010), 국내외적으로 이 곤충의 외부형태에 대한 연 구는 매우 드물다 (Kim et al. 2010;Oliveira et al. 2016). 특히 우리나라에서 서식하는 성충의 외부형태에 대한 조사는 전 무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내 여러 지역에 분포하 고 있는 아메리카동애등에의 외부형태 측정과 서식지 분포 에 대한 기초 분석을 수행하였다. 아메리카동애등에 성충의 채집은 2010년 5월 1일부터 동년 11월 3일까지 전국의 51개 지역에서 농경지 주변 또는 주거지역 주변의 유기물 쓰레기 주변을 주로 탐색하였다 (Fig. 2). 발견한 경우 포충망을 이용 하여 각 지역당 10마리의 성체를 채집하였다. 포획된 아메리 카동애등에는 99.9% 순수 에탄올에 넣어 실험실로 이송 후 추가 분석시까지 - 20℃ 냉동고에 보관하였다.
채집된 아메리카동애등에 성충 146개체를 고정 후 등면에 서 머리길이 (head length), 머리폭 (head width), 가슴길이 (thorax length), 가슴폭 (thorax width), 복부길이 (abdomen length), 복부넓이 (abdomen width), 더듬이 제1마디 (antenna 1), 더듬이 제2마디 (antenna 2), 날개길이 (wing length), 날개 넓이 (wing width), 넓적다리마디 (femur)와 종아리마디 (tibia) 의 길이를 버니어 캘리퍼스로 0.01 mm 단위까지 측정하였다. 더듬이 제1마디의 경우 측정의 편의를 위해 기저부를 포함 하였다 (Figs. 3, 4).
아메리카동애등에의 성충 몸 색깔은 전체적으로 검은색이 고, 성충은 크기가 13~20 mm 정도이다. 성충의 제2복절에는 백색 또는 황갈색의 크고 반투명한 무늬가 관찰된다. 구기 (mouthparts)는 다른 파리목 곤충과 유사하게 흡취형 (sponge type)으로 수분을 쉽게 섭취할 수 있는 구조이다. 성충의 촉 각 (antenna)은 곤봉상 촉각으로 편절 끝에 하나의 커다란 곤 봉마디로 구성되어 있다. 겹눈은 구조색을 띠며 짙은 청색 또는 불그스레한 무늬의 줄모양이 나타나기도 한다 (Figs. 3, 4). 아메리카동애등에 성충의 가슴등판에는 연한 황백색의 털다발이 세로띠를 형성하고 있으며, 평균곤 (halter)의 색깔 은 백색이다. 성충의 날개는 투명하고 튼튼하며 색깔은 흑색 이다.
아메리카동애등에 성충의 외부형태 측정 결과 원산지인 미국과 유사하게 전체 몸길이는 약 15 mm였다 (https://extension. oregonstate.edu/news/big-maggots-your-compost-theyre- soldier-fly-larvae). 체형에서 각 개체의 외부형태 부분별 길이의 산포도가 가장 큰 부분은 더듬이 바깥쪽 (antenna 2) 길이이며, 그 다음으로는 머리넓이 (head width), 복부넓이 (ab-domen width) 순으로 나타났다 (Table 1). 이러한 외부형태의 차이는 다른 대부분의 곤충과 마찬가지로 유충시기의 영양 상태에 의한 영향으로 추정된다 (Mirth and Riddiford 2007). 현재 아메리카동애등에는 인공증식이 되고 있는데 (Kim et al. 2010), 이와 같은 형태적 특성에 관한 정보는 인공적인 대량증식 기술 개발과 실용화에 개체 선발의 기준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아메리카동애등에의 미토콘드리아 유전자 에 대한 연구결과 국내에는 10개의 모계 유전자형이 존재한 다 (Park et al. 2017). 향후 유전자형과 연관하여 외부표현형 그리고 쓰레기분해능 및 분변토 변환율 등의 상관관계를 분 석함으로써 우수 유전자형의 발굴 등 효율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 조사한 51개 지역 중에서 22개 지 역에서 성충이 채집되었다. 그 채집지역이 위도 34.968055부 터 38.017373까지, 경도 126.226111부터 128.7680555까지이 고, 해발 6 m에서 850 m까지 고루 분포하는 것으로 볼 때 이 곤충은 위도와 경도 및 고도 등 지리적 특성의 영향을 적게 받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able 2, Fig. 5).
경상북도의 9개 조사 지역 중 문경을 제외한 지역에서 이 곤충을 발견하지 못했는데, 이 미발견 지역은 대개 공업지역 으로 다른 곤충을 대상으로 한 연구와 마찬가지로 그 분포가 제한되는 것 같다 (Jana et al. 2006) (Table 2, Fig. 5). 강원도 에서도 인제를 제외한 지역에서 채집하지 못했는데 산악지 역으로서 유기물 또는 음식물 쓰레기가 다른 지역에 비해 산 재되어 있고 상대적으로 건조하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Table 2, Fig. 5). 그러나 곤충은 날개를 이용해 분산능력이 매우 뛰 어난 생물군이므로, 이 곤충은 유기성 폐기물이 있는 여러 곳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이 곤충의 발생현황은 유기성 폐자원의 선순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적 요
이 연구에서 채집된 아메리카동애등에의 성충은 원산지의 성충과 그 크기가 비슷했다. 체형에서 가장 큰 차이점을 보 이는 부분은 더듬이 바깥쪽 (antenna 2) 길이이며, 그 다음으 로는 머리넓이 (head width), 복부넓이 (abdomen width)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결과는 유기물 분해와 분변토 생산 의 우수개체를 선발하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국내 51개 조사지역 중, 22개 지역에서 아메리카동애등에가 출현했으 며 위경도 및 고도 등 지리적 특성보다는 유기물의 존재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 곤충의 발생현황은 유기 성 폐자원의 선순환 구조를 파악할 수 있는 지표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