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최근 수년간 한국 서해안 갯벌에서 가장 큰 관심사 중의 하나는 바지락 등 패류양식에 큰 어려움을 주고 있는 쏙 Upogebia major (de Haan 1841)의 대량 발생 현상이다. 쏙 은 절지동물문 (Phylum Arthropoda), 갑각아문 (Subphylum Crustacea), 연갑강 (Class Malacostraca), 십각목 (Order Decapoda), 쏙과 (Family Upogebiidae), 쏙속 (Genus Upogebia)에 포함되는 갑각류이다. 이 쏙과 (Upogebiidae) 는 다시 13속 (genus)으로 나누어지며 전 세계적으로 170 종 (species)이 보고되어 있다 (Hong 2013;WoRMS 2018). 쏙은 조간대의 펄 갯벌에서 Y자 모양의 굴을 만들고 살면 서 해수 중의 먹이를 걸러먹는 여과식자이다. 쏙의 굴은 전형적으로 두 개의 구멍이 연결되어 있으며, 쏙의 최대 몸길이는 약 10~11 cm이고 후각과 촉각 신호를 통해 구애 행동을 한다. 암수딴몸으로 대개 간접적인 방법으로 정자 를 암컷에 전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olthuis 1991). 쏙은 한국 서·남해안 갯벌에서 오래전부터 서식해 왔지 만 본격적으로 주목을 받게 된 것은 2010년 봄에 충남 보 령시 소재 주교 갯벌에서 서식면적이 급속히 확대되면서 바지락 종패생산에 큰 차질을 겪게 되었기 때문이다. 보령 지역의 피해에 앞서 서해안 갯벌 패류양식 중요 지역 중의 한 곳인 인천광역시 옹진군의 선재리 갯벌에서도 2008년 에 갑작스럽게 쏙이 대량 발생하면서 바지락 생산량이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쏙의 대량 발생으로 인해 보령 주교어 촌계는 바지락 생산량이 2009년에 1,734 톤에서 2011년에 88.9 톤으로, 인천 선재도어촌계도 2009년에 비해 약 1/5 수준으로 각각 감소한 바 있다 (NIFS 2012).
쏙류에 대한 연구는 서식 분포 (Hornig et al. 1989;NIFS 2013;Hong and Lee 2014;WoRMS 2018), 생식 생 태 (Holthuis 1991), 탈피 (Hornig et al. 1989), 형태적 특징 (Hornig et al. 1989), 분류 (NFRDI 2014;Lee et al. 2014), 생 활사 (Kinoshita et al. 2003), 성숙 (Hornig 1989;Kinoshita et al. 2003), 여과 능력 (Dworschak 1981;Griffen et al. 2004), 퇴적물의 지화학적 특성 (Webb and Eyre 2004;D’Andrea and DeWitt 2009), 정착성 패류의 착저기 유생기와 치패 단계의 영향 (Dumbauld et al. 1996), LED 파장별 행동 특 성 (Jang et al. 2017) 등 주로 서식환경과 생태특성에 집 중된 경향이 있다. 한편, 어류의 먹이로서 이용 (Xue et al. 2004;Kamura and Hashimoto 2004), 낚시용 미끼 (Hornig et al. 1989), 효소가수분해물의 면역증강과 혈관 염증에 대 한 효과 (Kim et al. 2018;Lee et al. 2018) 등 이용 측면의 연 구도 국내·외적으로 추진된 바 있다.
충남 홍성지역에서 가시이마쏙 (Austinogebia wuhsienweni) 의 서식이 국내 최초로 보고 (Lee et al. 2014) 되기 전까지 어업인들은 가시이마쏙을 ‘쏙’으로, 쏙은 ‘왕쏙’이라고 불러 왔다 (NIFS 2014). 가시이마쏙은 액각 전면의 가시, 수컷 의 제1가슴다리 안쪽 연결부의 돌출부, 제1가슴다리 발가 락 바깥 표면에 10~12개의 작은 알갱이들이 이어져 산맥 처럼 이어져 있는 형태적 특징이 있어 쏙 (U. major)과 구 별된다 (Lee et al. 2014). 쏙과 가시이마쏙은 동일지역에 서 식하는 경우도 있지만 쏙이 가시이마쏙에 비해 좀 더 해 안선에 가까운 고노출 지점에 서식하며, 서식지점의 퇴적 물의 입도조성과 토양의 경도, 서식 깊이에는 차이가 있다 (Song unpublished). 본 연구는 쏙류의 고밀도 서식으로 인 해 피해를 입고 있는 바지락 등 갯벌 패류양식장에서 쏙과 가시이마쏙이 갯벌에 착저한 다음 성장과 서식 깊이 변동 특성 등을 구명하여 어업현장에서 양식장 내 쏙의 제거를 위한 적정 시기 선정 등에 활용할 수 있는 생태적 기초 자 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 갯벌 착저 후 쏙의 초기 성장 및 시기별 서식 깊이
서해안 갯벌 패류양식장에 고밀도로 서식하여 바지락 등 잠입성 패류와 공간 경쟁 등으로 피해를 주고 있는 쏙 과 가시이마쏙의 연중 적정 제거 시기에 대한 기초자료 확 보를 위하여 부유 유생기를 거쳐 갯벌에 가입한 어린 쏙의 크기와 서식 깊이를 약 1년 동안 매월 조사하였다.
쏙은 충남 보령시 천북면 사호리 갯벌 (Saho)에서는 2013년 8월부터 2014년 8월까지, 보령시 주교면 송학리 갯벌 ( Jugyo)에서는 2014년 5월부터 2015년 5월까지 각각 당년에 착저한 어린 쏙의 크기 (두흉갑장, 전장, mm)와 서 식 깊이 (cm)를 조사하였다 (Fig. 1). 쏙의 서식 깊이가 지 표로부터 20 cm 이내일 때에는 꽃삽 또는 농사용 삽을 이 용하여 쏙 굴이 파괴되지 않으며 굴 안에 있는 쏙의 위치 가 훼손되지 않도록 1마리씩 채집하였다. 쏙이 성장하여 서식 깊이가 20 cm 이상인 때에는 농사용 삽 또는 자체 제 작한 채집기 (원통형코어: 지름 10 cm, 길이 1 m, 또는 사 각형코어: 10 cm×10 cm, 길이 1 m)를 이용하여 채집하였 다. 쏙의 서식 깊이는 갯벌 표면으로부터 굴 안에 있는 쏙 의 상단 끝부분까지의 직선거리를 막대자 또는 줄자로 소 수점 첫째자리 (cm)까지 측정하였다 (Fig. 2). 가시이마쏙 은 2014년 7월부터 2015년 9월까지 충남 홍성군 서부면 상황리 갯벌 (Sanghwang)에서 매월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 식 깊이가 쏙에 비해 얕은 가시이마쏙은 갯벌 표층으로부 터 15~30 cm까지 농사용 삽을 이용하여 1마리씩 채집하 며 쏙과 동일한 방법으로 크기 (두흉갑장, 전장, mm)와 서 식 깊이 (cm)를 조사하였다.
2. 쏙과 가시이마쏙의 상대성장
쏙은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충남 보령시 주교면 송학 리 갯벌 (주교 갯벌, Jugyo)과 보령시 천북면 사호리 갯벌 (사호 갯벌, Saho)에서 채집한 총 5,382마리를 분석하였 다. 가시이마쏙은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충남 홍성군 상 황리 갯벌에서 채집한 총 1,281마리의 시료를 이용하였다. 성장과 서식 깊이 조사를 위하여 쏙은 착저 후 1년까지는 삽으로 파서, 그 이후에는 자체 제작한 원통형코어 (지름 10 cm, 길이 1 m)를 이용하여 채집하였고, 가시이마쏙은 깊이 15~30 cm까지 삽으로 파서 채집하였다. 쏙과 가시이 마쏙의 두흉갑장 (CL, mm)과 전장 (TL, mm)은 버어니어 캘리퍼스 (Mitutoyo, Japan)를 이용하여, 습전중량 (TWW, g)은 전자저울 (Sartorius, Germany)을 이용하여 소수점 둘째자리까지 측정하였다. 쏙의 두흉갑장 (CL; Carapace Length)과 전장 (TL; Total Length), 두흉갑장과 습전중량 (TWW; Total Wet Weight)의 관계는 단변량 단순 선형 회 귀모델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3. 통계처리
각 조사항목들에서 두 집단 간의 통계적 유의차 여부는 통계 프로그램 (Microsoft Excel, Ver. 14.0)을 이용하여 평 균에 대한 분산 분석 (One-way ANOVA) 등을 실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갯벌 착저 후 쏙의 초기 성장 및 시기별 서식 깊이
1) 착저 후 쏙의 초기 성장
2013년에 천수만 내측에 위치하는 충남 보령시 사호리 갯벌 (Saho)에서 당년산 쏙은 8월에 두흉갑장과 전장이 각 각 5.3 mm, 15 mm이었고, 다음해인 2014년 1월에는 두흉 갑장과 전장이 각각 12.6 mm, 36.4 mm로 성장하였다. 착 저 후 약 1년이 경과한 2014년 6월에는 2013년에 착저한 쏙이 두흉갑장 14.3 mm, 전장 41.7 mm까지 성장하였고, 7 월부터는 두흉갑장 6.0 mm, 전장 17 mm의 당년산 쏙이 다 시 채집되기 시작하였다 (Fig. 3a, b). 천수만의 입구에 위치 하는 보령시 주교면 송학리 갯벌 ( Jugyo)에서는 2014년 5 월 20일에 두흉갑장 1.78 mm, 전장 3.17 mm의 당년산 쏙 이 10월 10일에 두흉갑장 13.04 mm, 전장 38.2 mm로 성장 하였다. 겨울철인 11월부터 1월 하순까지는 쏙이 거의 자 라지 않았고, 2월 이후에 다시 서서히 성장하기 시작하여 갯벌에 착저 후 만 1년이 경과한 2015년 5월 초순에 두흉 갑장과 전장이 각각 14.21 mm, 42.28 mm 까지 도달하였다 (Fig. 3c, d). 2013년과 2014년에 보령지역에서 부유 유생 기를 거친 어린 쏙이 갯벌에 착저하는 시기는 5월 초순부 터 중순 무렵이다 (NIFS 2016). 본 연구기간 중 동일한 시 기에 두 지역에서 조사를 실시하지는 않았지만 같은 시기 별로 쏙의 평균 전장을 비교한 결과, 천수만 내측의 사호 리 갯벌 (Saho)에 비해 천수만 입구인 주교면 송학리 갯벌 ( Jugyo)에서 당년산 쏙의 성장이 다소 빠른 경향을 보였 다. 당년산 쏙의 시기별 월간 성장을 2개월 간격으로 이동 평균에 의해 검토한 결과, 보령지역에서 착저 이후 쏙의 주 성장기는 4월부터 10월 사이였다 (Fig. 3e). 보령시 송학 리 주교 갯벌 ( Jugyo)에서 부화한 어린 쏙이 갯벌에 착저 한 것을 처음 발견한 것은 2012년 6월 4일이었다. 이때 쏙 의 전장은 5~10 mm였는데, 6월 초순에 쏙의 크기 (전장) 가 약 10 mm 정도임을 감안하여 보령지역 갯벌에서 어린 쏙은 5월 중순에서 하순 사이에 이미 착저한 것으로 추정 된 바 있다 (NIFS 2016). Kinoshita et al. (2003)은 일본 토 쿄만에서 어린 쏙의 착저 시기가 수온 8~11°C인 5월이라 고 보고한 바 있는데, 갯벌에 쏙이 상시 서식하는 보령시 송학리 연안에서 4월 초순부터 5월 하순 사이의 해수 온도 가 7.4~13°C로 일본 토쿄만과 비슷한 환경임을 고려할 때, 어미의 복부에 외포란 상태로 겨울을 지나는 어린 쏙의 부 화는 4월 하순부터 5월 초순 사이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추 정되고 있다 (NIFS 2016). 따라서 매년 쏙 서식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는 갯벌 패류양식 어업인의 관점에서는 겨울을 지나 외포란 상태의 알이 부화하기 전인 4월 이전 에 알을 가진 어미 쏙의 포획 방안을 적극 검토해 볼 필요 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시기별 쏙과 가시이마쏙의 서식 깊이
쏙이 갯벌에 착저한 후 성장에 따른 서식 깊이는 2014 년 7월부터 2015년 9월까지 보령시 주교면 송학리 갯벌 ( Jugyo)에서 매월 평균 약 54마리씩 총 757마리를 1마리 씩 채집하며 조사하였다.
당년에 착저한 쏙 (두흉갑장 25 mm 이하)의 서식 깊이 는 2014년 7월, 9월 및 11월에 각각 5 cm, 12.5 cm, 28 cm로 빠르게 증가하였다. 2014년 12월부터 2015년 7월 사이에 는 평균 서식 깊이가 14.2~25.3 cm를 유지하였으나 여름 철에 기온과 수온이 상승하면서 2015년 8월부터는 30 cm 이상으로 깊어졌다 (Fig. 4a). 어린 쏙의 크기 (CL, mm)와 서식 깊이와의 관계를 분석해 본 결과, 8월부터 이듬해 2 월 사이에 두흉갑장이 10~15 mm 내외로 자라면서 쏙의 서식 깊이가 30~40 cm까지 빠르게 깊어지는 경향을 보였 다 (Fig. 4b). 본 연구결과, 당년산 쏙은 갯벌에 착저한 후 약 3개월이 지나면 서식 깊이가 10 cm 이상 깊어져 착저한 지 점에 안정적으로 정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어린 쏙이 대량 정착하여 바지락 등 갯벌 패류양식장에 영향을 주는 것을 줄이기 위해서는 8월부터 12월 사이에 어린 쏙 을 잡아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시기별 풍속이 어린 쏙의 착저 후 안정적인 정착에 미치는 영향이 조사된 바는 없으나 2013년 7월에 보령 주 교 갯벌에서 쏙 제거 경운작업의 실시, 잦은 강풍 노출 등 으로 착저했던 어린 쏙의 50% 이상이 자연 소멸된 바 있었 고, 천수만 내측에 위치하여 강풍의 영향이 적고 저질조성 이 자갈질이었던 갯벌 (Saho)에서는 어린 쏙이 대량 발생 하였던 사례 (NIFS 2016)를 볼 때, 5월부터 8월까지의 해 황 (강풍에 의한 저질 교란의 횟수와 강도)은 당년산 쏙 가 입의 정도에 매우 중요한 환경요인인 것으로 판단된다.
보령시 주교면 송학리 갯벌 ( Jugyo)에서 2014년 1월부 터 4월에 어미 쏙의 서식 깊이는 36.4~37.7 cm로 비교적 얕게 유지되다가 수온이 상승하는 5월부터 깊어지기 시 작하였다 (Fig. 4c). 2014년 7~9월에는 농업용 삽과 채집기 (Corer)를 이용하여 쏙 채집을 시도했으나 한 마리도 잡 을 수가 없었으며, 두흉갑장 22~36 mm (평균 28.50 mm) 인 어미 쏙의 연중 서식 깊이는 10~93 cm이었다 (Fig. 4c, d). 7~9월에 농업용 삽이나 코어형 채집장비로 쏙이 잡히 지 않은 것은 높은 기온 및 수온과의 관련성을 추론해 볼 수 있다. 이는 어미 쏙의 굴 깊이가 토쿄만 갯벌에서 208 cm까지 보고된 점 (Kinoshita 2002)과, 어미 쏙이 연중 가 장 얕게 갯벌 표층 가까이 올라오는 시기가 충남 보령지역 연안 수온이 10~12°C인 3~4월과 10월 중순~11월 하순 인 점을 고려할 때, 수온이 25°C 이상으로 상승하는 여름 철 (7~9월)에는 더위를 피하기 위해 쏙들이 표층으로부터 1 m 이상 깊게 굴속으로 들어가 서식할 가능성이 크다. 따 라서, 여름철에 깊이 1 m 이상 서식하는 쏙의 서식 깊이 등 좀 더 정확한 서식생태를 알기 위해서는 깊이 2 m 이상의 core형 채집 장비 등 효과적인 채집방법을 고안할 필요성 이 있다. 본 연구결과 보령지역 어미 쏙의 시기별 평균 서 식 깊이 면에서 1차 제거 적기는 쏙들이 표층에 가장 가까 워지는 3월부터 5월 초순이, 2차 적기는 10월 중순부터 12 월 초순으로 판단된다.
미국 Oregon주의 Yaquina estuary에서는 퓨젯쏙과 이들 이 서식하는 굴 (burrow)에 의해 만 전체의 해수가 하루 에 한번 이상 여과가 가능하며, 동일지역 내 서식하는 굴 (Crassostrea gigas)과 퓨젯쏙이 식물플랑크톤 크기의 입자 를 비슷한 효율로 이용하고 있어 서로 먹이경쟁을 하고 있 음을 보여준 바 있다 (Griffen et al. 2004). 본 연구에서도 천 수만 입구의 송학리 주교 갯벌에 비해 천수만 중앙부에 위 치하는 천북면 사호리 갯벌에 서식하는 쏙의 습전중량이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지만 다소 높게 나타난 결과는 두 지 점 사이에 식물플랑크톤 등 먹이환경, 동일 공간에 서식하 는 바지락 및 유사한 여과식자들과 쏙 사이에 복잡한 먹이 경쟁과 공간경쟁이 다르게 진행됨으로써 생태계뿐 아니 라 패류양식 등 산업적으로도 영향을 주고 있음을 간접적 으로 암시해 주는 것으로 판단된다 (Song 2018).
홍성군 서부면 상황리 갯벌 (Sanghwang)에서 2014년 6 월과 2015년 1월부터 9월까지 총 731마리의 가시이마쏙 을 채집하며 서식 깊이를 조사한 결과, 가장 깊은 경우가 35 cm이었고, 월평균 서식 깊이는 11.7 cm (6월)~14.5 cm (9 월)이었다. 두흉갑장 15 mm 이하의 어린 개체들은 대개 20 cm 보다 얕게 서식하였고, 두흉갑장 15~25 mm의 어미들 도 극히 일부 개체들을 제외하고는 서식 깊이가 25 cm 이 하였다 (Fig. 4e, f). 두흉갑장 25 mm 이상인 쏙 (U. major)의 굴 (burrow)은 U자형 부분까지의 깊이가 30 cm 이상이고 땅속으로 거의 수직으로 내려가지만 (Kinoshita 2002), 본 연구에서 가시이마쏙의 굴은 대부분 지면에서 땅속으로 수직방향이 아닌 비스듬하게 들어가는 경우가 많았다. 가 시이마쏙과 동일 속의 Austinogebia edulis의 굴은 깊이가 1 m 이상이며, 캐내었을 때 굴을 둘러싸고 있는 진흙 덩어리 의 맨 위 입구부분의 직경이 4~5 cm로 좁지만 아래로 내 려가면서 넓어져 약 30 cm 깊이 굴의 바닥부에서는 20~25 cm로 마치 굴뚝 모양이라고 보고한 바 있다 (Das et al. 2017). 그러나 본 연구에서 관찰한 가시이마쏙의 굴은 입 구와 채취지점 (깊이 약 15~30 cm)의 직경이 1.5~2.5 cm로 비슷하였다. 따라서, 단순히 서식 깊이와 굴의 구조만으로 볼 때 가시이마쏙은 연중 어느 때라도 비교적 쉽게 농업용 삽 등으로 제거 또는 채취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쏙과 가시이마쏙의 상대성장
1) 쏙의 상대성장
2013년부터 2015년까지 충남 보령시 주교면 송학리 갯 벌과 보령시 천북면 사호리 갯벌에서 총 5,382마리의 쏙 을 채집하였으며, 암·수 마리 수는 각각 3,017마리, 2,365 마리로 성비 (male : female)는 1 : 1.276이었다. 수컷 쏙 전 체 (2,365마리)를 대상으로 두흉갑장 (CL)-전장 (TL), 두흉 갑장-습전중량 (TWW) 사이의 상대성장을 분석한 결과는 각각 Fig. 5a, b 및 Table 1의 관계식 (1), (2)와 같다. 또한, 암 컷 쏙 전체 (3,017마리)를 대상으로 하여 분석한 두흉갑장 (CL)-전장 (TL), 두흉갑장-습전중량 (TWW) 사이의 상대 성장은 각각 Fig. 5c, d 및 Table 1의 관계식 (3), (4)와 같다.
암·수 모두 두흉갑장-전장, 두흉갑장-습전중량 사이의 상관관계는 매우 높았으며, 두흉갑장-습전중량 사이의 상 관성은 유의적인 차이는 아니지만 수컷 (r2=0.977)이 암 컷 (r2=0.941) 보다 좀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식환경에 따른 쏙의 상대성장에 차이 유무를 알아보 기 위해 천수만 입구의 보령시 송학리 주교 갯벌 ( JG)에서 채집한 1,756마리의 암컷 쏙과, 천수만 내측의 보령시 사 호리 (SH) 갯벌에서 채집한 488마리 암컷 쏙의 두흉갑장- 전장, 두흉갑장-습전중량 사이의 상대성장을 구하였다. 송 학리 주교 갯벌 쏙의 상대성장은 각각 Fig. 5e, f 및 Table 2 의 관계식 (5), (6)과 같으며, 사호리 갯벌 쏙의 상대성장 은 각각 Fig. 5g, h 및 Table 2의 관계식 (7), (8)과 같다. 두 지역 쏙의 상대성장을 좀 더 명확히 비교하기 위해 Table 2의 상대성장식 (5)~(8)에 1 mm 간격으로 5~35 mm까지 각각 두흉갑장을 대입하여 전장 (predicted TL)과 습전중 량 (predicted TWW)의 예측값을 구하여 Fig. 6을 도출하 였다. 두흉갑장 7~35 mm 범위에서는 두흉갑장이 같을 경 우 주교 갯벌의 쏙이 사호리 서식 쏙에 비해 전장 (TL)이 6~7 mm가 더 클 것으로 예측되었다 (Fig. 6a). 그러나 전장 (TL)과는 달리 두흉갑장 26 mm 이상의 어미 쏙은 두흉갑 장이 같을 경우, 주교 갯벌에 비해 사호리 갯벌의 쏙의 습 전중량이 1.2~4.0 g 더 무거울 것으로 예측되었다 (Fig. 6b). 이 결과는, 거리상으로는 약 13 km 밖에 떨어지지 않은 수 역일지라도 해수 중 식물플랑크톤 등 먹이생물량의 차이, 동일공간 내 비슷한 먹이원을 이용하는 여과식성 대형저 서동물의 서식에 의한 경쟁 등 다양한 요인으로 인해 쏙의 성장과 비만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해 준다. 더 나아가 이러한 차이는 천수만 내·외측의 보령 사호리 와 주교 갯벌에 서식하는 어미 쏙들의 번식력에도 차이를 유발할 가능성도 예상할 수 있기 때문에 충남 연안 갯벌의 쏙 개체군 관리를 위한 우선 순위 판단 등에도 매우 중요 한 의미가 있다고 판단된다.
2) 가시이마쏙의 상대성장
2014년부터 2015년까지 충남 홍성군 서부면 상황리 갯 벌에서 채집한 가시이마쏙은 암·수 모두 총 1,281마리 (female 706, male 575)였으며, 성비 (male : female)는 1 : 1.228이었다.
암·수 각각에 대하여 두흉갑장 (CL)-전장 (TL), 두흉갑 장 (CL)-습전중량 (TWW) 사이의 상대성장을 분석한 결 과, 가시이마쏙 수컷은 Fig. 7a, b 및 Table 3의 관계식 (9), (10)과 같이, 암컷은 Fig. 7c, d 및 Table 3의 관계식 (11), (12)와 같이 각각 분석되었다.
Andrew et al. (2008)이 미국 오레곤주의 Yaquina Bay에 서 채집한 퓨젯쏙 (Upogebia pugettensis)의 건조중량 및 습 중량과 두흉갑장 (CL)과의 상관관계 (r2=0.990) 조사결과 도 본 연구와 유사하게 높은 상관성을 보인 바 있어 쏙류 의 두흉갑장-체중 사이의 상대성장은 종마다 약간의 차이 는 있을지라도 경향은 큰 차이가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적 요
본 연구에서는 쏙류의 고밀도 서식 때문에 2008년 이후 피해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한국 서해안 갯벌의 패류양 식장에서 착저 초기에 쏙과 가시이마쏙의 초기 성장, 서 식 깊이, 상대성장 특성을 구명하여 물리적 제거 또는 포 획에 관한 기초적 생태자료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5월 초 순에 갯벌에 착저한 어린 쏙은 8월 이후에 두흉갑장이 10 mm 이상으로 성장하였고, 갯벌에 착저 후 1년 경과 시 두 흉갑장 (CL)과 전장 (TL)이 각각 14.21 mm, 42.28 mm까지 성장하였으며, 주 성장 시기는 4~10월이었다. 당년산 어린 쏙의 서식 깊이는 성장과 더불어 착저 후 약 6개월 경과 시까지 빠르게 증가하였다 (7월 5 cm, 9월 12.5 cm, 11월 28 cm). 어미 쏙 (평균 두흉갑장 28.50 mm)의 연중 서식 깊이 는 10~93 cm이었다. 쏙의 두흉갑장 (CL)-전장 (TL), 두흉 갑장-습전중량 (TWW) 간 상대성장을 분석한 결과, 두흉 갑장 26~35 mm 크기에서는 쏙의 습중량이 천수만 입구의 주교 갯벌에 비해 천수만 내측의 사호리 갯벌에서 1.2~4 g 더 무거운 것으로 예측되었다. 본 연구에서 밝혀진 당년산 어린 쏙의 착저 후 초기 성장과 서식 깊이의 증가 특성으 로 볼 때, 어린 쏙이 바지락 양식장 등에 정착하여 피해를 주는 것을 줄이기 위해서는 5~6월경에 쏙의 착저 여부를 주의해서 관찰해야 하며, 다량의 쏙 서식이 확인되면 갯벌 속에 30 cm 보다 얕게 굴을 파고 서식하는 8월부터 12월 사이에 어린 쏙을 제거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을 기울일 필 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보령지역 어미 쏙의 시 기별 평균 서식 깊이 면에서 볼 때 1차 제거 적기는 쏙들이 표층에 가장 가까워지는 3월부터 5월 초순, 2차 적기는 10 월 중순부터 12월 초순으로 판단된다. 쏙은 갯벌양식장에 서 공간점유와 먹이 경쟁 등 인간의 경제활동에는 부정적 인 영향을 주지만, engineering species로서 갯벌에 수많은 구멍을 깊게 뚫어줌으로써 다양한 생태계적 순기능도 수 행하고 있으므로 친환경적이며 합리적인 대응 방안을 지 속적으로 모색할 필요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