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Search Engine

Download PDF Export Citation Korean Bibliography
ISSN : 1226-9999(Print)
ISSN : 2287-7851(Online)
Korean J. Environ. Biol. Vol.37 No.4 pp.508-525
DOI : https://doi.org/10.11626/KJEB.2019.37.4.508

Bryophyte flora of algific slopes in the Korean Peninsula

Jung-Hyun Kim, Ji-Hong An1, Byoung Yoon Lee, Jin-Seok Kim*
Plant Resources Divisio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Incheon 22689, Republic of Korea
1Baekdudaegan Biodiversity Conservation Division, Baekdudaegan National Arboretum, Bonghwa 36209, Republic of Korea
Corresponding author Jin-Seok Kim Tel. 032-590-7480 E-mail. foko@korea.kr
01/10/2019 06/11/2019 11/11/2019

Abstract


Algific talus slopes provide microclimates suitable for disjunct or relict populations of northern plant species at low elevation habitats in the temperate zones. The pro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phytogeographical significance and produce a strategy for the comprehensive conservation of the vegetation on algific talus slopes. Therefore, we studied the floristics of bryophytes on 15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The bryophytes on the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consisted of 59 families, 138 genera, 226 species, two subspecies, and five varieties, totaling 233 taxa. Peculiarly, many northern bryophytes, such as Andreaea rupestris var. fauriei (Besch.) Takaki., Buxbaumia minakatae S. Okamura, Racomitrium lanuginosum (Hedw.) Brid., Hylocomium splendens (Hedw.) Schimp., and Pleurozium schreberi (Willd. ex Brid.) Mitt. were found on the algific talus slopes. Of them, unrecorded species from south Korea numbered 14 taxa and unrecorded species from the Korean peninsula numbered seven taxa. A similarity analysis based on the bryophyte flora showed that the index of similarity between regions with similar environmental factors was high. This means that the bryophyte flora composition on each algific talus slopes was affected by topography and microclimate. Algific talus slopes are phytogeographically significant microhabitats where northern plant species that advanced southward during the latest glacial age have been isolated and adapted. However, algific talus slopes have constantly been destroyed or damaged by humans without consideration of conservation. Conservation strategies to ensure the biodiversity and effective management of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are discussed in detail.



한반도 풍혈지의 선태식물상

김 중현, 안 지홍1, 이 병윤, 김 진석*
국립생물자원관 식물자원과
1국립백두대간수목원 백두대간종보존실

초록


    Ministry of Environment
    NIBR201201014, NIBR201201018, NIBR201301046

    서 론

    풍혈지 (algific talus slopes)는 플라이스토세 빙기에 주빙 하 환경에서 암설이 퇴적되어 만들어진 애추, 암괴원, 암괴 류 등지에서 발달하며 (Kong et al. 2012;Kim et al. 2016), 주 로 일사량이 적은 사면에 위치한다 (Jeon 2001;Jeon 2002;Kim et al. 2006). 풍혈지는 가장 무더운 여름철에도 토양 및 그 주변의 온도가 15°C를 넘지 않으며, 지역에 따라 0℃ 이하까지 낮아지는 국소적인 저온 환경을 형성한다 (Nekola 1999;Jeon 2001;Andrews 2003;Henry 2003;Kim et al. 2006). 암괴 틈에서 나오는 찬 공기는 봄부터 가을까 지 지속되며, 국소적인 저온과 동시에 결로현상을 발생시 켜 독특한 저온 다습한 환경을 조성한다 (Sato et al. 1993).

    풍혈지의 식생은 북방계 식물이 고산지역에 격리분 포를 보이는 원인과 유사한 빙하기 이후의 국소적인 기 후지대에 살아남은 잔존 식생으로 알려져 있다 (Iokawa and Ishizawa 2003;Kim et al. 2006;Kim et al. 2016;Kim et al. 2019). 또한 신생대 제4기 플라이스토세 빙기 (glacial period)에 남하했던 북방계 식물들이 최후빙하기 (last glacial epoch) 이후 간빙기에 식생 천이와 함께 이주 과정 에서 풍혈지의 한랭 건조한 국소적 기후환경에 적응 및 고립되어 있는 섬 피난처 (insular refugia)이다 (Kim et al. 2006;Kim and Yun 2013;Kim et al. 2016). 풍혈지에는 북방 계 식물의 잔존집단과 더불어 고유한 생물 (양치식물, 선 태식물, 톡토기류, 육상달팽이류 등)들이 다수가 보고되 어 있으며, 이러한 수직적 및 수평적 특이 분포 양상은 전 세계의 풍혈지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현상이다 (Ružicka et al. 2012;Kim et al. 2016). 국내 (남한)에 분포하는 풍혈 지에도 꼬리까치밥나무 (Ribes komarovi Pojark.), 두메고사 리[Diplazium sibiricum (Turcz. ex Kunze) Sa. Kurata], 뚝지 치[Hackelia deflexa (Wahlenb.) Opiz], 월귤 (Vaccinium vitisidaea L.), 좀미역고사리 (Polypodium virginianum L.), 한들고 사리[Cystopteris fragilis (L.) Bernh.] 등의 대표적인 북방계 관속식물들이 격리분포하고 있다 (Kim et al. 2006;Kim and Yun 2013;Kim et al. 2016). 이러한 특이적 환경 특성으로 유럽, 일본의 경우 일부 풍혈지에 대한 관속식물상을 비롯 하여 선태식물상 및 종다양성 연구가 이루어져 있다. 유 럽 중부의 풍혈지는 일반적인 너덜지대에 비해 선태식물 의 종다양성이 높게 나타나고 (Christy and Meyer 1991), 일 본의 풍혈지에서도 검정이끼[Andreaea rupestris var. fauriei (Besch.) Takaki.], 된서리이끼[Racomitrium lanuginosum (Hedw.) Brid.], 타조이끼[Ptilium crista-castrensis (Hedw.) De Not.], 큰겉굵은이끼[Rhytidiadelphus triquetrus (Hedw.) Warnst.], 겉창발이끼[Pleurozium schreberi (Willd. ex Brid.) Mitt.] 등의 북방계 선태식물이 다수 출현하는 것이 주요 특성으로 알려져 있다 (Inoue 1986;Kim and Yun 2013). 국 내의 경우는 풍혈지에 대한 선태식물상적 조사가 수행된 적이 없어 종조성이나 식물지리학적 특이성에 대해 논의 된 바 없다.

    본 연구는 한반도 주요 풍혈지 15개소에 대한 선태식물 의 종조성을 밝히고, 종다양성 패턴분석 및 식물지리학적 중요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2010년 10월부터 2013년 10월까지, 총 4년간 국내에 분 포하는 주요 풍혈지 15개소 (Fig. 1)에 대해 33회의 현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Table 1), 조사지 개황은 Table 2와 같다.

    채집된 표본은 한국동식물도감 (제24권 식물편_선 태류) (Choi 1980), Illustrated Moss Flora of Japan 1-4 (Noguchi 1987, 1988, 1989, 1991), 선태식물 관찰도감 (Kim et al. 2013)을 참고하여 동정·분류하였으며, 채집자 고유 번호를 명기하여 국립생물자원관 선태식물표본수장고 (KB)에 보관하였다. 선태식물의 목록은 한국동식물도감 (제24권 식물편_선태류) (Choi 1980)의 분류체계에 따 라 작성하였으며, 속 이하의 계급은 알파벳순으로 배열하 였다 (Appendix 1). 학명 및 국명은 국가생물종목록 (선태 식물) (NIBR 2011)을 따랐다. 풍혈지소 간의 유사도 지 수를 구하기 위해 MVSP (Multi Variate Statistical Package 3.1-Kovaok Computing Services)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분석변수는 지소 간 수집된 선태식물목록 자료에서 종의 출현 여부에 따라 0과 1로 전환한 후 전체 출현종의 합에 대한 각종의 상대값을 중요치 (important value)로 삼았다. 지소 간 종조성 유사성은 UPGA (Unweighted Pair Group Method using Arithmetic algorithm) 방법으로 분석하였고, Sørensen의 거리척도를 통해 비교하였으며, 그 결과를 토 대로 dendrogram을 작성하였다.

    결 과

    1. 선태식물의 종조성

    본 연구에서 조사된 15개소 풍혈지의 선태식물은 총 59 과 138속 226종 2아종 5변종으로 총 233분류군이 확인 되었다 (Table 3, Appendix 1). 풍혈지별 조사된 선태식물 의 수는 밀양시 남명리 얼음골이 106분류군으로 가장 많 았으며, 연천군 동막리 풍혈 (72분류군), 청송군 내룡리 얼 음골 (62분류군), 정선군 운치리 얼음골 (59분류군) 순으 로 조사되었다 (Table 3). 사면부에 위치한 풍혈지보다 임 연부 또는 계곡부에 위치한 풍혈지에서 종다양성이 더욱 풍부하게 나타났다. 풍혈지의 종다양성은 면적 및 형성 위 치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풍혈지에서 나타 난 선태식물의 종조성은 지형과 국소적 기후 현상의 특 성을 잘 반영하고 있었다. 애추지대 특유의 종조성은 북 방계 식물들과 함께 혼생되어 있는 것이 풍혈지의 주요 특성이다 (Kim et al. 2006). 특히 석회암지대의 풍혈지에 는 석회암 지표종 또는 선호종으로 알려진 석회구슬이끼 [Plagiopus oederianus (Sw.) H.A. Crum & L.E. Anderson], 석회털깃털이끼 (Hypnum calcicola Ando), 설편납작이끼 [Homaliadelphus targionianus (Mitt.) Dixon & P. de la Varde] 등이 조사되어 지질적인 특이성이 종조성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2. 북방계 선태식물

    풍혈지에서 생육이 확인된 북방계 선태식물은 검정이 끼, 담뱃대이끼 (Buxbaumia minakatae S. Okamura), 수풀 이끼[Hylocomium splendens (Hedw.) Schimp.] 등의 총 45 분류군을 확인하였으며 (Table 4), 이들은 주로 주북극분 포종 또는 아고산대에서 고산대 산지에 분포하는 종들이 다. 특히 이 가운데 국내 (남한)에서 최초로 발견된 선태식 물은 가는잎물이끼 (Sphagnum girgensohnii Russ.), 산투구 이끼 (Buxbaumia aphylla Hedw.), 파도꼬리이끼 (Dicranum polysetum Sw.) 등의 총 14분류군이다 (Table 4).

    검정이끼는 고위도 지방이나 높은 산의 암반 등에서 군 생하는 대표적인 고산성 선류식물이다 (Choi 1980). 한반 도에서는 북한 지역 (금강산, 관모봉, 차일봉)과 경남 (가 야산), 제주 (한라산) 등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ark and Choi 2007). 본 연구 지소 중 밀양시 남명리 얼음 골, 평창군 신기리 풍혈, 화천군 구운리 풍혈의 찬공기 분 출구 주변의 바위 겉에서 확인되었다. 산투구이끼는 아고 산대의 부식토 위 또는 썩은 고목 둥치에서 자라는 종이 다 (Iwatsuki 2001). 한반도에서는 함북 (북포태산)에 분포 하는 희귀종이며 (Choi 1980), 국내 (남한)에서 발견된 것 은 이번이 처음이다. 담뱃대이끼는 주로 고산대 산지의 썩 은 나무에 흩어져 자라는 종이다 (Choi 1980). 한반도에서 는 함경도 지역에 분포하는 종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Choi 1980;Park and Choi 2007), 본 연구에서 풍혈지 가장자리 저온 다습한 환경의 영향을 받는 땅 위에서 10여 개체가 확인되었다. 윤빛수세미이끼[Pohlia cruda (Hedw.) Lindb.] 는 주로 고산지대의 바위틈에서 생육한다 (Iwatsuki 2001). 한반도에서는 관모봉, 금강산, 묘향산, 백두산 등 북한 지 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ark and Choi 2007). 국내 대부분의 풍혈지에 분포하여 지표성이 높은 종으 로 판단되며, 풍혈지 내 찬바람 분출구 내부의 차갑고 어 두운 곳에서 주로 생육하고 있다. 통모자이끼 (Encalypta ciliata Hedw.)는 고산대 산지 또는 아한대나 한대지방의 바위틈이나 지상에 흩어져서 착생하는 종이다 (Choi 1980;Iwatsuki 2001). 한반도에서는 관모봉, 백암산, 백두산 등 북한 지역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ark and Choi 2007). 풍혈지 내 찬바람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공기 분출 구 내부 또는 주변의 땅 위에 40~50개의 개체군이 산재되 어 생육하고 있다. 긴수세미이끼 (Pohlia elongata Hedw.)는 아고산대에서 고산대의 산지에 분포하며, 습한 점토나 사 질 토양 또는 습한 암반에서 군생하는 종이다 (Choi 1980). 한반도에서는 제주 (한라산)와 북한 지역 (관모봉, 금강산, 백두산 등)에 생육한다 (Park and Choi 2007). 털금실이끼 [Distichium capillaceum (Hedw.) Bruch & Schimp.]는 일본 에서는 아고산대에서 고산대 산지의 바위틈에서 자라며, 특히 석회암지대를 선호하여 분포하는 종이다 (Iwatsuki 2001). 한반도에서는 북한 지역 (관모봉, 대택, 백두산 등) 에서만 분포한다 (Park and Choi 2007). 풍혈지 내 찬바람 의 영향을 강하게 받는 공기 분출구 내부의 바위틈에서 소 수 개체가 생육하고 있다. 타조이끼[Ptilium crista-castrensis (Hedw.) De Not.]는 아고산대에서 고산대 산지의 부식토 또는 흙이 얕게 쌓인 바위 위에 매트형을 이루며 자라는 종이다 (Choi 1980;Inoue 1986;Iwatsuki 2001). 한반도에서 는 관모봉, 금강산, 백두산 등 북한 지역과 경북 (소백산), 제주 (한라산)의 아고산대 산지에 분포한다 (Park and Choi 2007). 석회구슬이끼는 아고산대 또는 고산대 산지의 석 회암 바위 위에서 자라는 종이며 (Iwatsuki 2001), 한반도에 서는 칠보산, 포태산 등의 고위도 아고산대 산지에 분포한 다 (Park and Choi 2007). 정선군 장열리 풍혈에서는 넓은 면적에서 다수의 개체군이 생육하고 있다. 파도꼬리이끼 는 해발고도가 높은 산지 또는 한대지역에서 군생하는 대 표적인 북방계이며 (Iwatsuki 2001), 한반도에서는 함북 (나 남)에 분포한다 (Park and Choi 2007). 본 연구 지소 중 평 창군 신기리 풍혈 내 저온 다습한 환경을 강하게 받는 찬 바람 분출구 주변으로 소수 개체군이 확인되었다. 수풀이 끼는 전 세계에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일본의 경우 해발고 도가 1,500 m 이상 산지의 침엽수림 아래 부식토 위에서 큰 군락을 이루며 자란다 (Inoue 1986;Iwatsuki 2001). 한 반도에서는 굵은이끼 [Rhytidium rugosum (Ehrh. ex Hedw.) Kindb.], 된서리이끼, 큰겉굵은이끼와 유사한 분포역을 가 진다. 고려거울이끼 (Brotherella coreana Sakurai)는 북한 지 역의 독가리 (Doggari, 현 지명 불확실)에 분포하는 것으 로 알려진 한반도 고유종이다 (Choi 1980;Park and Choi 2007). 본 연구 지소 중 횡성군 가곡리 풍혈의 너덜지대 중 심부의 찬 공기가 약하게 나오는 바위틈에서 소수의 개체 군이 확인되었다. 겉창발이끼 [Pleurozium schreberi (Willd. ex Brid.) Mitt.]는 해발고도 1,500 m 이상의 산지에 자라 는 대표적인 고산성 선태식물이며 (Inoue 1986), 아고산 대 산지 이상의 침엽수 임상에서 큰 군락을 이루며 자란 다 (Iwatsuki 2001). 한반도에서는 북한 지역 (관모봉, 금강 산, 나남, 묘향산, 백두산 등)과 경남 (지리산), 전북 (덕유 산), 강원 (태백산)에 자란다 (Park and Choi 2007). 잔타래 잎이끼[Sphenolobus minutus (Schreb.) Berggr.]는 유럽, 북아 메리카, 동북아시아 등 주북극지방에 자라는 북방계 태류 식물이다 (Choi 2013). 한반도에서는 강원 (설악산)에 분 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hoi 2013). 본 연구 지소 중 연천군 동막리 풍혈 내 저온 다습한 환경의 영향을 받는 바위 위에서 매트형을 이루며 생육하고 있다. 둥근타래잎 이끼[Sphenolobus saxicola (Schrad.) Steph.] 유럽, 북아메리 카, 동북아시아 등 주북극지방에 자라는 북방계 태류식물 이다 (Choi 2013). 일본에서는 시로우마산 (해발고도 2,932 m), 카이코마가산 (해발고도 2,967 m) 등의 일부 고산대 산 지에 분포한다 (Iwatsuki 2001). 한반도에서는 경남 (지리 산), 강원 (설악산)에 분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Choi 2013). 본 연구 지소 중 화천군 구운리 풍혈의 저온 다습한 환경의 영향을 받는 바위 위에서 매트형을 이루며 생육하 고 있다.

    3. 한반도 미기록 선태식물

    풍혈지에서 생육하고 있는 한반도 미기록 선태식물은 총 7분류군이며 (Table 5), 이들 종의 대부분은 고산성 또 는 주북극성종이다.

    Oreoweisia laxifolius (Hook.) Kindb.는 히말라야산맥과 타 이완의 아고산대 지역에서는 흔히 자라는 종이지만, 일본 (혼슈지방에서 한 곳에서만 자생)에서는 매우 희귀한 종 으로 알려져 있다 (Noguchi 1987). 본 연구 지소 중 청송 군 내포리 얼음골의 풍혈지 가장자리 저온 다습한 환경 의 영향을 받는 땅 위에서 소수 개체군이 생육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ortella fragilis (Hook. & Wils.) Limpr. 는 북반구에 넓게 분포하는 종이며 (Noguchi 1988), 일 본에서는 혼슈, 홋카이도에서 자란다 (Iwatsuki 2001). 정 선군 장열리 풍혈 내에서는 많은 개체군이 저온 환경의 영향을 받는 바위 위에서 생육하고 있다. Orthotrichum ibukiense Toyama는 일본 고유종이며, 혼슈에 분포하는 종 이다 (Noguchi 1989). 국내 선주름이끼속 (Orthotrichum) 의 다른 종에 비해 삭의 기공이 침생하고 내삭치가 있으 며, 엽연이 강하게 반곡하는 특징으로 쉽게 구분할 수 있 다. 의성군 빙계리 빙혈, 정선군 운치리 얼음골의 찬공기 분출구 주변의 습한 땅 위에 모여 자란다. Myurella sibirica (Müll. Hal.) Reimers는 유럽, 북아메리카, 동북아시아에 분 포하며, 일본의 경우 석회암지대 바위틈에서만 자라는 희 귀종으로서 절멸위기 I급종에 해당된다 (Iwatsuki 2001). 정선군 장열리 풍혈에서는 비교적 많은 개체군이 찬바 람 분출구 내부 또는 주변에서 겉쌍둥이이끼[Didymodon ferrugineus (Schimp. ex Besch.) M.O. Hill], 석회구슬이끼, 넓은털잎이끼[Trichostomum platyphyllum (Broth. ex Iisiba) P.C. Chen.] 등과 혼생하고 있다. Leskeella nervosa (Limpr.) Loeske는 유럽, 북아메리카, 일본에 분포하며, 일본의 경 우는 주로 혼슈의 고산지대 눈잣나무[Pinus pumila (Pall.) Regel]군락과 혼생한다 (Noguchi 1991). 청송군 내룡리 얼 음골, 정선군 운치리 얼음골의 저온 다습한 환경의 영향 을 받는 바위 위에서 소수 개체군을 확인하였다. Mannia triandra (Scop.) Grolle는 일본 (주로 홋카이도), 북아메리 카, 유럽의 고산지대에 분포하며 (Hugonnot and Offerhaus 2005), Mannia 속에서 가장 고위도 지방에 분포하는 종이 다 (Borovichev and Bakalin 2013). 유럽의 헝가리에서는 국 소적인 저온 기후를 보이는 석회암지대에 제한적으로 분 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유럽의 여러 국가에서는 멸 종위기종으로 평가하고 있으며, 일본의 경우에도 절멸위 기 II급종으로 지정하여 보호하고 있다 (Iwatsuki 2001). 정 선군 운치리 얼음골에서는 저온 다습한 환경의 영향을 받 는 부식토 위에 소수 개체군이 군생하고 있다. Isopaches decolorans (Limpr.) H. Bush는 유럽, 북아메리카, 러시아 (Siberia), 중국 (Sichuan, Xizang, Yunnan), 부탄, 네팔 등에 매우 제한적으로 분포하는 희귀종으로 알려진 주극·고산 식물이다 (Zhang et al. 2013). 포천시 성동리 풍혈의 찬바 람 분출구 주변에서 윤빛수세미이끼와 함께 혼생하며 자 란다.

    4. 풍혈지소 간 유사도 분석

    출현한 식물목록을 이용하여 각 풍혈지간의 유사성을 추정하기 위해 Sørensen의 유사도 지수를 분석한 결과를 Fig. 2에 나타내었다. 군집 간에 유사도 지수가 20% 미만일 때 서로 이질적인 집단이고, 80% 이상일 때 서로 동질적인 집단으로서 (Whittaker 1956), 생태적으로 유사한 집단일 수록 유사도 지수는 높게 나타난다 (Cox 1976).

    풍혈지 15개소에 출현하는 선태식물을 대상으로 유 사도 분석결과, 10번 지소와 15번 지소 사이의 유사도가 56.3% (node 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Node 1과 14번 지 소 사이의 유사도가 53.4% (node 2), 2번 지소와 4번 지소 가 53.1%, 5번 지소와 node 2가 51.9% 등의 순으로 나타났 다 (Fig. 2). Kim and Yun (2013)은 한반도 풍혈지의 관속식 물 종조성은 해발고도, 온도, 강수량 등에 의해 뚜렷한 차 이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주변 산림 식생대의 영 향을 받아 각 풍혈지의 특이한 식물분포 양상으로 식물군 락의 종조성 차이를 나타내었다 (Kim and Yun 2013). 본 연 구에서도 풍혈의 유형 (애추형 및 동굴형 등), 해발고도, 온 도, 지형 및 주요 우점 군락 (활엽수림, 소나무림, 침활혼효 림) 등의 미소 생육지가 유사한 지소끼리 유사도 지수가 높게 나타난 것으로 나타나 각 풍혈지소 간 선태식물의 종 조성은 지형과 미소 기후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으 로 판단되었다.

    풍혈지는 기후변화에 대응하여 온난화에 견디기 힘든 북방계 식물들의 피난처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하지만, 기후변화에 의한 고유식물 (특히 양치식물, 선 태식물) 및 자생지가 점차 줄어들고 (KNA 2014;Kim et al. 2016), 인위적 훼손에 의한 풍혈지 면적의 감소는 이질적 인 집단화로 진행, 가속화하는 결과를 초래할 것으로 생각 된다.

    고 찰

    한반도 주요 풍혈지 15개소에 대한 선태식물상 조사 결 과, 총 59과 138속 226종 2아종 5변종, 총 233분류군의 선 태식물이 조사되었다. 매우 협소한 면적에 비해 국내의 선 태식물 약 25%에 가까운 많은 종이 분포하고 있었으며, 타조이끼, 큰겉굵은이끼, 수풀이끼, 검정이끼 등의 대표적 인 고산성 북방계 이끼가 다수 생육하고 있음을 확인하였 다. 특히 국내 (남한)에서는 채집 기록이 없었던 담뱃대이 끼, 통모자이끼, 파도꼬리이끼, 윤빛수세미이끼 등, 총 14분 류군의 남한 미기록종이 분포하였고, Oreoweisia laxifolius (Hook.) Kindb., Myurella sibirica (Müll. Hal.) Reimers, Leskeella nervosa (Limpr.) Loeske 등, 총 7분류군의 한반도 미기록 선태식물을 확인하였다.

    국내에 분포하는 대부분의 풍혈지는 좁은 면적에 비해 매우 풍부한 선태식물의 종다양성을 유지하고 있는데, 이 는 하절기 높은 온도의 공기가 낮은 온도의 풍혈지 주변에 서 응결되면서 높은 습도가 지속적으로 유지되어 북방계 선태식물의 생육에 최적의 환경을 조성해 주었기 때문으 로 판단되었다. 특히 풍혈지에서 북방계 미기록종 및 희귀 종 등이 다수 발견된 것은 최후빙하기 (약 15,000년 전)에 남하했던 북방계 선태식물들이 기후가 차츰 온난화되면 서 다른 곳에서는 식생 경쟁에 의해 소멸하였으나, 빙하기 의 환경과 유사한 풍혈지 주변에서는 현재까지 살아남았 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풍혈지의 저온 환경은 찬 바람이 나오는 바위틈이나 작 은 동굴 주변과 지표면, 그리고 지표에서 지상 1~2 m 이하 에 형성된다. 이러한 국소적인 저온 다습한 환경은 수고가 높은 관속식물에 비해 개체의 크기가 작은 선태식물이나 미소 동물의 분포에 더 큰 영향을 미칠 것을 추정된다. 한 반도 풍혈지에 대한 생물학적인 조사는 관속식물에 집중 되어 있으며, 선태식물 및 이동성이 낮은 미소 동물에 대 한 연구는 아직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풍혈지의 북방계 선태식물이 다수 채집 되었고, 이를 중점으로 식물지리학적 특이성에 대해 언급 을 하였으나, 일부 풍혈지에서는 소수이지만 아열대성 선 태류가 혼생하는 원인에 대해서는 기후최적기 (climatic optimum) 잔존 및 최근의 온난화 영향 등, 다양한 가설에 대해 검증하는 후속 연구가 필요한 것을 판단된다.

    적 요

    풍혈지는 특수한 국소적인 저온 환경으로 인해 북방계 식물들이 온대지역의 해발고도가 낮은 지대에서도 분포 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본 연구는 한반도 주요 풍혈지 15개소에 대한 선태식물 종조성을 밝히고, 종다양성의 패턴분석 및 식물지리학적 중요성을 고찰하고자 한다. 풍혈지의 선태식물상 조사결 과, 59과 138속 226종 2아종 5변종의 총 233분류군으로 확 인되었다. 이 가운데 북방계 선태식물은 검정이끼, 담뱃대 이끼, 된서리이끼, 수풀이끼, 겉창발이끼 등이 풍혈지에서 생육하고 있었다. 국내 (남한)에서 발견된 미기록종은 14 분류군, 한반도에서 발견된 미기록종은 7분류군이었다. 지 소별 유사도 분석결과, 환경 특성이 유사한 지소끼리 유사 도 지수가 높게 나타남에 따라 각 풍혈지별 선태식물의 종 조성은 지형과 미소 기후의 특성을 잘 반영하고 있는 것 으로 판단된다. 풍혈지는 최후빙하기의 한반도의 기후, 식 생 환경을 이해할 수 있는 직접적인 증거를 보유한 서식지 (피난처)이지만 풍혈지의 식생은 어떠한 보호조치도 없이 인위적으로 훼손되고 있다. 풍혈지의 생물학적인 가치와 보전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체계적이고 합리적인 관리방 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사 사

    본 논문은 정부 (환경부)의 재원으로 국립생물자원 관의 지원을 받아 수행되었습니다 (NIBR201201014, NIBR201201018, NIBR201301046).

    Figure

    KJEB-37-4-508_F1.gif

    Distribution map of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1. Miryang Nammyeong-ri Eoreumgol; 2. Jinan Jwapo-ri Punghyeol; 3. Uiseong Binggye-ri Binghyeol; 4. Cheongsong Naeryong-ri Eoreumgol; 5. Jecheon Seon-go-ri Punghyeol; 6. Jecheon Geumsusan Eoreumgol; 7. Jeongseon Unchi -ri Eoreumgol; 8. Jeongseon Jangyeol -ri Punghyeol; 9. Pyeongchang Sin-gi -ri Punghyeol; 10. Hoengseong Ga-gok-ri Punghyeol; 11. Hongcheon Bangnae-ri Punghyeol; 12. Hwacheon Gu-un-ri Punghyeol; 13. Pocheon Seongdong-ri Punghyeol; 14. Yeoncheon Dongmak-ri Punghyeol; and 15. Pocheon Samyul -ri Punghyeol.

    KJEB-37-4-508_F2.gif

    Dendrograms showing the degree of Sørensen similarity based on bryophyte flora data of the algific talus slopes. 1. Miryang Nammyeong- ri Eoreumgol; 2. Jinan Jwapo-ri Punghyeol; 3. Uiseong Binggye-ri Binghyeol; 4. Cheongsong Naeryong-ri Eoreumgol; 5. Jecheon Seon-go-ri Punghyeol; 6. Jecheon Geumsusan Eoreumgol; 7. Jeongseon Unchi -ri Eoreumgol; 8. Jeongseon Jangyeol -ri Punghyeol; 9. Pyeongchang Sin-gi -ri Punghyeol; 10. Hoengseong Ga-gok-ri Punghyeol; 11. Hongcheon Bangnae-ri Punghyeol; 12. Hwacheon Gu-un-ri Punghyeol; 13. Pocheon Seongdong-ri Punghyeol; 14. Yeoncheon Dongmak-ri Punghyeol; and 15. Pocheon Samyul -ri Punghyeol.

    Table

    The dates and sites of floristic investigations of bryophytes on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Localities and areas of major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The list of bryophytes in the major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Collection site. 1. Miryang Nammyeong-ri Eoreumgol; 2. Jinan Jwapo-ri Punghyeol; 3. Uiseong Binggye-ri Binghyeol; 4. Cheongsong Naeryong-ri Eoreumgol; 5. Jecheon Seon-go-ri Punghyeol; 6. Jecheon Geumsusan Eoreumgol; 7. Jeongseon Unchi -ri Eoreumgol; 8. Jeongseon Jangyeol -ri Punghyeol; 9. Pyeongchang Sin-gi -ri Punghyeol; 10. Hoengseong Ga-gok-ri Punghyeol; 11. Hongcheon Bangnae-ri Punghyeol; 12. Hwacheon Gu-un-ri Punghyeol; 13. Pocheon Seongdong-ri Punghyeol; 14. Yeoncheon Dongmak-ri Punghyeol; 15. Pocheon Samyul -ri Punghyeol.

    The number of bryophytes surveyed in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The list of northern -native bryophytes investigated in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The list of unrecorded species of Korean flora investigated in algific talus slopes in Korea

    Reference

    1. Andrews KM. 2003. A geological and geophysical investigation of ice mountain algific talus, hampshire county, West Virginia. M.S. thesis. West Virginia University.
    2. Borovichev EA and VA Bakalin.2013. Mannia Levigata (Marchantiophyta: Aytoniaceae) first record outside of Japan in the Russian far east. Pol. Bot. J. 58:217-220.
    3. Choi DM. 1980. Illustrated Flora and Fauna of Korea. Vol. 24. Musci·Hepaticae. Samhwa, Seoul.
    4. Christy JA and TA Meyer.1991. Bryophytes of algific talus slopes in Wisconsin's driftless area. Rhodora 93:242-247.
    5. Cox GW. 1976. Laboratory Manual of General Ecology. 3rd ed. Wm. C. Brown Co. Pub., Dubuque, IA.
    6. Henry C. 2003. Refuge for an ice age survivor. Endanger. Species Bull. 28:24-26.
    7. Hugonnot V and B Offerhaus.2005. Nouvelles localités de Mannia triandra (Scop.) Grolle (Aytoniaceae, Marchantiales) écologie et répartition en France métropolitaine. J. Bot. Soc. Bot. France 29:63-68.
    8. Inoue H. 1986. Field Guide for Bryophytes. Tokai University.
    9. Iokawa Y and S Ishizawa.2003. Vascular plants of wind-hole areas in Japan (1). J. Phytogeogr. Taxon. 51:3-26.
    10. Iwatsuki Z. 2001. Mosses an Liverworts of Japan. Heibonsha.
    11. Jeon BI. 2002. On study of summertime ice formation in the ice valley at Unchiri, Gangwon-province. J. Environ. Sci. 11:857-863.
    12. Jeon YG. 2001. A geomorphological study on the distribution areas of freezing during summer season in Korea. J. Korean Assoc. Region. Geograph. 7:97-106.
    13. Kim JH , HJ Park, GH Nam, KU Lee and JS Kim.2019. Floristic study of Mt. Jaamsan in the Gyeongsang supergroup, Korea. Korean J. Environ. Biol. 37:229-248.
    14. Kim JS and JH Yun.2013. A study on the vegetation structure of algific talus slope in Korea. Korean J. Environ. Ecol. 27:357-368.
    15. Kim JS , JM Chung, BC Lee and JH Park.2006. The plant species composition and phytogeographical significance on algific talus slope in Korea. Korean J. Pl. Taxon. 36:61-90.
    16. Kim JS , JM Chung, JH Kim, W Lee, BY Lee and JH Pak.2016. Floristic study and conservation management strategies of algific talus slopes on the Korean peninsula. Korean J. Pl. Taxon. 46:213-246.
    17. Kim JS , SY Kim, BY Lee, YJ Yoon, SS Choi and BY Sun.2013. A Field Guide to Bryophytes in Korea. GeoBook, Seoul.
    18. Kong WS , KH Yoon, IT Kim, YM Lee and SH Oh.2012. Spatial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of wind -hole and governance strategy. J. Environ. Impact Assess. 21:431-433.
    19. KNA.2014. Vaccinium vitis -idaea L., algific talus slopes and climate change. KNA Webzine. Korea National Arboretum. http://www.forest.go.kr/kna/webzine/2014/12/s1_2.html.
    20. Nekola JC. 1999. Paleorefugia and neorefugia: the influence of colonization history on community pattern and process. Ecology 80:2459-2473.
    21. NIBR.2011. National List of Species of Korea (Moss, Liverwort).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earch, Incheon.
    22. Noguchi A. 1987. Illustrated Moss Flora of Japan 1. Daigaku Printing Co. Ltd.
    23. Noguchi A. 1988. Illustrated Moss Flora of Japan 2. Daigaku Printing Co. Ltd.
    24. Noguchi A. 1989. Illustrated Moss Flora of Japan 3. Daigaku Printing Co. Ltd.
    25. Noguchi A. 1991. Illustrated Moss Flora of Japan 4. Daigaku Printing Co. Ltd.
    26. Park KW and K Choi.2007. New List of Bryophytes in Korea. Korea National Arboretum, Pocheon.
    27. Růžička V , M Zacharda, L Němcová, P Šmilauerd and JC Nekola.2012. Periglacial microclimate in low-altitude scree slopes supports relict biodiversity. J. Nat. Hist. 46:2145-2157.
    28. Sato K , G Kudo and S Uemura.1993. Cool-spots site vegetation in Izariiri-Heide, northern Japan. Jpn. J. Ecol. 43:91-98.
    29. Whittaker RH. 1956. Vegetation of the great smoky mountains. Ecol. Monogr. 26:1-80.
    30. Zhang LN , XF Cheng and RL Zhu.2013. First record of Isopaches decolorans (Marchantiophyta, Lophoziaceae) from Xizang, China. Pol. Bot. J. 58:205-210.

    Vol. 40 No. 4 (2022.12)

    Journal Abbreviation 'Korean J. Environ. Biol.'
    Frequency quarterly
    Doi Prefix 10.11626/KJEB.
    Year of Launching 1983
    Publisher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Indexed/Tracked/Covered By

    Contact info

    Any inquiries concerning Journal (all manuscripts, reviews, and notes) should be addressed to the managing editor of the Korean Society of Environmental Biology. Yongeun Kim,
    Korea University, Seoul 02841, Korea.
    E-mail: kyezzz@korea.ac.kr /
    Tel: +82-2-3290-3496 / +82-10-9516-16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