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세계적으로 외래종의 유입은 생태계 교란을 일으키 는 생물다양성 감소의 가장 치명적인 요인 중 하나이다 (Vitousek et al. 1997). 외래생물들은 인간의 운송 및 상업 의 발달, 식품무역 그리고 애완동물 사업 확대 등의 인위 적인 이유로 매우 빠르게 이주 및 유입되고 있다 (Di Castri 1989). 이 중 거북류는 대표적인 외래종으로 오래전부 터 식량, 약재, 애완동물로서 거래되어 왔다 (Ceballos and Fitzgerald 2004). 하지만 수입된 외래거북들은 사육 포기, 종교적인 방생, 관리 부주의 등의 이유로 인해 야생 생태 계로 유입되고 있다 (Thomas and Hartnell 2000;Shiau et al. 2006;Oh and Hong 2007;Sung and Fong 2018).
환경부에 따르면 우리나라에 수입된 외래생물은 2011 년에 1,109종, 2013년에 2,167종, 2015년에 3,097종으로 매년 늘고 있다 (NIE 2015). 2016년 조사 결과에서는 외 래거북 9과 73종이 국내로 유입되었고, 유입량은 과거 에 비해 줄었으나 유입되는 종 수는 점점 늘고 있다 (Lee et al. 2016). 최근 전국을 대상으로 한 외래생물 분포 조 사에서는 붉은귀거북 (Trachemys scripta elegans), 리버쿠 터 (Pseudemys concinna) 등 4과 12종의 외래거북들이 야생 에서 발견되었다 (NIE 2015, 2016, 2017, 2018;Koo et al. 2017). 게다가 공식적인 수입목록에 포함되어 있지 않았 던 오치타지도거북 (Graptemys ouachitensis)이 친수공원에 서 발견되었다 (Koo et al. 2017).
생태계로 유입된 외래종들은 다음과 같은 환경문제 를 유발시킬 수 있다. 1) 새로운 질병을 전파시킬 수 있 고 (Mack et al. 2000), 2) 서식지 내 생태계를 교란시키거 나 (Vitousek et al. 1997), 3) 생태적 지위가 비슷한 토착종 의 강력한 경쟁자가 될 수 있다 (Díaz-Paniagua et al. 2011;Hoskin 2011).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외래 파충류인 붉은 귀거북도 유럽 및 아시아 등 다양한 국가로 유입되어, 토 착 생태계를 교란하는 것이 보고 되었다 (Girondot et al. 2007). 이에 따라 국제자연보전연맹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IUCN) 은 붉은귀거북을 세계적인 생태계위해외래종으로 지정하 였다 (Girondot et al. 2007). 국내의 경우, 붉은귀거북을 생 태계교란생물로 지정하였으며, 2001년부터 수입을 금지 하였다 (NIE 2015). 외래생물 문제는 생태계 교란에서 그 치지 않고 그들을 관리하고 제어하는데 상당한 사회 그 생태계로 유입된 외래종들은 다음과 같은 환경문제 를 유발시킬 수 있다. 1) 새로운 질병을 전파시킬 수 있 고 (Mack et al. 2000), 2) 서식지 내 생태계를 교란시키거 나 (Vitousek et al. 1997), 3) 생태적 지위가 비슷한 토착종 의 강력한 경쟁자가 될 수 있다 (Díaz-Paniagua et al. 2011;Hoskin 2011). 세계에서 가장 유명한 외래 파충류인 붉은 귀거북도 유럽 및 아시아 등 다양한 국가로 유입되어, 토 착 생태계를 교란하는 것이 보고 되었다 (Girondot et al. 2007). 이에 따라 국제자연보전연맹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and Natural Resources; IUCN) 은 붉은귀거북을 세계적인 생태계위해외래종으로 지정하 였다 (Girondot et al. 2007). 국내의 경우, 붉은귀거북을 생 태계교란생물로 지정하였으며, 2001년부터 수입을 금지 하였다 (NIE 2015). 외래생물 문제는 생태계 교란에서 그 치지 않고 그들을 관리하고 제어하는데 상당한 사회 그 리고 경제적 비용이 소요 된다 (Huxel 1999;Pimentel et al. 2005;Lovell et al. 2006;Shine 2010). 따라서 국내로 유입된 외래생물의 현황을 지속적으로 파악하는 것은 외래생물 에 의해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를 예방하는데 중요하 다고 볼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외래생물의 관리와 제어를 위한 현황 자 료 확보의 일환으로 국내 야생 생태계에서 처음으로 발견 된 서부비단거북 (Chrysemys picta bellii)의 사례를 보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료 및 결과
2019년 3월 27일 13:00분경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 항동에 위치하는 일산호수공원 (37°39′45″N, 126°45′33″E, 6 m a.s.l.)에서 외래거북 한 개체가 발견되었다 (Fig. 1). 외 래거북의 붉은 배면과 배면 중앙에 올리브색 무늬, 머리 옆면에 위치한 다수의 가는 줄무늬, 용골이 없는 등껍질을 근거로 늪거북과 (Emydidae)에 속하는 서부비단거북임을 확인하였다 (Ernst et al. 1994;Rowe 1997;Ernst and Lovich 2009). 일산호수공원은 총면적 약 1,034,000 m2, 공원 내 호 수의 면적 약 300,000 m2의 대단위 친수공원으로 방문하 는 시민들이 매우 많고, 다양한 편의 시설들을 갖추고 있 다. 발견 당시 서부비단거북은 호수 중앙 인공적으로 조 성된 바위 위에서 일광욕을 하고 있었다 (Fig. 2A, B). 서부 비단거북의 근처에는 리버쿠터로 추정되는 외래거북들이 관찰되었다 (Fig. 2B).
고 찰
서부비단거북이 속하는 비단거북 (Chrysemys picta) 그 룹은 1990년대 초부터 붉은귀거북 다음으로 인기가 있었 던 애완거북이다 (Ernst and Lovich 2009). 서부비단거북은 북미의 하천 및 늪지 주변에서 주로 서식하며 (Ernst et al. 1994), 곤충과 수생식물, 수생태계에 서식하는 대부분의 생물을 먹이로 이용한다 (Carr 1952). 해외에서는 서부비 단거북이 새롭게 유입된 자연 환경에서 적응한 사례를 보 고하였다 (Tuberville et al. 1996). 서부비단거북이 선호하는 서식지의 환경은 국내 생태계에서 정착 단계에 접어든 붉 은귀거북과 매우 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Conant and Collins 1998;Jaeger and Cobb 2012). 다시 말하면, 서부비단 거북이 국내 환경에 적응할 가능성이 매우 높으며, 붉은귀 거북이 생태계에 미치는 문제를 유사하게 일으킬 수 있음 을 의미한다.
국내에서는 2000년대부터 매우 다양한 외래거북들이 수 입 및 유통되고 있다 (NIE 2015;Lee et al. 2016). 외래거북 들이 국내 생태계로 유입되는 원인은 주로 관리부주의나 방생이다 (NIER 2012). 외래거북들은 일반인들이 쉽게 접 근할 수 있는 공원 내 저수지 등에서 주로 발견된다 (Koo et al. 2017). 특히, 2018년 수행된 외래생물 분포 조사에서 는 붉은귀거북, 리버쿠터, 플로리다붉은배쿠터 (Pseudemys nelsoni)가 서부비단거북의 발견 지점인 일산호수공원에서 서식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NIE 2018). 서부비단거북을 포 함한, Chrysemys 속에 종들이 붉은귀거북과 매우 유사한 생 태적 특성을 보인다는 점을 고려하면 (Carr 1952), 야생으 로 유입될 시 생존할 가능성이 매우 높다.
공식적인 기록에 따르면 2015년 국내로 수입된 외래양 서·파충류는 304종이었으며, 그중 외래거북은 110여 종 에 달했다 (NIE 2015). 최근까지 수행된 분포 조사에 따르 면, 국내로 수입된 외래거북 중 10%가 넘는 13종 (서부비 단거북 포함)이 야생에서 발견되고 있는 실정이다 (NIE 2015;Lee et al. 2016;Koo et al. 2017). 또한 2019년 조사에 서는 국내 온라인 애완동물 마켓에서 판매되는 외래양서· 파충류의 수가 총 677종이었으며, 그중 거북목은 110종이 판매되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unpublished data). 이는 2015년 기록에 비해 두 배 이상 증가된 수치이다. 온라인 마켓만을 대상으로 했기 때문에 오프라인을 포함할 경우 훨씬 더 많은 외래양서·파충류가 국내로 수입되었을 것이 다. 국내로 유입되는 외래생물의 수 증가는 결국 야생으로 유입되는 종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외래생물에 대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입과 유통에 대한 근본 적인 관리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외래거북의 발견은 사람들의 왕래가 빈번한 도심 내 친 수 공원에 집중되는 경향이 있다 (Koo et al. 2017). 공식적 으로 수입이 확인되지 않았던 외래거북인 오치타지도거 북 또한 아파트 단지 내 친수공원에서 발견되었다 (Koo et al. 2017). 즉 국내 야생에서 발견되는 외래거북의 경우, 사 람들의 방생을 가장 큰 원인으로 볼 수 있다 (Oh and Hong 2007). 따라서 이미 야생으로 유입된 외래거북의 퇴치도 중요하지만, 개인이 키우던 외래종의 방생을 막는 것 또한 외래거북의 관리에 중요한 부분이 될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야생에서 처음으로 발견된 서부비단거 북을 보고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종의 확인보다 더 주목해 야 하는 것은 국내 생태계에서 외래생물들이 꾸준히 발견 되고 있으며, 그 수와 종이 점점 많아지고 있다는 점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 논문은 국내에서 확인되는 외래생물에 대한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제기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 다고 판단된다. 외래생물에 의한 문제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입 및 유통과 관련된 제도적인 장치가 마련되어야 하며, 외래생물 사육에 따른 책임을 판매 업체와 개인에게 부여 할 필요가 있다.
적 요
2019년 3월 27일 경기도 고양시 일산동구 장항동에 위 치하는 일산호수공원에서 일광욕 중이던 외래거북 한 개 체가 발견되었다. 발견된 개체의 배갑 색, 배갑 중앙의 무 늬, 머리 옆면의 무늬, 등껍질의 형태를 근거로 서부비단거 북 (Chrysemys picta bellii)임이 확인되었다. 근처에는 서부 비단거북이 아닌 외래거북들이 일광욕하고 있었다. 본 논 문에서는 국내 야생에서 처음으로 확인된 서부비단거북 의 관찰 사례를 보고하였다. 다양한 외래거북들이 국내 생 태계에서 지속적으로 발견되고 있으나 그 실태가 잘 알려 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외래생물의 효과적인 관리를 위해 서는 지속적인 조사와 보고가 있어야 할 것이라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