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Phenanthrene과 같은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Polycyclic Aromatic Hydrocarbons; PAHs)는 일반적으로 2환 이상의 벤젠 고리로 구성된 화합물의 총칭으로, 유기물질의 불완 전연소에 의하여 주로 발생하며, 자연적으로는 식물과 미 생물의 대사 및 화산활동에 의하여 생성되고, 인위적으로 는 자동차 배기가스, 주거난방시설, 소각장과 발전소 및 유 류의 사용 과정 등에서 생성된다 (Beak et al. 1991;Park et al. 2009). PAHs는 환경 내의 주요한 오염물질로서, 생물 에게 노출되었을 때 돌연변이 및 발암 등을 유발하기 때 문에, 2001년 5월 채택된 스톡홀롬 협약에서 잔류성 유 기오염물질 (Persistent Organic Pollutants; POPs) 중의 한 그룹으로 논의된 바 있으며 (UNEP 2003), 국제암연구소 (International Agency for Research on Cancer; IARC)에 서 Group 1 (인체발암물질)로 지정한 바 있다. 또한, PAHs 에는 200여 종의 이성질체가 존재하며, 환경 내에서 주 로 검출되는 2환에서 6환까지의 16종 (2환: Naphthalene, 3 환: Acenaphthylene, acenaphthene, Fluorene, Phenanthrene, Anthracene, 4환: Fluoranthene, Pyrene, Benz[a]anthracene, 5 환: Chrysene, Benzo[b]fluoranthene, Benzo[k]fluoranthene, Benzo[a]pyrene, Dibenzo[a,h]anthracene, 6환: Indeno[1,2,3- c,d]pyrene, Benzo[g,h,i]perylene)의 경우, 미국 환경보호 청 (US-EPA)에서 우선관리 대상물질로 지정하여 모니 터링하고 있다 (Macias-Zamora et al. 2002; Lee et al. 2019; Honda and Suzuki 2020).
환경 중으로 배출된 PAHs는 기체 또는 분진에 흡착되 어 대기 중으로 쉽게 확산되며, 대기 중의 PAHs는 해수 면을 통하여 해양으로 직접 유입되거나, 토양에 침적되 어 강우시에 하천을 통하여 해양에 유입된다. 또한, 도시 화 및 산업화에 의하여 형성된 하수종말처리장으로부 터 많은 양의 PAHs가 점 오염원의 형태로 해양에 유입되 기도 한다 (Nikolaou 1984;Botello et al. 1998;Latimer and Zheng 2003;Kanaki et al. 2007;Lim et al. 2007;Qiu et al. 2009;Chen and Chen 2011;Castro-Jiménez et al. 2012). 해 양으로 유입된 PAHs는 물에 대한 용해도가 낮고, 난분해 성으로 비극성인 특징으로 인하여, 연안 및 기수 역의 저 질과 저질 내 유기물에 잔류·축적되어 지속적으로 증가 하여 저서생태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Berardescok et al. 1998; Bartlett et al. 2000;Sung et al. 2014).
Phenanthrene은 3환의 저분자량 PAHs로, 4개 미만의 탄 소고리로 이루어진 저분자량 다환방향족탄화수소류 (Low molecular weight PAHs; LPAHs)로, 수용해도가 크고 입자 친화력이 작으며, 생물에게 유전독성 및 발암성을 포함하 여 생물에게 급·만성독성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 다. 또한, Phenanthrene은 해양환경 내에서 다른 PAHs보다 고농도로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Kim et al. 2003; Sung et al. 2014;Honda and Suzuki 2020). 하지만, 연안서 식생물 중 무척추동물인 성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는 전무한 수준이다. 또한, Phenanthrene의 해양 유입은 해 수와 퇴적물 같은 환경 중의 농도 증가와 더불어 수산생 물 체내 축적되어, 수산생물을 이용하는 인류의 보건과도 밀접한 연관을 지니고 있기에 시급한 연구가 필요한 실정 이다.
성게류는 전 세계 연안 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수산생 물로, 산란 유도를 통한 생식세포의 획득으로 인공수정을 통한 수정 및 배아 발생 과정을 손쉽게 관찰할 수 있는 유 용한 시험생물이다. 또한, 초기 배아 발생 과정에서 난할의 분활 및 유생의 골격 형성 등을 쉽게 관찰할 수 있어서 오 염물질에 대한 생태위해성을 판단할 수 있는 시험생물로 도 널리 이용되고 있다 (Jackim and Nacci 1986;Hwang et al. 2014). 또한, 성게의 수정률과 정상 배아 발생률은 해양 환경으로 유입되는 오염물질 등에 대한 위해성을 짧은 시 간에 판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급성과 만성독성을 동 시에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Kobayashi 1980;Greenwood 1983;Pagano et al. 1989; Hwang et al. 2020).
본 연구에서는 해양 생태계 내 1차 소비자를 대표하는 둥근성게 (Mesocentrotus nudus)와 말똥성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수정과 정상 배아발달에 미치는 Phenanthrene의 영향을 조사하였으며, 반수영향농도 (50% Effects concentration; EC50), 무영향농도 (No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NOEC) 및 최소영향농도 (Lowest observed effective concentration; LOEC) 등을 산출하여 Phenanthren 의 해양환경 기준농도 설정을 위한 귀중한 자료로 활용하 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시험생물
시험생물인 둥근성게 (Mesocentrotus nudus)와 말똥성 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는 현장에서 채집하여 사 용하였다. 둥근성게는 2019년 7월 충청남도 태안군 모 항리 연안 (36°46ʹ38ʺN, 126°07ʹ26ʺE)에서, 말똥성게는 2020년 2월에 전라북도 부안군 격포리 연안 (35°38ʹ04ʺN, 126°27ʹ41ʺE)에서 채집하였다. 채집한 시험생물은 저온상 태에서 이송하여, 자연채광 상태의 유수식 수조에서 15± 1°C로 순치한 후 시험에 사용하였다. 배양액은 자연해수 를 membrane filter (pore size 0.45 μm)로 여과하여 사용하 였다.
2. 생식세포 획득
M. nudus의 경우 직경 10 cm, H. pulcherrimus는 직경 3.5 cm 이상으로 충분히 성장한 개체, 각 6마리 이상을 선별하 여 사용하였다. 선별된 성게의 표면을 해수로 세척하여 성 게 표면의 이물질을 제거한 후, 체강 내에 0.5 M KCl 용액 1 mL을 주입시켜 생식세포의 방란 및 방정을 유도한 후, 배양액이 담긴 비이커에 생식공이 충분히 잠기도록 담구 어 정자 및 난자를 포집하였다. 수집한 생식세포 중에서 정자는 1회, 난자는 3회 이상 충분히 세정한 후에 시험에 사용하였다.
3. 시험용액 조성
본 시험에 사용된 Phenanthrene (C14H10, Cas No. 85- 01-8)의 시험농도 범위는 예비실험을 통하여 설정되었 다. 모든 시험간 대조구는 0.45 μm membrane filter로 여과 된 자연해수를 사용하였으며, 시험용액농도 조성을 위해, DMSO (Dimethylsulfoxide, Sigma-aldrich, USA)를 carrier solution으로 사용하여, 고농도의 stock solution을 제작한 뒤 0.45 μm membrane filter로 여과된 자연해수를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이때 시험생물에게 노출되는 DMSO의 최종 농도는 NOEC 값인 0.1% 이하로 노출되도록 조성하였다 (Manzo et al. 2006). 시험물질의 기본정보 및 종말점별 시 험농도는 Table 1과 같다.
4. 수정률 및 정상유생 발생률
수정률의 경우 6 well plate에 시험용액을 농도별로 10 mL씩 4반복으로 분주한 뒤, 시험용액당 1 μL의 정자를 분 주하여 노출시켰다. 30 min 동안 노출시킨 후, 정자가 주입 된 시험용액에 100~150개의 난자를 넣고, 10 min 뒤 수정 막의 형성 유·무로 수정률을 판단하였다.
정상유생 발생률의 경우 6 well plate에 시험용액을 농도 별로 10 mL씩 4반복으로 분주하였다. 시험용액당 수정란 은 mL당 10~15개씩 넣어주었다. 이 후 M. nudus는 20± 0.5°C로, H. pulcherrimus는 16±0.5°C로 형광등을 이용하여 100±10 μmol photons m2 s-1, 광주기 8 Light : 16 Dark하에 서 배양하였다. 측정시기는 M. nudus와 H. pulcherrimus가 인공수정 후 pluteus 유생으로 발달 되는 시기인 48 h, 64 h 에 각각 측정하여 정상유생 발생률을 측정하였다 (Hwang et al. 2014). 정상 유생발생은 4-armed pluteus stage 유생의 4개의 arm이 정상으로 발달하였는지의 유무로서 판단한 다. 시험방법의 경우, 해양환경공정시험기준의 해양생물 공정시험기준 제 25항, 성게를 이용한 해양생태독성 시험 방법에 의거하여 수행되었다 (Table 2).
5. 통계분석
대조군과 실험군의 유의성 검정은 SigmaPlot software (SigmaPlot 2001, SPSS Inc., USA)의 Student’s t-test로 비교 하였으며 p가 0.05 혹은 0.01 이하인 것을 유의한 것으로 판단하였다. 정상유생발생률에 대한 EC50와 95% 신뢰구 간 (95% Confidence Interval; 95% Cl)은 Toxicalc 프로그램 (Toxicalc 5.0, Tidepool scientific software, USA)의 probit 통 계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NOEC 및 LOEC는 Toxicalc 프로그램의 Dunnett’s test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1. Phenanthrene 노출에 따른 수정률의 변동
M. nudus와 H. pulcherrimus의 정자를 Phenanthrene 농 도 6.25, 12.5, 25, 50, 100 mg L-1과 3.125, 6.25, 12.5, 25, 50 mg L-1에 30 min 간 노출시킨 후, 각각 난자와 10 min 동안 수정한 결과를 관찰하였다 (Fig. 1A, B, E, F). Phenanthrene 에 노출된 M. nudus와 H. pulcherrimus의 수정률은 농도가 높아짐에 따라, 농도 의존적인 감소를 나타냈다. M. nudus 의 경우 대조구에서 수정률이 99±1.49%로 나타났으나, 최소농도인 6.25 mg L-1에서 88.00±5.36%로 수정률의 감 소가 관찰되었으며 (p<0.01),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해, 최 고 농도인 100 mg L-1에서는 3.00±1.49%로 감소하였다 (p<0.01) (Fig. 2A). H. pulcherrimus의 경우 대조구에서 는 수정률이 100%로 나타났으나, 12.5 mg L-1에서 78.33± 7.03%로 감소하였으며 (p<0.01), 50 mg L-1에서 수정률이 0%로 나타났다 (Fig. 2B).
2. Phenanthrene 노출에 따른 정상 배아발생률의 변동
M. nudus와 H. pulcherrimus의 정상 배아발생률에 미치 는 Phenanthrene의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각각 0.625, 1.25, 2.5, 5, 10, 20 mg L-1과 0.078, 0.156, 0.313, 0.625, 1.25, 2.5 mg L-1에 48 h과 64 h 동안 노출시킨 후, 정상 배아발생 결과를 관찰하여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Fig. 3). M. nudus의 경우, 대조구의 정상 배아발생률은 91.33±4.78%로 나타 났으나, 최소농도인 1.25 mg L-1에서 70±14.87%로 감소하 였다 (p<0.01). 정상 배아발생률은 Phenanthrene의 농도 가 높아질수록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여, 최고농도인 20 mg L-1에서는 8.00±7.87%로 정상유생을 거의 관찰할 수 없었다 (p<0.01) (Fig. 3A). H. pulcherrimus의 경우, 대조구 의 정상 배아발생률은 92.33±7.03%로 나타났으며, 0.078 mg L-1부터 농도의존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해, 최고농도인 2.5 mg L-1에서는 정상유생을 관찰할 수 없었다 (Fig. 3B).
3. 독성값
Phenanthrene이 M. nudus와 H. pulcherrimus의 수정률 과 정상 배아발생률에 미치는 독성 영향의 경우, Phenanthrene의 농도가 증가할수록 수정률과 정상 배아발생률 이 농도 의존적으로 감소하는 sigmoid 곡선 형태를 나타냈 다 (Fig. 4). 수정률의 EC50 값은 각각 17.48 mg L-1, 16.21 mg L-1이었으며, 정상 배아발생률은 2.99 mg L-1, 0.36 mg L-1 으로 나타나, 수정률과 정상 배아발생률 변동의 경우 정상 배아발생률이 더 민감한 지표인 것으로 나타났다.
M. nudus와 H. pulcherrimus의 수정률과 정상 배아발생률 에 대한 Phenanthrene의 영향을 독성값으로 나타내면, 수 정률에 대한 무영향농도 (NOEC)는 각각 <6.25 mg L-1와 6.25 mg L-1으로 나타났으며, 최소영향농도 (LOEC)는 각 각 6.25 mg L-1와 12.5 mg L-1으로 나타났다. 또한, 정상 배 아발생률에 대한 무영향농도는 0.63 mg L-1와 <0.08 mg L-1로 나타났으며, 최소영향농도는 1.25 mg L-1과 0.08 mg L-1로 나타났다 (Table 3).
고 찰
연안환경에서 성게는 암반에 부착하여 생육하는 저서 생물로서, 퇴적물과 해수의 영향을 동시에 받을 수 있는 생물이다. 일반적으로, 둥근성게 (M. nudus)는 조하대에 서, 말똥성게 (H. pulcherrimus)는 조간대에서 생육하는 무 척추동물로서, 생태학적으로 1차 소비자의 역할을 담당하 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Hwang et al. 2011). 본 연구에서는 Phenanthrene의 독성학적 영향의 규명을 위하여, 두 종 성 게의 초기생활사에 해당하는 수정률과 정상배아 발생률 을 이용하여 독성값을 조사하였다. 반수영향농도 (EC50) 를 기준으로 정상배아발생률은 수정률에 비하여 민감하 게 나타났으며, 이는 분화 정도가 진전된 pluteus 유생시기 가 독성이 증폭되어 표현되기 때문이다 (Hwang et al. 2008, 2009). 또한, H. pulcherrimus가 M. nudus보다 독성에 민감 하게 반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반적으로 같은 종 이라 할지라도 환경·생태학적인 특이성에 의하여 차이를 나타낼 수 있기에 (Yu 1998), 직접적인 이유를 확인하기 어 렵다. 하지만, 두 성게종의 초기배아단계의 생육 적정수온 의 경우, H. pulcherrimus는 16°C이며, M. nudus는 20°C로 차 이가 존재하고, 수정란에서 pluteus 유생으로 발달하는 데 필요한 시간도 각 64 h, 48 h로 차이가 존재한다. 두 생물 간 의 민감도 차이는, 이러한 생리·생태학적 특징을 기반으로 작성된 시험법의 차이에서 기인하는 것으로 사료된다.
성게와 연안에 서식하는 생물 종의 독성 민감성을 비교 하기 위하여, US-EPA의 ECOTOX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생물종의 EC50값을 비교해 본 결과, 녹조류, 규조류, 해산 로티퍼, 풍년새우, 다모류, 이매패류, 어류 (S. capricornutum, S. costatum, N. palea, B. plicatilis, A. salina, N. arenaceodentata, M. galloprovincialis, C. variegatus)를 포함한 7종에게 미치 는 Phenanthrene의 EC50값은 0.05~136.13 mg L-1으로 나 타난 바 있다. 연안환경에서 다양한 생태적 지위를 가진 생물 종과의 비교를 통해서, M. nudus (2.99 mg L-1)와 H. pulcherrimus (0.36 mg L-1)의 배아발생률 시험은 비교적 민 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H. pulcherrimus의 배아 발생 률 시험은 M. galloprovincialis를 제외한 모든 시험보다 민 감한 것으로 나타나, Phenanthrene의 생태학적 영향을 구 명하기 위한 시험생물로 적합한 것으로 판단된다.
Pherenthrene의 독성은 생물 체내 지질함량과 Phenanthrene의 Kow (분배계수)에 의존적이며, 지질 내에 축적 된 Phenanthrene의 농도가 임계값 (threshold) 이상이 되면 사망 등의 영향이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Phenanthrene의 영향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은 생물 체내 지질 함량도 원인이 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Di Toro et al. 2000;Sung et al. 2014). 다양한 QSAR 예측모델 중, Di Toro et al. (2000)이 제안한 TLM (Target Lipid Model)을 따르면, Phenanthrene이 생물체에 미치는 독성영향은 생물의 종류 와 상관없이 지질함량과 Phenanthrene의 Kow값에 의존적 이며, 이때 지질 내에 축적된 Phenanthrene의 농도가 임계 값 (threshold) 이상이 되면 사망 등의 영향이 나타나는 것 으로 알려져 있다. 연안에서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 종의 EC50값을 비교해보면 (Table 3), 독성영향의 정도가 다양하 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이며, 일부 생물의 경우 체내 지질 양이 지나치게 낮아, 생물체 내 해당 물질의 영향이 반영 되기 힘들어 생긴 현상이라 사료된다 (Veith et al. 1983;Di Toro et al. 2000;Sung et al. 2014). 하지만, H. pulcherrimus와 M. nudus의 정상 배아발생률시험은 Phenanthrene에 노출 되었을 때, 다른생물종과 비교해 민감하게 반응하여, 조간 대와 조하대를 포함하는 연안환경내에서 유해물질의 환 경영향을 평가하는 시험생물로 이용가치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일반적으로, Phenanthrene은 미국환경보호청 (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US-EPA)에서 선정한 16개 의 우선관리 PAH를 대상으로 하는 Σ16PAHs 중점적으로 조사되어있다. 하지만, 연안환경 인근에 주로 위치하고 있 는 화력발전소 및 석유제품에서 발생되는 PAHs는, 주로 1~3환 (탄소고리)의 LPAHs이며 (Budzinski et al. 1997;Wu et al. 2003), 실제로 우리나라 울산연안 하천에서 총 PAHs 대비 LPAHs는 갈수기에는 72.5~93.8% (평균 86.3%), 강 수기에는 70.9~91.9% (평균 86.7%)를 차지한다는 보고 도 있다 (You et al. 2012). 또한, 프랑스, 포르투갈 연안역 퇴 적물 내 PAHs 농도는, LPAHs, 특히 Phenanthrene의 농도 가 가장 높게 나타난 바 있다 ( Jung et al. 2004; Cachot et al. 2006;Serafim et al. 2013). 이에 16개의 우선관리 PAHs 중 에서도 환경 내 Phenanthrene의 영향이 가장 우려되는 상 황이다. 국내의 경우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퇴적물과 표 층해수 내 Phenanthrene의 농도분포가 조사되어 왔으며, 퇴적물의 경우 부산 광안리 해변에서 0.02~0.06 mg kg-1, 광양만 유역 21개지점 지점에서 0.01~0.68 mg kg-1 (평균 0.12 mg kg-1)으로 보고된 바 있다 (Chung et al. 2004;Lee 2018). 또한, 해수의 경우 국내 목포연안의 표층해수 내에 Phenanthrene의 농도가 2.31~5.92 ng L-1로 보고된 바 있 다 (Moon et al. 2007). 일부 조사지점의 Phenanthrene 농도 는, 본 연구결과에서 제시된 H. pulcherrimus의 정상 배아발 생률의 LOEC값 (0.078 mg L-1)보다 높게 나타나, 환경 내 에서 초기발생단계에서 영향을 받을 우려가 있다. 또한, 퇴 적물 환경 내에서 Phenanthrene 분자의 반감기는 최대 126 일로 알려져 있어, 연안역 퇴적물에 침적될 경우 저서생물 을 비롯한 다양한 생물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 다 (Karcher 1988; Kanaly and Harayama 2000;Johnsen et al. 2005;Haritash and Kaushik 2009).
Phenanthrene과 같은 유해물질에 대한 생태학적 영향 은 생물종, 노출기간, 수온 등을 포함하는 시험법의 차이로 영향 정도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지만, 두 종 성게를 이 용하는 시험법은 이들 물질의 생태학적 영향을 평가하기 에 적절한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서, 얻어진 NOEC, LOEC 및 EC50의 독성값은 Phenanthrene을 포함 한 PAHs의 환경 기준농도를 설정하기 위한 유용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것으로 사료된다.
적 요
본 연구에서는 다환방향족탄화수소 (PAHs) 중, phenanthrene이 둥근성게 (Mesocentrotus nudus)와 말똥성게 (Hemicentrotus pulcherrimus)의 수정률과 정상유생 발생률에 미치 는 독성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H. pulcherrimus와 M. nudus의 모체에서 각각 획득한 정자와, 인공수정을 통하여 획득된 수정란을 phenanthrene에 노출시킨 후, 수정률과 정상배아 발생률을 측정하였다. 시험결과, H. pulcherrimus 와 M. nudus의 수정률과 정상배아 발생률은, 농도 의존적 으로 감소하였으며, H. pulcherrimus와 M. nudus의 수정률에 대한 EC50값은 17.48 mg L-1과 16.21 mg L-1이었고, 정상배 아 발생률의 EC50값은 각각 2.99 mg L-1과 0.36 mg L-1인 것 으로 나타났다. 연구결과, H. pulcherrimus는 M. nudus보다 phenanthrene 노출에 대하여 더 민감하게 반응하는 것으 로 나타났으며, 정상배아 발생률은 수정률에 비하여 더 민 감한 종말점인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phenanthrene은 두 종의 성게 정자의 수정과 초기발달 단계를 포함한, 연 안에 서식하는 다양한 생물종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 여진다. 그중, 두 종의 성게는 다른 연안 서식 생물 종들에 비하여, Phenanthrene의 bio-monitoring을 위한 민감한 생 물종일 수 있다고 사료된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하여 도출 된 결과와 독성값 (NOEC, LOEC 및 EC50)은 Phenanthrene 을 포함한 PAHs의 환경 기준농도 설정을 위한 유용한 기 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