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인공생태계 연구는 해양, 대기, 육지와 같은 대규모 환 경의 심각한 시공간적 변화 및 생태계 현장의 다양한 이 벤트 영향 예측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서 인 위적으로 조절된 환경을 조성하여 정량화된 자료를 수 집하고 평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siaras et al. 2017;Passarelli et al. 2018;Pansch and Hiebenthal 2019). 이와 같 은 연구 tool로서 mosocosm을 활용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는데, mecosom 연구는 생태계 가설검증, 화학적 교란 에 따른 생태 반응 연구 및 수중생태계에 수온상승, 이산 화탄소 농도 증가 등 다양한 환경조건에 노출된 수중생태 계에서의 지화학적 반응, 수치모델을 통한 생태계 구성요 소 사이의 상호 반응을 검증하기 위한 연구 등 생물 분야 뿐만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서 수행되었다 (Andersson et al. 2015;Falkenberg et al. 2016;Bellworthy and Fine 2018;Louvado et al. 2019). 국내에서는 초창기에 생태계 하위 단 계인 동·식물플랑크톤, 담수생태계를 대상으로 이루어졌 으나 최근에는 연구 대상 및 적용범위가 광범위해져 생 태계 건강 평가, 물질순환, 조간대 및 갯벌을 대상으로 한 연구, 지구온난화 관련 연구가 수행된 바 있다 (Sim et al. 2013;Ryu and Lee 2018;Kim et al. 2018;Lee et al. 2018). 그 러나 mesocosm 활용 연구는 대부분 좁은 공간 또는 규모 의 제한성 때문에 실험초기 안정화 단계부터 다양한 요 인이 변동하는 현장 상황을 재현하는데 한계가 있어 재 현성 (replicability), 반복성 (repeatability) 및 생태적 현실 성 (ecological realism) 사이의 적절한 균형을 반영할 수 있 는 합리적인 실험방법 개발의 필요성이 요구되고 있다 (Kraufvelin 1999;Harris et al. 2007;Stewart et al. 2013). 또 한 대부분의 현장에서 수행된 mesocosm 연구는 실험그 룹 간 물리-화학적, 생태학적 조건의 균질성을 고려하지 않았는데, 현장에서의 인공생태계 연구를 고려할 때 실험 환경의 복잡성을 고려하여 이를 해결할 수 있는 실험전략 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 (Sharma et al. 2021). 특히 육상 생태계의 경우, 옥외 또는 실험실 환경에서 다양한 형태의 mesocosm 연구가 수행되고 있는 반면 해양생태계를 대상 으로 한 연구는 대부분 현장 실험을 수행하고 있어 실험 조건의 균질화가 어려운 상황이다. 이에 해양생태계를 대 상으로 한 mesocosm 연구는 생태계의 불확실성 및 변동 성을 고려한 연구 목적 및 측정요소 (endpoint)를 명확하 게 규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부유생물이나 저서생물 군집 변화 등과 같이 연구목적이 맞게 측정요소를 한정시킨 경 우 mesocosm 연구는 육상 기반의 폐쇄된 해양 mesocosm 시스템 도입하여 실험환경의 균질성 유지 및 노출 전과 후 영향 유무를 명확하게 판단할 필요가 있다 (Cappello and Yakimov 2010). 따라서 육상 기반 폐쇄형 해양 mesocosm 실험의 재현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실험규모, 시공간적 변 동성, 실험 그룹에서 허용 가능한 통계적 오류의 범위를 감안한 인공생태계 내에서의 실제 반응 범위를 반영할 필 요가 있다 (Carpenter 1996;Raygosa-Barahona et al. 2019).
인공생태계의 개념이 도입된 후, 생태계 군집구조, 생물 의 성장 및 외부 스트레스에 노출된 생물 반응 등을 대상 으로 한 mesocosm 연구는 ANOVA 분석기법을 기반으로 하여 실험의 통계적 유효성 (effectiveness)을 검증한 후 영 향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되었다 (Duggan et al. 2018). 또한 변동계수 (coefficient of variation; CV)는 실 험의 재현성 (또는 안정성)을 객관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제안되어 왔다 (Lehtinen et al. 1998). 특히 인 공생태계 내 다양한 이화학적, 생물학적 환경요인은 항목 별 반응특성의 차이로 인해 균질한 상태로 유지되기가 어 렵기 때문에 CV 산출을 통한 변동성 분석은 다양한 실험 그룹 간의 초기 안정화 과정에서 환경스트레스 노출 시 행 동, 대사활동 및 급성 독성 영향 평가를 실시함에 있어 노 출 전과 후 생물의 영향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자료의 신 뢰성 (credibility) 또는 유용성 (usefulness of result)을 판단 에 중요한 비교 기준이 될 수 있다 (Watts and Bigg 2001;Sanchís et al. 2018). 따라서 인공생태계 실험에 있어서 객 관적인 분석을 통한 실험초기 안정화 또는 균질성을 유지 할 수 있는 판단 기법 및 기준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생물학적, 비생물학적 요인을 대상 으로 한 해양생태계 위해성 영향 평가 시 실험초기 자료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객관적인 평가 tool을 제시하고자 하 였다. 인공생태계 실험은 4종류의 육상 기반 해양 폐쇄형 인공생태계를 제작하여 반복 실험을 실시하였으며, 실험 그룹 간의 CV 값 변동패턴을 분석함으로써 노출 전 초기 실험결과가 현장 생태계를 반영할 수 있는지에 여부를 판 단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육상 기반 해양 폐쇄형 인공생태계 설계
본 연구는 실험실 주변 육상 부지에 10 m×50 m×20 m 규모의 비닐하우스 온실을 만들고 인위적으로 제작한 실 험수조를 넣고 실시하였다. 육상 기반 해양 폐쇄형 인공생 태계 (land-based marine closed mesocosm; LMCM)는 총 4 개 부피로 구분하여 200, 400, 600, 1,000 L를 제작하였는 데, 불투명한 원통형 폴리에틸렌 수조 상부를 절단하여 각 각의 그룹별로 4개의 수조를 제작하였으며, 조도는 상부 에서만 영향을 받을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2. 육상 기반 해양 폐쇄형 인공생태계 활용 실험방법
LMCM 연구는 mesocosm을 육상에 설치한 후 총 11주 동안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작한 LMCM은 총 16개 이며, 200, 400, 600, 1,000 L 부피의 LMCM 그룹별로 4개 의 반복 실험구를 설치하여 동일 그룹 및 각각의 그룹별 실험자료를 바탕으로 CV 값을 산출하여 실험기간 동안 발 생한 실험항목별 변동 패턴을 비교 분석하였다. LMCM 실 험은 mesocosm 내부에 서해안 강화 갯벌에서 직접 채취한 15 cm 해양퇴적물을 바닥에 이식하고, 상부에는 현장 퇴적 물 채취 정점에서 직접 채수한 천연 해수를 5 μm 망목 필 터로 여과하여 각각의 LMCM에 채운 후 실시하였다 (Fig. 1). 해수는 PVC 파이프 프레임으로 제작된 회전식 시스템 을 사용하여 1시간마다 혼합하면서 내부의 해수를 주기적 으로 혼합시켰다. 실험기간 동안 각각의 LMCM 내 수온은 20.0~31.0°C 범위를 유지하였으며, 염분은 23.0~31.0 psu, 조도는 인위적으로 제어하지 않고 자연 조도를 유지하였 다. LMCM 안에서 자연적인 변화를 관찰하기 위해 내부 에 영양염류, 수질조절, 추가 퇴적물 투입 및 생물학적 요 소들은 임의적으로 주입하거나 조절하지 않았다. 해수 시 료는 수질과 플랑크톤 군집구조를 분석하기 위해 일주일 에 한 번 채취하였다. 실험기간 동안 해수 시료 (동·식물플 랑크톤 포함)는 오전 10시 (±1시간)에 채수하였으며, 동 시에 각각의 실험구 내 수온, 염분, pH, 용존산소 (DO)와 같은 주요 수질 매개 변수를 측정하였다. 또한 해수의 암 모늄, 아질산염, 질산염과 화학적 산소 요구량 (COD) 등의 추가 항목은 해양환경표준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하였다 (MLTM 2008).
식물플랑크톤은 실험기간 동안 총 3회 채집하였는데, 시 료는 해수를 500 mL 채수한 후 50 μm 망목 크기의 네트로 제작한 소형 채집기구를 사용하여 여과하였으며, 즉시 로 즈 벵골 용액으로 염색한 후 분석 전까지 보관하였다. 식 물플랑크톤은 주요 분류군으로 계수하였으며 세포 수는 cells L-1 단위로 표준화하였다. 동물플랑크톤은 250 μm 망 목 크기 네트 (입구 0.32 m2)를 제작하여 실험구에서 2~3 m 거리로 움직이며 해수를 여과한 후 채집하였으며, 1시 간 이내에 현장에서 직접 주요 분류군으로 분류 및 계수하 였다. 동물플랑크톤 시료는 inds. m-3로 단위를 표준화하였 으며, 현장 계수 후 본래의 LMCM에 다시 투입하였다.
3. 자료분석
실험기간 동안 생산된 각각의 실험항목은 평균으로 표 준편차 (SD)를 나눈 CV 값으로 환산하여 % 단위로 환산 하였으며, 실험초기 LMCM 그룹 간 실험자료의 반복성 및 재현성 구현 여부를 분석하였다. CV는 각각의 LMCM 부 피마다 설치된 4개의 반복구에서 측정된 값으로 계산하였 다. 또한 실험기간 동안 각각의 LMCM 실험그룹별 측정요 소의 변동 패턴은 일원분산분석 (one-way ANOVA)을 실 시하여 비교하였다.
결 과
실험기간 중 LMCM 그룹의 환경요인과 동물성 플랑크 톤의 평균값은 Table 1과 2에 수록하였다. 실험결과 각 실 험그룹의 평균 수온, 염분 pH, DO, COD 등의 환경 요인 은 ±2.0 범위로 큰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실험 기간 중 측정된 값의 범위는 각각의 측정항목별로 다소 차이를 보였는데, 수온과 염분의 경우, LMCM 규모가 큰 600 L와 1,000 L 실험그룹에서 최대-최소 수온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용존산소는 400 L 그룹에서 측정 값의 편차가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해수의 COD 농도 는 200 L와 1,000 L 실험그룹에서 각각 1.20~7.20 mg L-1와 1.60~9.55 mg L-1로 실험기간 동안 측정값 변동이 큰 것으 로 나타났다. 실험기간 동안 chlorophyll-a는 200 L 그룹에 서 1.51~4.69 μg L-1, 1,000 L 그룹에서 0.34~8.09 μg L-1로 비교적 큰 농도 차이를 보였다 (Table 1).
본 연구에서 영양염류는 암모니아성 질소, 질산성 질소 및 아질산성 질소의 경우 평균 값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그러나 인산염 인의 평균 농도는 실험그룹에 따라 다소 차 이를 보였는데, 200 L 그룹에서 2.11±1.09 μM로 가장 낮 았으며, 600 L 그룹에서 10.02±2.25 μM로 가장 높았다. 식 물플랑크톤 현존량은 400 L 실험그룹에서 586±1073 cells L-1로 가장 많았으며 600 L와 1,000 L 그룹에서 낮은 값이 분석되었다. 동물플랑크톤 개체수는 600 L와 1,000 L 그 룹에서 각각 124±115 inds. m-3과 95±965 inds. m-3으로 많았으며, 200 L와 400 L 그룹에서는 개체수가 적은 것으 로 분석되었다. 실험항목별 측정값은 질산성 질소의 경우 1,000 L 그룹에서 비교적 큰 차이를 보였으며, 식물플랑크 톤은 200 L와 600 L 실험그룹에서 측정값의 범위가 넓었으 며, 동물플랑크톤은 LMCM 규모가 큰 600 L와 1,000 L에 서 범위 차이가 큰 것으로 조사되어 평균값의 비교 자료와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Table 2).
본 연구에서 수온, 염분, pH, DO, COD 등의 환경요인 을 제외한 영양염류, chlorophyll-a 및 동물플랑크톤의 CV 값은 대부분 LMCM의 크기와 상관없이 타 측정요소보 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각각의 LMCM 그룹에 서 영양염류, chlorophyll-a와 동물플랑크톤 개체수의 CV 진폭은 시계열에 따라 증감을 반복하며 뚜렷한 변동 패 턴을 보였는데, 동물플랑크톤 개체수의 최대 정점 (peak) 은 chlorophyll-a의 정점이 나타난 후 다음 시료 채집시기 (1주 정도)에 지연되어 관찰되었다 (Fig. 2). 이와 유사하 게 식물플랑크톤 현존량의 CV 값은 모든 LMCM 그룹에 서 시료채집 빈도에 따라 chlorophyll-a의 농도와 유사한 변동 패턴을 보였다 (unpublished data). 영양염류의 CV 값 은 측정항목별로 다소 구분이 되었는데, 암모니아성 질소, 아질산성 질소 및 인산염 인의 CV 값은 실험시간이 경과 함에 따라 동물플랑크톤의 CV 진폭 변화와 유사하게 진 행되었으며, 질산성 질소는 COD와 더불어 실험기간 동안 chlorophyll-a과 유사한 변동 패턴을 보였다.
본 연구에서 수온, 염분, pH, DO와 같은 비생물학적 환 경요인의 CV 값은 30%를 초과하지 않았으며 LMCM 실 험그룹 사이에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유기물질 의 변동 특성에 큰 영향을 받는 chlorophyll-a, 질산염, 인산 염, 식물플랑크톤 및 동물플랑크톤 측정값의 CV 값은 대 부분의 LMCM 그룹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값이 산출되 었다. 특히 COD, chlorophyll-a 농도, 암모니아성 질소, 인 산염, 동·식물플랑크톤 생물량과 같이 생물의 생태와 직 접적으로 관련이 있는 요인은 실험그룹별로 뚜렷한 변화 를 보여 LMCM의 규모가 클수록 CV의 변동폭이 큰 것 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식물플랑크톤과 동물플랑크톤의 CV 값은 LMCM 그룹 내에서 타 실험요인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는데, 두 분류군의 CV 범위는 각각 121.9~141.9%와 71.8~100.2%로 높게 산출되었다. 본 연 구기간 중 동일한 크기의 LMCM 그룹에서 산출된 CV 값 은 식물플랑크톤>동물플랑크톤>chlorophyll-a>영양염 류>COD>DO>염분>pH>수온의 순서대로 감소하였 다 (Fig. 3).
통계분석 결과, 수질항목과 플랑크톤 생물량 차이는 LMCM의 규모가 클수록 변동폭이 큰 것으로 분석되었는 데, ANOVA 분석에 따르면, 대부분 LMCM 규모가 큰 그룹 의 CV 값 변화는 COD, chlorophyll-a, 인산염 및 동물플랑 크톤 분석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p<0.05). 그러나 타 실험요인은 LMCM 그룹 간에 뚜렷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0.05).
고 찰
인공생태계 실험은 다양한 환경스트레스 노출에 따른 생태-생리학적 영향을 신속하게 예측하여 정량화된 증거 를 제공할 수 있으나 현실적으로 시스템의 재현 정도, 피 해 영향의 규모, 허용 가능한 통계 오차 범위에 따른 현실 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Carpenter 1996;Raygosa- Barahona et al. 2019). 특히 노출 전과 후 영향 평가는 초 기 실험조건의 통계적 편차를 최소로 유지할 필요가 있 으나 이를 해결하기에는 환경조건의 균질화, 현장 생태 환경의 재현, 평가의 표준화 등 다양한 어려움이 존재한 다. 일부 연구자들은 통계적 편차를 줄이기 위해 AVOVA 분석과 CV 값을 이용하여 반복 실험구 사이의 변동성 을 최소화하고 노출 전과 후 평가를 효율적으로 분석하 고자 하였다 (Lehtinen et al. 1998;Duggan et al. 2018). 예 를 들어 Giddings and Eddlemon (1979)은 실험초기 CV 값은 거의 30%를 초과하지 않았으며, 심지어 20~30% 범 위가 microcosm의 초기 안정된 환경변수 (규모)로 판단 하기에 적합한 “정상적인” CV 범위라고 제안하였다. 반 면 Kraufvelin (1998)는 인공생태시스템 내에서 노출 전 macrofauna 서식밀도와 생물량 자료를 통해 평균 CV 값을 산출한 결과 15.4~115.8%로 분석 값의 변화가 큰 것으로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인공생태계 내 각각의 환경요인들 이 다양하게 변하는 이유는 실험초기 환경변수를 최대한 균질화시켰을지라도 비생물학적 요인과 생물학적 요인들 사이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인자가 존재하는 것으로 해 석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 각각의 실험그룹 내 초기 안정성 유지는 수온, 염분 등 일부 환경요인은 LMCM 규모가 거대할수 록 변동폭이 큰 것으로 나타나 타 실험요소에 중요한 영 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실험초기에 환경조 건을 통제하고, 격리시키기 위한 시도가 적었기 때문에 발 생하는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일부 비 생물학적 요인은 LMCM 규모와 상관없이 측정값의 변동폭이 크지 않은 것 으로 분석되었는데, 일반적으로 낮은 CV 값은 DO, 질산염, 아질산염, 인산염, 용존 유기탄소, 다양한 화합물의 농도, 전도도 및 pH와 같이 변동성이 낮은 환경요인에서 산출 된다고 보고된 바 있다 (Giesy and Allred 1985;Lehtinen et al. 1998). 이와 같은 현상은 본 연구결과에서도 유사하게 분석되었는데, 실험초기 CV 값은 LMCM 규모와 상관없 이 용존산소, 질산염, 아질산염, 인산염, 염분 및 pH와 같은 변동성이 적은 비생물학적 요인에서 타 연구자의 실험결 과와 유사하게 30%를 초과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반면 규모가 다른 각각의 LMCM 그룹에서 생물학적 요인과 관계된 chlorophyll-a, 플랑크톤 생물량 등의 CV 비 율은 규모가 큰 실험그룹일수록 타 환경요인보다 훨씬 높 게 산출되어 타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특히 본 연 구에서 동물과 식물플랑크톤 생물량 자료로부터 계산된 CV 값은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600 L, 1,000 L LMCM 그 룹에서 각각 121.9~141.9%와 71.8~100.2% 범위로 높게 산출되어 Kraufvelin (1999)의 결과한 유사한 경향을 보였 는데, 이러한 결과는 mesocosm의 규모가 클수록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생물 상호 간의 먹이구조, patch 형성, 생물 의 번식생태의 차이로 인해 적절한 생물량 유지가 불가능 한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결과에서는 실 험초기 대상생물의 생물량을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는 source가 무제한 공급되거나 생태독성평가와 같이 한정된 개체수를 대상으로 극단적인 연구를 수행하지 않은 한 규 모가 큰 인공생태계를 활용한 연구에서는 효과적인 생물 량 제어는 불가능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본 연구기간 동안 생물학적 분석항목 중 측정값의 진폭 차이가 큰 실험구은 주로 600 L와 1,000 L 부피의 규모가 큰 LMCM 그룹으로 조사되었는데, 대부분 chlorophyll-a, 동물과 식물플랑크톤과 같이 생물학적 요인에서 높은 CV 값이 산출되었다. Kraufvelin (1998)은 mesocosm 실험에 적합한 변수의 CV 범위는 적어도 20~30% 이하로 유지 시킬 것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이 적절한 CV 값이 유지되 는 실험변수는 통계적으로 유의성 여부를 판단하는데 중 요하게 작용하여 대조군 그룹과 처리군 그룹 사이의 진폭 차이를 감소시킨다. 여러 연구자들은 측정변수 (endpoint) 의 변동성을 알 수 있거나 추정할 수 있으면 최적의 실험 그룹 (반복구의 규모와 수)을 결정할 수 있다고 제안하였 다 (Schindler 1998;Šorf et al. 2013;Sharma et al. 2021). 한 편 현장 생태계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event는 mesocosm 의 규모가 클수록 생태계 재현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나 실험환경을 제어하는 경우에는 생태계의 재현성이 감소 할 수 있음을 보고하였는데, 대규모 mesocosm 실험 시 초 기 다양한 실험요소들의 안정화 단계에서는 개별 실험변 수의 변동 프로세스에 대한 자료가 적고, 실험 인자에 영 향을 주는 원인과 결과를 명확하게 구분하기 어려우며, 생 물군의 밀도를 정확하게 정의할 수 없어 결국 실험결과를 해석하기 어렵게 만든다 (Crossland and La Point 1992). 따 라서 본 연구에서 안정화 단계의 생물학적 변수는 규모가 큰 LMCM와 실험그룹에 가입된 생물의 생태-생리 활동의 복잡성을 감안할 때, 일부 수질과 영양염 항목을 제외하면 초기 생물학적 변수의 변동비율을 20~30% 범위로 조절하 고 유지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것으로 판단된다.
ANOVA 분석에 따르면, 실험구의 규모가 다른 LMCM 실험그룹 간 CV 값은 COD, chlorophyll-a, 인산염 및 동물 플랑크톤 등 생물 활동과 관련된 분석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p<0.05). 또한 비교적 규모가 큰 LMCM 그룹의 chlorophyll-a와 동물플랑크톤 생물량 변화는 시 간이 경과함에 따라 뚜렷하게 관찰되었으며, 동물플랑크 톤 생물량의 최대 밀도는 chlorophyll-a 변화시기보다 1 주 정도 늦게 나타났다. 이와 같은 chlorophyll-a (또는 식 물플랑크톤)와 동물플랑크톤 생물량의 정점 (peak) 간 차 이는 해양생태계에서 생산자와 1차 소비자 (특히 유생 단 계)의 생활사에서 관찰되는 전형적인 먹이의 수요-공급 시스템 중 하나인 것으로 해석된다 (Sommer et al. 2007). 이에 일부 연구자들은 대규모의 폐쇄된 수중 시스템일지 라도 질산염과 인산염 등 일부 비생물학적 요인은 CV 값 의 관리를 통해서 각 구성 요소의 역할을 구분하고, 폐쇄 된 순환시스템 관리자의 연구 지침변경 및 실험의 영향을 예측하는데 효과적이라고 제안하였다 (Parent and Morin 2000;Trépanieret et al. 2002). 본 연구에서 LMCM 그룹 의 chlorophyll-a와 동물플랑크톤 군집 변화는 실험초기 부터 인위적으로 영양염류를 공급하지 않았기 때문에 실 험과정에서 실험요소의 변화에 대한 명확한 원인을 증명 할 수 없었다. 그러나 chlorophyll-a의 주기적인 CV 변화는 LMCM 규모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일지라도 저층 퇴적물 에서 공급되는 영양분이 chlorophyll-a 변동의 주요 원인일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LMCM 활용 연구에 있어 초기 실험환경의 안정성 유지를 위한 조건은 정기적인 해수 수 질 관리 (퇴적물 포함)와 식물플랑크톤의 1차 생산력을 유 지시키기 위한 영양염류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되었 다.
Mesocosm의 규모에 따라 차이를 보이겠지만 생물학 적 요인들의 CV 값의 진폭 차이는 노출된 스트레스 강도 와 함께 두 가지 유형의 반응을 보일 수 있다 (Fig. 4). 첫 번 째, 안정된 환경에서 서식하는 생물은 일시적으로 상승된 스트레스 요인에 노출되었을 때 행동이나 대사활동을 최 소화하여 스트레스에 적응하기 위한 전략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반응은 결국 CV 진폭 차이를 낮추는 결과를 보일 수 있다 (Pagés et al. 2010;Sanchís et al. 2018). 두 번째, 내성 한계보다 높은 위해성 스트레스에 노출된 생물은 분류군 에 따라 다소 차이를 보이나 서식처를 회피하는 행동을 보 이거나 급성 반응으로써 사망에 도달하는 반응을 보인다 (Yoon 2021). 이와 같은 반응은 결국 CV 진폭 차이를 높이 는 결과로 나타날 것이다. 그러나 자연 환경에서 해양생물 (특히 부유생활을 하는 종)의 적응 차이는 개체 또는 분류 군의 내에서도 다양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LMCM 실험초 기 안정화 단계에서 생물의 번식, 행동 및 대사활동에 대 한 객관적인 정보를 확보하여 노출 전과 후 생태-생리적 변동 패턴을 예측할 필요가 있다.
지금까지 인공생태계 연구의 실험변수는 대부분 화학 적 변수에 의한 영향이 반영되어왔으며, mesocosm 규모와 생물학적 요소의 상관성을 고려한 중요한 변수는 거의 도 입된 바 없다. 그러나 생물학적 변수에는 이러한 실험 시 스템과 살아있는 생물이 모델인 자연 시스템의 기능을 제 어하는데 충분한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일반적으로 생 물학적 변수는 변동성이 높으므로 생태계 영향을 감지하 는데 예상되는 다양한 문제점은 실험초기에 집중적으로 제어할 필요가 있다 (Pratt and Browers 1992;Yoon and Park 2012). 또한 실험초기 생태계 재현성 및 반복성을 최적으 로 구현하기 위해서는 인공생태계의 규모가 생태계를 정 확하게 반영하는지 여부가 포함되지만 현실적으로 반영 하기에는 미흡하였다 (De Lafontaine and Legget 1987).
일부 연구자들은 mesocosm의 과학적 활용을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재현성, 반복성, 생태학적 현실성이 구비되어 야 함을 언급하였다 (Stewart et al. 2013;Sanchís et al. 2018). 또한 mesocosm 연구는 실험그룹의 규모, 퇴적물과 해수의 조성, 광량, 난류, 물 교환, 포식자 등 다양한 기술적인 문제 가 해결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는데, 현실적으로 100% 자연 을 재현할 수 없으나 연구목적에 부합할 수 있는 규모의 시스템을 구성하도록 제안하였다 (Yang and Jeong 2011). 본 연구에서 생물학적 요인의 불안정한 변동 패턴은 주 로 600 L와 1,000 L의 규모가 큰 LMCM 그룹에서 관찰되 었다. 이러한 패턴의 주요 요인은 규모 (또는 부피)가 큰 mesocosm 내에서 가입 생물 군집 간의 초기 변동성, 실험 설계 및 실행의 오류, 우연한 사건 또는 실험 시스템의 비 정상적인 운영 방법으로 구분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CV 산출 값을 이용해 인공생태계 실험에서 초기 발생하 는 다양한 변수들의 적절성 및 변동성을 평가하고 이를 제 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나 LMCM 규모의 차이로 인해 대부분의 생물학적 요인들은 실험초기부터 그룹 간 변동폭이 크게 나타난 관계로 뚜렷한 결론에 도달 하지 못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실험그룹의 규모가 상 이할 경우 위의 3가지 기본사항 (재현성, 반복성, 생태학적 현실성)을 적용한 영향 평가는 불가능한 것으로 생각된 다. 그러나 동일한 규모의 인공생태계 시스템을 활용하여 연구목적에 적합하게 제한된 측정요소 (endpoint)를 반영 할 경우, 해양생태계 위해성 평가는 생태학적 현실성을 재 현하지 못할지라도 실험초기 균질화된 생물/비생물학적 요인을 제어가 가능하며, 반복 실험그룹 내에서 생산된 실 험자료의 안정성 확보를 통한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질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적으로 과학적인 도구로써 인공생태계 실험은 생물학적 요인과 비생물학적 요인을 구분하여 명확한 endpoint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연구목적 수립, 안정된 실 험조건을 유지시킬 수 있는 source의 공급 또는 제어가능 한 인공생태계의 규모와 반복 실험그룹의 수, 실험항목 선 정 및 실험의 안정성을 객관적으로 해석하기 위한 표준화 된 분석 기법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 향후 인 공생태계 연구에서 실험초기 생물학적 변수의 적절성을 유지하면서 해양환경 및 생물군집의 영향 평가를 위해서 는 본 주제에 대한 더 많은 토론과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적 요
본 연구에서는 해양생태계 위해성 평가 시 생물학적, 비 생물학적 요인에 대한 인공생태계 실험의 초기 안정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기 위해 육상 기반 해양 폐쇄형 메조코 즘 (LMCM) 실험을 수행하였다. 변동계수 (CV)의 진폭 변 화는 실험의 안정성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 서 LMCM 그룹 (200, 400, 600, 1,000 L) 내 비생물학적 실 험변수에 대한 CV 값은 20~30% 범위로 유지되었다. 그러 나 엽록소-a, 식물플랑크톤 및 동물플랑크톤과 같은 생물 학적 요인의 CV 진폭 파이는 600 L와 1,000 L LMCM 그룹 에서 높게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실험 초기에 생 물학적 변수에 대한 제어가 부족하여 발생한 것으로 해석 된다. 또한 ANOVA 분석에 따르면, LMCM 그룹 간 CV 값 은 생물학적 요인과 연관된 실험변수들에서 유의한 차이 를 보였다 (p<0.05). 본 연구에서 생물학적 변수의 안정 화는 LMCM 그룹의 크기와 그룹 내 생물의 생태-생리학 적 활동의 복잡성을 감안할 때 수질 및 영양염 성분을 제 외하면 실험 초기 생물학적 변수의 변동성을 제어하고 유 지할 필요가 있으나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많았다. 결 론적으로 해양에서 과학적 도구로써 인공생태계 실험은 생물학적, 비생물학적 요인을 구분하여 명확한 측정요소 (endpoint)를 비교 분석할 수 있는 연구목적 수립, 실험조 건의 안정성 유지 및 실험결과를 객관적으로 해석할 수 있 는 표준화된 분석 기법의 도입이 필요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