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 론
열대거세미나방 [Spodoptera frugiperda ( J.E. Smith, 1797)] 은 옥수수를 포함하여 여러 농작물에 심각한 피해를 주 는 해충으로, 42과 186종의 식물을 가해할 정도로 기주범 위가 매우 넓은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Casmuz et al. 2010). 열대거세미나방은 미주 대륙이 원산지이며, 나비목 (Lepidoptera) 밤나방과 (Noctuidae) 흰무늬밤나방아과 (Amphipyrinae) 에 속한다. 특히, 이동성 (migratory behavior)이 강 한 해충으로 알려져 있다 (Sparks 1979;Johnson 1987).
열대거세미나방 성충은 봄에서 가을까지 미국 텍사스와 플로리다에서 북쪽으로 캐나다 퀘벡과 온타리오까지 1,700 km를 이동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Mitchell et al. 1991;Westbrook et al. 2016). 열대거세미나방의 발생이 서아프리 카 나이지리아에서 2016년 처음 확인된 이후 (Goergen et al. 2016), 사하라 이남 지역 대부분의 아프리카 국가뿐만 아니라 (Nagoshi et al. 2018) 2018년 5월에 서아시아 지역 인도에서 처음 확인되었다. 같은 해 미얀마와 태국 등 동남 아시아 국가에, 그리고 2019년에는 중국 등 동북아시아로 확산하였다 (Li et al. 2019). 우리나라에는 2019년 제주에서 처음 발견되었고, 전북과 경남 등 여러 지역에서도 피해가 확인되었다 (Lee et al. 2020).
열대거세미나방의 기생성 천적의 종류는 장소 및 보고 된 해에 따라 다양하다. Hendery (2020)는 Feed the future 의 IPM Innovation Lab 연구팀이 2018년 동아프리카에서 열대거세미나방 알에 대해 70% 이상의 기생률을 보이는 두 천적 (Telenomus 및 Trichogramma속)을 발견하였다고 보 고하였다. 또한, Koffi et al. (2020)은 아프리카 가나 (Ghana) 에서 열대거세미나방의 천적류를 보고하면서 Chelonus bifoveolatus 및 Coccygidium luteum이 가장 우점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열대거세미나방을 공격하는 150종 이상의 알 기생자 중 아프리카에서 Telenomus remus Nixon (Hymenoptera: Scelionidae)가 생물적방제 인자로서 가능성이 가 장 유망한 것으로 보고한 바 있으며 (Kenis et al. 2019), 중국 에서도 다양한 Spodoptera속에 속하는 알을 공격한다고 보 고하였다 (Chou 1987;Tang et al. 2010). Liao et al. (2019)은 남중국 옥수수 밭에서 열대거세미나방 알에 기생하는 T. remus를 처음 보고하면서 이들의 야외 기생률이 30~50% 정도 된다고 보고하였다.
나방류 알기생벌 T. remus 성충 체장은 0.5~0.6 mm이고, 말레이시아에서 Nixon (1937)에 의해 처음으로 보고되었 다. 이 종은 아시아, 아프리카, 아메리카 및 오세아니아 대 륙에 분포하는데, 도입된 이후 정착한 사례도 다수 포함되 어 있으며, 최근에는 중국 남부를 포함한 대부분의 열대 거세미나방 발생지역에서 분포하고 있다 (CABI, https:// cabi.org/isc/datasheet/53078;Kenis et al. 2019;Liao et al. 2019). T. remus의 기주로는 밤나방과 (Noctuidae), 포충나 방과 (Crambidae) 및 불나방과 (Arctiidae)의 종이 있는데, 대부분 밤나방과에 속하며, 그중 Spodoptera spp.가 가장 많 이 보고되어 있다 (Cave 2000). Spodoptera spp.의 알기생벌 로 알벌과 (Trichogrammatidae)의 Trichogramma spp.도 있 으나, 알 덩어리의 외부 노출된 알에 주로 산란하기 때문 에 알 덩어리의 속에 있는 알까지 산란이 가능한 T. remus 가 더 공격적인 알기생벌로 평가받고 있다 (Cave 2000). T. remus 암컷 성충은 기주의 알당 한 개의 알을 낳는데, 일생 동안 평균 270개의 알을 산란한다 (Cave 2000;Kenis et al. 2019). T. remus를 이용한 열대거세미나방과 담배거세미나 방 (Spodoptera litura) 등 Spodoptera spp. 나방류의 생물적방 제를 위해 여러 나라에서 대량증식 후 대량방사가 시도되 기도 하였으며, 생물적 특성 (발육, 생식, 생태 등)과 대량사 육기술 등이 연구되었다 (Cave 2000).
중복기생자 (gregarious egg parasitoid)는 전형적으로 한 기주에 다수의 알을 산란하는 반면, 단독기생자 (solitary egg parasitoid)는 한 기주에 한 개의 알을 산란하는 특성이 있다. 과기생일 경우 단독기생자는 한 개체의 완전한 발육 을 위해 동족의 발육을 억제한다 (Mayhew and van Alphen 1999;Pexton and Mayhew 2002). 반면 중복기생자는 서 로 앞다투어 경쟁적으로 발육하는 경향이 있으나 (Dorn and Beckage 2007) 동족을 죽이는 경우는 드물다고 보고한 바 있다 (Bartlett and Ball 1964;Bartlett and Medved 1966;Grbic et al. 1992).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기생성 천적인 Telenomus remus [(가칭)밤나방검정알벌]가 열대거세미나방 알에서 처음 으로 발견된 것을 보고하면서 이 천적의 생물적 특성 (암수 성충의 수명, 알에서 성충까지 발육기간, 성비, 산란수, 기생 률, 기주 선호성 및 중복기생 여부 등)에 대하여 보고하고 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 시험곤충
2020년 9월 18일 전북 완주군 소재 국립농업과학원 시 험포장 (35°49′40″N, 127°02′44″E)의 옥수수 잎에 산란된 열대거세미나방 알 덩어리와 알 주변에서 산란 중인 알기 생벌 성충을 채집하였다. 실내 사육실로 가져온 이후 알 덩 어리에서 Telenomus remus 성충이 확인되었으며, 이후 누대 사육하여 유지하면서 본 시험에 사용하였다. 사육실 조건 은 온도 25±1°C, 광주기 16 : 8 (Light : Dark) h 및 상대습도 60~70%였으며, 사육 용기 상단 그물망에 꿀을 발라 주고, 열대거세미나방 알을 기주로 제공하면서 생물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2. 알기생벌의 형태 및 분자동정
열대거세미나방 알에서 채집된 알기생벌 성충의 형 태 동정을 위해서 Choi (1999)의 분류키를 참고하여 1차 적으로 검정알벌과 (Scelionidae)의 Telenomus속으로 확 인하였다. 분자동정은 Seo et al. (2017)의 CTAB extraction solution (iNtRON Biotechnology Inc., Korea) 게놈 DNA 추 출법을 이용하여 알기생벌 성충으로부터 게놈 DNA를 확 보하였다. 일차적으로 알기생벌의 미토콘드리아 시토크 롬옥시다제 I (mtCO1) 유전자 영역을 해독하기 위해서 mtCO1 증폭용 범용 프라이머인 LCO1490 (5′-GGT CAA CAA ATC ATA AAG ATA TTG G-3′), HCO2198 (5′-TAA ACT TCA GGG TGA CCA AAA AAT CA-3′) (Folmer et al. 1994) 을 이용하였다. 중합효소연쇄반응 (PCR)을 위해 0.2 mL PCR 튜브에 12.5 μL의 PrimeSTAR® GXL premix (2×) (Takara Korea Biomedical Inc., Korea)를 넣고 1 μL의 게 놈 DNA와 2 μL의 정방향/역방향 프라이머 (각 10 pM) 및 9.5 μL의 멸균수를 추가하고 섞어 최종 25 μL를 만들었다. PCR 반응은 SimpliAmpTM Thermal Cycler (Thermo Fisher Scientific, Waltham, MA, USA)를 이용하여 98°C에서 10 초 후 49°C에서 15초, 68°C에서 30초로 30회 반복하였 다. PCR 증폭 산물을 ㈜마크로젠 (Korea)에 의뢰해 Sanger sequencing을 수행하였으며, 분자동정을 위해서 미국 국립 생물정보센터 (NCBI) GenBank 데이터베이스와 BLAST 분석을 통해서 조회한 염기서열 (query)에서 99% 이상의 유사도 (similarity)를 보이는 상위 첫 번째의 종 (species) 을 탐색하였다. 상위 첫 번째 종인 T. remus와 다양한 유 전정보 유사도를 비교 검토하기 위해 중국에서 보고된 T. remus 미토콘드리아 유전체 정보 (MW551561.1와 MT9066 47.1)를 참고하여 mtCO1 (COX1) 전체 영역, COX3 부 분 영역, CYTB 부분 영역을 증폭할 수 있는 프라이머를 Primer3 (https://bioinfo.ut.ee/primer3-0.4.0/)를 이용하여 설계 제작하였다. mtCO1 (COX1) 전체 영역 증폭용 프라이 머는 Tel.remus-ND2-F1 (5′-TTC CAT CAA CAT TTT ATT TT-3′)와 Tel.remus-ND2-R1 (5′-AAT TGG TGA TAT AGC ATC TT-3′)이고, COX3 부분 영역 증폭용 프라이머는 Tel. remus-COX3-F1 (5′-GTC AAC CAT TTC ACC TAG TA-3′) 와 Tel.remus-COX3-R1 (5′-CAC ACT ACA TCA ACA AAA TG-3′)이며, 마지막으로 CYTB 부분 영역 증폭용 프라이머 는 Tel.remus-CYTB-F1 (5′-GAT GAA ATT TTG GAT CAT TA-3′)와 Tel.remus-CYTB-R1 (5′-ACT GGT ATT ATT CCA ATT CA-3′)이다. PCR 증폭 및 분자동정은 위와 같은 방법 으로 수행하였다. 한편, 알기생벌의 핵 DNA 영역인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 (ITS2) 염기서열 확보를 위해 보존 형 PCR 프라이머 ITS3 (5′-GCATCGATGAAGAAC GCAGC-3′)와 ITS4 (5′-TCCTCCGCTTATTGATATGC-3′) (White et al. 1990)를 활용하여 Seo et al. (2017)의 방법으로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 해당 PCR 산물의 분자동정은 위 와 같은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분자계통수 분석을 위해서 Liao et al. (2019)을 참조하 여 미국 국립생물정보센터 (NCBI) GenBank 데이터베이스 에서 405 bp의 공통 영역을 갖는 검정알벌과 (Scelionidae) 총 50개의 mtCO1 염기서열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군외군 (outgroup)으로는 2종의 Trichogrammatidae wasps을 적용 하였다. MEGA 7.0 (Kumar et al. 2015)에 탑재된 ClustalW 방법으로 배열한 후에 Tamura-Nei 방법으로 유전적 거리 (evolutionary distance)를 계산하고 Maximum Likelihood 계 통수를 추정하였으며, 총 1,000회 반복 (bootstrapping)하여 신뢰도를 검정하였다.
3. 생물적 특성 조사
1) 성충 수명
사육 용기 (직경 5.5×높이 1.5 cm, SPL #310050)에 열대 거세미나방 및 담배거세미나방의 알과 꿀물을 넣어 두고, 갓 우화한 T. remus 암컷 1마리와 수컷 2마리를 접종하고 매 일 산란을 받으면서 T. remus의 생사를 확인하여 암수의 수 명을 조사하였다.
2) 발육기간 (알-성충)
사육 용기 (직경 5.5×높이 1.5 cm, SPL #310050)에 열대 거세미나방 및 담배거세미나방의 알과 꿀물을 넣어 두고, 갓 우화한 T. remus 암컷 1마리와 수컷 2마리를 하루 동안 함께 넣어 둔 후 암수 성충은 모두 제거하고, 매일 T. remus 의 우화를 확인하여 암수별로 알에서 성충까지의 기간을 조사하였다.
3) 산란수
사육 용기 (직경 5.5×높이 1.5 cm, SPL #310050)에 열대 거세미나방 및 담배거세미나방의 알과 꿀물을 넣어 두고, 우화한 직후 T. remus 암컷 1마리와 수컷 2마리를 접종하여 산란을 받고, 매 다음날 암수 성충을 열대거세미나방 및 담 배거세미나방의 알과 꿀물이 있는 용기로 옮겨 주었다. 매 일 산란 받은 열대거세미나방 및 담배거세미나방의 알에 서 우화하는 T. remus의 숫자로 일일 산란수로 산정하였다. 암컷 1마리의 총 산란수는 위의 방법으로 암컷 성충이 사 망할 때까지 산란한 수를 합하여 총 산란수로 하였다.
4) 산란 기주 선호성
사육 용기 (직경 5.5×높이 1.5 cm, SPL #310050)에 각 기 주 [파밤나방 (Spodoptera exigua), 담배거세미나방 및 열대 거세미나방]의 알 35~60개 사이에서 동일한 수의 알을 넣 어 두고, 우화 후 24시간이 지나지 않은 T. remus 암컷 1마리 와 수컷 2마리를 24시간 동안 접종한 이후 암수 성충은 모 두 제거하였다. 약 20일 경과 후 각 기주 알에서 우화한 기 생벌의 수를 조사하였다.
열대거세미나방 및 담배거세미나방으로부터 산란 받은 후 24, 48 및 72시간 된 30~65개의 알을 사육 용기 (직경 5.5×높이 1.5 cm, SPL #310050)에 넣고, 우화 후 24시간이 지나지 않은 T. remus 암컷 1마리와 수컷 2마리를 24시간 동안 접종한 후 암수 성충을 제거하였다. 약 20일 경과 후 알에서 우화한 기생벌의 수를 조사하였다.
5) 암수 성비
사육 용기 (직경 5.5×높이 1.5 cm, SPL #310050)에 열대 거세미나방 및 담배거세미나방의 알을 넣고, 우화 후 24시 간이 지나지 않은 암컷 1마리와 수컷 2마리를 24시간 동안 접종한 후 다음 날 성충을 제거하였으며, 약 20일 경과 후 우화한 T. remus의 더듬이 마지막 마디 모양과 충체 및 다 리의 색깔로 암수를 구분하였다 (Cave 2000). T. remus의 성 비는 일생 전체 산란한 알에서 우화하는 암수로 성비를 조 사하였으며, 산란한 시기에 따라 성 분포를 조사하였다.
6) 단위생식
사육 용기 (직경 5.5×높이 1.5 cm, SPL #310050)에 열대 거세미나방 알을 넣고, 교미하지 않은 암컷 1마리를 접종 한 뒤 24시간 지난 후 성충을 제거하였으며, 약 20일 경과 후 우화한 T. remus의 암수를 구별하여 단위생식 여부를 조 사하였다.
7) 기생률
사육 용기 (직경 5.5×높이 1.5 cm, SPL #310050)에 열대 거세미나방 및 담배거세미나방의 알 25~50개와 꿀물을 넣 고, 우화한 T. remus 암컷 1마리와 수컷 2마리를 24시간 동 안 접종하여 기생당한 나방의 알 수를 조사하여 일일 기생 률로 조사하였다.
8) 중복기생
사육 용기 (직경 5.5×높이 1.5 cm, SPL #310050)에 열대 거세미나방 및 담배거세미나방의 알 30개와 꿀물을 넣고, 우화한 T. remus 암컷 10마리와 수컷 20마리를 접종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열대거세미나방 및 담배거세미나방의 알 을 각각 1개씩 개별로 보관하면서 우화한 기생벌 수를 조 사하여 중복기생 여부를 조사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분자동정 (BLAST 분석)
2020년 8월 18일 국립농업과학원 시험포장 옥수수에 서 채집한 열대거세미나방 알기생벌 (Fig. 1)의 미토콘드라 아 세 가지 영역 (1,753, 706 및 899 bp) 및 핵 DNA의 ITS2 (335 bp)의 뉴클레오타이드 시퀀스를 GenBank에 등록하 였다 (GenBank accession number ON737907, ON737908, ON737909 및 ON721270). 열대거세미나방 알기생벌의 미 토콘드리아 세 가지 영역 (1,753, 706 및 899 bp)을 BLAST 분석한 결과, 모두 99.33% 이상 Telenomus remus와 상동 성을 보였다 (Table 1). 가장 높은 상동성을 보인 T. remus (MT906647.1)는 2019년 7월 중국 중동부지역 저장성 (30°15′N, 121°04′E) 열대거세미나방의 알에서 채집·동정 된 알기생벌이다 (Li et al. 2021). 검정알벌과 (Scelionidae)와 알벌과 (Trichogrammatidae)의 mtCO1 부분 영역 (405 bp)을 국내에서 채집한 열대거세미나방 알기생벌의 동일 영역과 함께 분자계통수 분석 결과, T. remus와 97%의 높은 확률로 단일한 그룹으로 분지되었다 (Fig. 2). 한편, 핵 DNA의 ITS2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 영역 (335 bp)을 BLAST 분석 한 결과, 상동성이 T. nawai와 99.11%, T. remus와 98.51%를 보였다 (Table 1). T. remusNixon, 1937는 T. nawai Ashmead, 1904, T. solitus Johnson, 1983, T. minutissimus Ashmead, 1895, 및 T. soudanensis Risbec 등과 동종이명 (synonym)으로 추 정되고 있으나, 이들 모두 매우 유사한 외부 형태를 가지 고 있어 분류학적으로 확정되지 못하고 있다 (Wengrat et al. 2021). 지금까지 확보한 유전정보를 기반으로 2020년 국 립농업과학원 시험포장 옥수수에서 채집한 열대거세미나 방 알기생벌은 Li et al. (2021)의 T. remus로 판단되었다. T. remus 성충의 체장은 0.5~0.6 mm이고, 검은 광택이 난다. 암 컷의 다리 퇴절과 경절은 검은색이고, 수컷은 옅은 갈색이 다. 암컷의 촉각은 곤봉 모양을 가지나 수컷은 곤봉 모양을 가지고 있지 않다. 암컷은 11마디, 수컷은 12마디의 촉각을 갖는다. 촉각의 병절 (scape) 및 편절 (flagella)은 검은 갈색 (dark brown)을 띤다 (Cave 2000).
2. 생물적 특성
1) 성충 수명
열대거세미나방 알로부터 우화한 T. remus 성충의 수명은 암컷이 14.0±2.7일, 수컷이 7.8±7.7일로 암컷 성충의 수명 이 수컷 성충 수명보다 길었다 (Fig. 3). 담배거세미나방 알 에서 우화한 T. remus 성충의 수명도 암컷이 13.5±5.1일, 수 컷이 9.7±10.4일로 암컷 성충의 수명이 수컷 성충 수명보 다 길었다 (Fig. 3). 그러나 암수 성충의 수명은 유의미한 차 이를 보이지 않아 T. remus 성충의 수명은 기주의 종류와는 무관한 것으로 판단된다.
2) 발육기간 (알-성충)
T. remus의 알에서 성충까지 발육 기간은 열대거세미나 방의 알에서 암컷이 12.6±1.2일, 수컷이 12.1±1.1일, 담배 거세미나방의 알에서 암컷이 13.5±0.6일, 수컷이 14.2± 1.0일로 암수 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기주 간에도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Fig. 4). T. remus 유충의 발육은 기주의 영양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을 것이나, 본 시험에서는 열대거 세미방과 담배거세미나방 알 모두 T. remus 유충이 발육하 는 데 차별적 영향을 주지 않은 것으로 생각된다.
3) 산란수
T. remus 암컷 성충은 우화 당일부터 알을 낳기 시작하였 는데, 하루에 1~3개에서부터 최고 37개까지 산란하였으 며, 우화 후 1~2일째 가장 많이 산란하였다 (Fig. 5). 이러한 결과는 Schwartz and Gerling (1974)이 T. remus는 우화 후 첫 5일 동안의 산자수가 전체 산자수의 76% 이상을 차지할 정도로 초기에 집중적으로 산란하였다고 보고한 것과 유 사한 경향을 보였다. 총 산란수는 기주로 열대거세미나방 알을 사용하였을 경우 평균 118.4 (7.0~352.0)개, 담배거세 미나방의 알에서는 평균 164.9 (5.0~372.0)개로 담배거세 미나방 알을 사용하였을 때 산란수가 많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Table 2).
4) 산란 기주 선호성
T. remus는 담배거세미나방>파밤나방>열대거세미나 방 순으로 산란 선호도가 더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Fig. 6), 유의미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T. remus는 1~2일 된 알을 기주로 더 선호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Fig. 7). 1~2일 된 알 중에서도 열대거세미나방 알 의 경우 1일 된 알을 더 선호하였으며, 담배거세미나방 알 의 경우 2일 된 알을 더 선호하였다. 3일 된 열대거세미나 방과 담배거세미나방 알에는 산란하지 않았다.
알기생벌이 기주를 선택하는 일련의 행동은 기주 찾기 - 기주 인식 - 기주 받아들이기 단계로 이어진다 (Vinson 1976, 1984). 알기생벌은 기주 알의 발육 기간이 짧은 경우 기주 알을 찾는 데 더 효율성을 가져야 한다 (Penaflor et al. 2012). 알기생벌이 기주를 선택할 때 기주와 관련하여 화학 또 는/그리고 물리적 특성, 기주와 식물 간 상호작용과 관련 한 특성을 이용한다 (Borges et al. 1999;Hilker and Meiners 2002). 알기생벌이 기주의 특정한 연령을 선호하는 것은 기 주의 적응력 향상과 무관하지 않을 것이다 (Pyke et al. 1977;Strand and Vinson 1983;Schmidt and Smith 1985;Vinson et al. 1998). 따라서 알기생벌은 기주 알의 연령의 변화에 따 라 알 표면이든 내부에서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이용하여 기주의 적합성을 구분한다 (Penaflor et al. 2012).
기주 알의 나이는 알기생벌이 기생하는 데 제한 요인으 로 작용할 수 있다. 오래된 알일수록 알기생벌은 기피할 가 능성이 있고, 이때 알기생벌은 알에서 나는 화학적인 냄 새, 알의 연령이 늘어남에 따른 알의 견고함 등 물리화학 적 특성을 감지하여 기주의 연령을 구분할 것으로 생각한 다 (Penaflor et al. 2012). 또한, 기주 알은 발육하는 동안 알 의 크기, 알껍데기의 표면 구조 및 알의 색깔 등의 차이를 갖는다 (Goulart et al. 2011). 이러한 기주 알의 특이성이 Trichogramma spp.를 유인하거나 알에 더 머물게 하는 등 에 영향을 줘 기주 선호도가 달라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 다 (Consoli et al. 1999). 따라서 기생성 천적의 기주 선호성 은 실내 사육실에서와 다르게 야외에서는 여러 종의 해충 이 발생하기 때문에 생물적방제 프로그램의 중요한 요소 가 될 수 있다.
한편, 열대거세미나방은 우리나라에 2019년 5월에 첫 발 견되었고, 담배거세미나방 및 파밤나방은 이미 우리나라 에 발생하고 있었던 해충인 것을 고려한다면 T. remus가 열 대거세미나방 알보다 담배거세미나방 및 파밤나방의 알을 더 선호한다는 것은 T. remus가 우리나라에 이미 존재하고 있었으나 발견하지 못한 미기록종으로 추측할 수 있다.
5) 암수 성비
T. remus의 암수 성비는 두 기주 모두에서 암컷이 수컷 보다 높았으며, 열대거세미나방의 알에서 암수 비율이 7.5 : 2.5, 담배거세미나방의 알에서 6.0 : 4.0 비율로 담배 거세미나방 알에서 수컷의 비율이 다소 높았다 (Fig. 8). T. remus 성비는 산란 초기에 암컷의 비율이 높다가 T. remus 가 나이를 먹을수록, 특히, 산란 8일 이후부터 수컷의 비율 이 현저하게 높아지는 경향이었다 (Fig. 9). 이러한 결과는 Schwartz and Gerling (1974)이 T. remus 산자의 성비는 암컷 의 비율이 60~70%이며, 암컷이 나이가 들수록 암컷 산자 수는 22%까지 감소하였다. 우화 후 첫 5일 동안의 산자수 가 전체의 76%를 차지할 정도로 초기에 집중적으로 산란 하였다고 보고한 것과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Houseweart et al. (1983)은 성충이 나이가 들어갈수록 암컷 산자의 비 율이 낮아지는 것은 저정낭 내 정자의 수가 부족하거나 감 소하기 때문에 수정한 알의 수가 줄어들고 따라서 암컷의 수가 줄어드는 결과를 초래한다고 보고하였다. 기생성 천 적의 암수 성비는 생물적방제 프로그램에서 중요한 생물 적 특성이다. 특히, 암컷 천적의 성비가 높을수록 목표 해충 에 대해 더 높은 기생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생물적방제 인 자로 활용할 수 있다 (Bueno et al. 2009).
6) 단위생식 여부
교미하지 않은 T. remus 암컷의 알에서는 100% 수컷 성 충이 나와 arrhenotoky type의 단위생식을 하는 것으로 나 타났다. 교미하여 산란한 알에서 부화한 경우, 암수 비율이 8.0 : 2.0로 암컷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Fig. 10).
7) 기주별 기생률
T. remus의 기생률은 열대거세미나방 알에서 30.2%, 담배 거세미나방알에서 43.5%로 담배거세미나방 알에서 더 높 았다 (Fig. 11).
T. remus 암컷 성충의 일일 평균 기생률은 열대거세미나 방 알에서 우화 후 첫날 41.8±18.5%, 담배거세미나방 알 에서 52.4±32.6%였다. 기생률이 가장 높은 날은 열대거세 미나방 알에서는 우화 후 3일째, 담배거세미나방 알에서는 우화 후 4일째로 나타났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Fig. 12). 다른 연구에서는 T. remus의 기생률은 우화 후 첫날 가 장 높았다고 보고하였다 (Morales et al. 2000;Bueno et al. 2010;Naranjo-Guevara et al. 2020)고 하였지만,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본 실험의 결과와 맞비교하는 것은 의미가 없 을 것으로 생각된다.
8) 중복기생 여부
T. remus는 열대거세미나방 및 담배거세미나방의 알 모 두에서 두 마리 이상 우화한 경우는 없었다 (Table 3). 이 를 통해 T. remus는 암컷 성충이 중복기생을 피하거나 중복 기생 후 경쟁을 통해 최종 한 마리만 우화하는 단독기생자 (solitary egg parasitoid)로 판단된다.
적 요
본 연구에서는 국내 옥수수 포장에서 채집한 열대거세 미나방 알덩어리로부터 우화한 알기생벌을 형태 및 분 자동정하여 검정알벌과 (Scelionidae)의 Telenomus remusNixon (1937) [(가칭)밤나방검정알벌]로 최초로 확인되었 다. T. remus 성충의 수명 및 발육기간 (알-성충까지)은 기 주 종류 및 성별에 따른 차이가 없었다. T. remus 암컷 성충 은 우화 후 바로 산란하고, 하루에 1~3개에서부터 최고 37 개까지 산란하였으며, 우화 후 1~2일째 가장 많이 산란하 였다. 총 산란수는 기주로 열대거세미나방 알을 사용하였 을 경우 평균 118.4 (7.0~352.0)개, 담배거세미나방의 알에 서는 평균 164.9 (5.0~372.0)개로 담배거세미나방 알을 사 용하였을 때 산란수가 많았으나,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T. remus의 산란 기주 선호도는 담배거세미나방>파밤나방 >열대거세미나방 순으로 높았다. 기주 알의 나이에 따라 T. remus의 선호도가 달랐는데, 1~2일 된 알을 선호하였다. T. remus 자손의 암수 비율은 기주와 상관없이 암컷의 비율 이 수컷보다 높았으며, 산란 초기에는 암컷 산자의 비율이 높다가 나이가 들수록 수컷 산자의 비율이 현저하게 높았 다. 교미하지 않은 T. remus 암컷이 산란하여 부화한 경우, 100% 수컷 성충으로 arrhenotoky type의 단위생식을 보여 주었으며, 교미하여 산란한 경우, 암수의 비율은 8.0 : 2.0로 암컷의 비율이 높았다. T. remus는 중복기생자 (gregarious egg parasitoid)가 아닌 단독기생자 (solitary egg parasitoid) 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보고한 T. remus의 생물적 특성에 관한 연구 결과는 실험실 조건에서 대량생산을 위한 정보 로 활용하거나 생물적방제 프로그램을 개발할 때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